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국어 어미의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기능범주의 투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05.04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수록지정보 : 우리말연구 / 16권
저자명 : 허철구

목차

1. 서론
2. 국어 어미의 형태통사론적 특성
2.1. ‘-시-’와 일치소 혹은 존경소
2.2. ‘-었-’과 시제소
2.3. ‘-느-’와 시제소
2.4. ‘-겠-’ ‘-리-’ ‘-더-’와 양상소
2.5. 종결어미
3. 기능범주의 투사 - 결론

한국어 초록

국어 통사론의 일반적인 관점은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가 기능범주를
투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어 어미의 분포와 기능을 고려하면 각 어미가
범주 투사의 핵이 되는지는 불분명하다. ‘-시-’의 경우 일치소(Agr) 또는 존
경소(Hon)라고 하나 오히려 형태론적 속성을 강하게 보여 통사적 핵이라고
하기 어렵다. ‘-었-’이 통사적 핵이라는 증거로 흔히 대등접속의 현상을 들
지만 대등접속이 CP-CP의 구조라면 선행절에 ‘-었-’이 비실현되는 것은 분
리가 아니라 생략의 결과이므로 역시 통사적 핵일 수 없다. ‘-느-’의 경우는
현재 시제소라는 주장등이 있으나 그 기능과 분포를 고려하면 공시적으로 분
석하기 어려운 요소로서 역시 통사적 핵일 가능성이 낮다. 종결어미의 경우
‘먹어요’처럼 종결어미 ‘-어’(C) 뒤에 청자경어법의 ‘-요’(H)가 오므로 형태
소 중심의 투사를 하게 되면 CP 위에 HP가 위치하는 문제가 생겨 역시 어미
또는 형태소가 기능범주를 투사한다는 주장을 반증한다. 국어에서 어미의 굴
절형은 어휘부에서 형성되고 그 굴절형에 내포된 각 형식자질(FF)들이 기능
범주를 투사한다고 보아야 한다.

영어 초록

It is general viewpoint that prefinal and final endings project functional
categories in Korean. However, we can know that the argument that endings are
the heads of XPs is not certain, if we considerate the distribution and function of
edndings. The prefinal ending '-si-' is regarded as Agr or Hon, but it looks be
not a syntactic head because of its strong morphological character. '-ess-' is
also regarded as a syntactic head owing to its distribution in coordinate
construction, but it cannot be a syntactic head if the structure of coordinate
construction is CP-CP. '-nu-' being argued as a morpheme of present tense is
also not a syntactic head as it is not possible to be analysed diachronically as a
morpheme because of its irregular distribution and unclear function. In
sentence-final endings, for example, Hon '-yo'(its function is hearer
honorification) is attached to Comp(sentence-final ending) '-e', it would be an
unacceptable structure, which HP places over CP, if endings project XPs. So we
argue that a verb is fully inflected in Lexicon, and the formal features of it
project functional categori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국어 어미의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기능범주의 투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