•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6.10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 / 5권 / 2호
저자명 : 서종수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오늘날 가족병리적 문제의 증가와 더불어 일반 시민의 인식변화로 인하여 가족상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와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2005년 건강가정기본법의 시행과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시행
은 가족상담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과 더불어, 가족상담서 비스에 대한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응에서도 가족상담적 접근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
터에서 가족상담 업무를 수행하는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가족상담 관련 전공 대학원의 교육 커리큘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운영하는 교
과목을 추출하였으며, 둘째, 가족상담 관련 단체의 가족상담사 자격취득 교과목을 탐색하였다. 셋째, 건강
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사의 자격, 역할, 직무를 중심으로 관련 교과목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족상
담자가 이수해야 할 권장 교과목을 제시하였으며,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상담사업 활성화와 가족상담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건강가정사 자격 재․개정시 포함되어야 할 교과목을 개발하여 제시하
였다.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상담자의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위해 연구되었으며, 현장적용 중심
의 가족상담 교육과정의 표준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
원센터 가족상담사업 활성화와 가족상담자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 초록

Today, along with increase in family pathological problems, due to changes in cognition of people, the
social need for family counseling is growing gradually. Especially, execution of Healthy Family Act in 2005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in 2008 have established delivery system for family counseling
service as well as greatly increased the demand for family counseling service. What is more, family
counseling approach in terms of handling social problems is becoming intensified.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make improvements in curriculum on family counseling around healthy family specialist providing
family counseling work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First of all, it compares and analyzes educational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s with family counseling
related majors to find out common subjects. Secondly, this research explored subjects related to obtaining
of family counselor in family counseling related organizations. Thirdly, it studied subjects around
qualification, role, and job of family counselors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rough this, it makes
suggestions on recommended subjects to be completed by family counselors. It also develops and suggests
subjects that have to be additionally included in revising and establishing healthy family specialist certificate
to activate family counseling business and to increase professionalism of family counselors. This research is
for making improvement in curriculum of family counselors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it can
be used as base data for standardized research of site-oriented family counseling curriculum. What is more,
it is also expected to devote to the growth of family support business at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and to the professionalism of family counselo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치매국가책임제 9페이지
    치매 예방과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사인구 비율이 7%이상 14%미만이 사회를 ...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현재 우리나라는 치매관련 서업이 초기 단계이며, 노인복지법에 ... 역할을 수행하는 비율이 정상 노인에 비하여 훨씬 높은데, 이러한 역할전환 과정에서
  • 한글파일 학교 밖 청소년 실태 및 지원에 관한 연구 28페이지
    사회적 인식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진로지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등 학교 밖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 첫째,「초·중등교육법」제2조의 초등학교·중학교 또는 이와 동일한 과정교육하는
  • 한글파일 한국 다문화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 15페이지
    교육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1) 학교 환경 개선 2)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 교육정책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1. ... 교육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1) 학교 환경 개선 다문화교육은 학교제도나 운용방식
  • 한글파일 선진 외국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 19페이지
    자활과 생계를 지원하고 부모 상담교육 등과 같은 가족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 이에 대한 방법적 개선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 넷째, 급식제공, 아동 및 부모상담의 사례 관리 등 사회복지 기능이 떨어지고
  • 한글파일 방과 후 아동 보육정책 현황 및 활성화 방안 22페이지
    사회복지사, 평생교육사 등 관련 교사 및 지도사를 위한 양성과정에 '방과 ... 그럼 아동보육에 대한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쓰여지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아동보육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