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북한 교육의 실상 분석 연구 - 북한 소․중등학교 사회과 교육 영역의 교육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4.17
최종 저작일
2016.12
4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 / 11권 / 2호
저자명 : 김다원

목차

Ⅰ. 서 론
Ⅱ. 세계시민교육과 북한 교육의 이해
Ⅲ.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북한 교육 실상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그간 남북한 주민 간의 정신적, 문화적 이질성의 심화로 인한
이질성을 극복하고 공존과 상생을 위한 향후 통일교육의 방안으로 세계시민교육
을 주목하였다. 현재와 같은 세계화 사회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주민들
뿐 아니라 세계인과의 소통, 교류, 상생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교육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북한 교육의 실상을 분석해 보았다. 북
한 교육의 실상을 들여다보기 위해서 사회과 교육 영역에 해당하는 정치사상 교
과목들, 사회주의 도덕, 지리, 역사 교과목을 대상으로 초, 중학교 급에서 배우
는 내용들을 살펴 보았다.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분석 결과를 보면, 북한 교육
의 목표와 성격은 기본적으로 북한 사회주의 이념과 정치사상 주입에 있었다.
모든 사회교과 영역의 교육은 사회주의 국가의 우월성, 사회주의 이념, 김일성
일가에의 충성심 고취, 사회주의 국가 유지 발전에의 적극적 참여에 목표를 두
고 있었다. 그리하여 세계시민교육에서의 인류의 보편적 가치 교육, 문화다양성
인식과 존중 교육, 글로벌 이슈에의 관심과 인식 교육, 세계화 및 글로벌 시각
관련 교육 등 모든 영역에서 왜곡, 결핍, 무관심 현상이 나타났다. 세계화된 민
주주의 사회를 기반으로 이뤄진다고 가정할 때, 향후 통일교육은 세계시민교육
과 연계한 남북한 정규교육으로 이뤄져야 할 자명한 필요성을 지닌다.

영어 초록

This study has focu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means of education for
coexistence and coexistence overcoming the heterogeneity caused by deepening of mental and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the residents of North and South Korea. In order to live in a
global society, it is an indispensable education not only for the people of North people but
also South Korean people for communication, exchange, and coexistence with the world.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reality of North Korean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 education. In order to look into the reality of North Korean education, I looked at the
contents of political ideology subjects, socialism moral subject, geography, and history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North Korean education was basically in the infusion of North Korean socialism ideology
and political thought. Education of all subjects of social studies aimed at the supremacy of the
socialist state, the socialist ideology, the loyalty to the Kim Il Sung family,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ocialist state. Thus, universal value
education of humanity,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and respect education, global issue
education and globalization education i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distorted, deficient,
and indifferent. Assuming that it is based on a globalized democratic society,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has a clear need to be made by regular education of the two Koreas in connection with global citizen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북한 교육의 실상 분석 연구 - 북한 소․중등학교 사회과 교육 영역의 교육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