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어휘 의미관계의 발현과 규범화에 대하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1.10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수록지정보 : 우리말연구 / 29권
저자명 : 이동혁

목차

1. 문제 제기
2. 단어의 사용에 따른 어휘 의미관계의 발현
3. 단어의 사용에 따른 어휘 의미관계의 규범화
4.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글은 유의관계, 반의관계, 상하의관계, 부분·전체관계가 우 리 머릿속에 생득적으로 내재된 어휘 구조가 아니라 단어의 사용 패턴 에 의해 경험적으로 구성된 것이며, 특정한 구문 환경에서 공기하는 빈도에 따라 우리 머릿속에서 저장되는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 는 것이 목적이다. 이들 관계는 계열적 어휘 의미관계의 종류로 알려 져 왔지만 사실은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로도 실현된다. 그래서 이 글 에서는 저장부의 의미관계와 운용부의 의미관계로 나누고, 유의관계 등을 저장부의 의미관계의 종류로 간주하였다. 이들 의미관계가 운용 부에서 실현될 때 특정한 구문 환경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리 고 전형적으로 어떤 의미관계에 있다고 기억하지 못한 두 단어가 특정 한 구문 환경에서 모종의 의미관계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공기 현 상으로 대표되는 단어의 사용 패턴이 저장부의 의미관계를 경험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특히 두 단어가 공기하는 특정한 구문 패턴은 두 단어 사이의 의미관계 정체를 해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같다‘와 ‘다르다‘의 관계처럼 이미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의미관계는 규범적인 의미관계이다. 그런데 이런 규범적인 의미관 계는 고정적이지 않고 유동적이다. ‘같다‘와 ‘틀리다‘처럼 둘이 특정한 구문에서 자주 공기하게 되면 규범적인 의미관계의 지위를 획득할 수 도 있다. 이에 비해 특정한 구문 환경에 나타날 수 있다고 해도 두 단 어가 공기하는 횟수가 아주 적어서 일시적이라면 두 단어 사이의 관계 는 저장부로서 우리 머릿속에 저장되기가 어렵다. 이런 관계는 화용론 적 의미관계라고 부를 수 있다.

영어 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at lexical semantic relations are constructed with the co-occurrence pattern of words in the particular construction. Synonymy, antonymy, hyponymy, and meronymy known as the paradigmatic relation are the lexical semantic relation in the lexicon, which are expressed as a kind of syntagmatic relation. Words involved in these relations are frequently cooccurred within particular constructions. Frequent co-occurrence with two words is the evidence that they have a certain lexical semantic relation. Lexical semantic relation between two words is interpreted with the meaning of constructions where they appear. All of cooccurrent words within the particular constructions are not stored in the lexicon. Only if two words cooccurs within the particular constructions, they can be stored in the lexicon with a certain lexical semantic relation. This relation is called as the cannonical semantic relation. If other words frequently cooccurs within this construction, lexical system of the lexicon is affected. Even though several words cooccur within the particular construction for a time, they cannot be stored in the lexicon. We can call this relation as pragmatic semantic rel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어휘 의미관계의 발현과 규범화에 대하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