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교육연구방법으로서 문화기술지 활용의 조건과 한계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6.01
2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원리연구 / 21권 / 2호
저자명 : 최성욱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Ⅲ. 교육에 대한 문화기술지 적용의 한계
Ⅳ. 교육기술지(educography)의 조건
Ⅴ.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으로 제시된 문화기술지가 교육연구의 방법으로서 적합성과 타
당성을 가진 것인지를 검토하려는 것이다. 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추구하는 문화기술지가 실증주의
적 전통에 입각한 계량적 연구방법의 한계를 보완한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 적
용은 문화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라는 전제에 맞게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교육은
문화현상’이라는 맥락혼동적 가정에 근거할 때 문화기술적 접근은 교육을 문화로 왜곡하거나 은폐
시킬 수 있다. 다만, 교육의 자율성을 포착하는 데 적합한 정제된 관점과 이해수준을 점유하는 경
우에는 예외적으로 문화기술지의 활용이 권장될 수 있다. 그 경우, 문화기술적 방법으로 포착한
‘교육’은 교육과 비교육이 혼합된 교육의 양태로서 교육의 순수한 양상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교육
의 양태는 본위에 따라 외재교육과 내재교육으로 구분되며, 교육기술지는 교육과 교육아닌 것의
관련양상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 작업은 철저히 연구자가 지닌 교육관에 의거한다. 그
점에서 교육관의 개선은 교육의 속성에 맞게 문화기술지를 활용하는 방법의 핵심을 차지한다.

영어 초록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know if ethnography has any appropriation
and validity for the educational research. Ethnography, a qualitative method
pursuing a deep understanding of culture from the inner view of those who
live in itself, is necessary and useful in that it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quantitative method following the positivistic research tradition. But, we
need to take it under consideration that ethnography is designed to make out
the cultural facts from an inside point of view, and that it should be confined
for that kind of use. Some ethnographers insist that ethnography be applied to
education, assuming that education is a cultural process. However, they don't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two, but only make a distortion of education
into the cultural phenomena. In other words, they use of ethnography just for
depicting 'education' as what they usually observe culture, which results in a
category mistake. Education is appropriately understood only when we see it in
its own context. Thus, some academically refined conditions are in need as
research prerequisites if we are to use ethnography for education as an
autonomous form of life: A sharp distinction of education from culture in the
context of horizontal relativity, designing a good conceptual framework
identifying and explaining the structural body of education, and a good
interpretation of ethnographic data to see how the education relates to the other
forms of life. The more familiar the ethnographer goes with these conditions,
the better 'educography' comes ou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교육연구방법으로서 문화기술지 활용의 조건과 한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