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문화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적 분석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6.14
최종 저작일
2011.06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18권 / 2호
저자명 : 김병모

목차

요약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및 연구 방법
2. 자료 수집 및 분석
III. 연구 결과
1. 새로운 조직 : ‘학생’의 역할에서 첫 ‘예비교사’로서의 낯 설음
2. 학생 생활 : 학생들은 무엇을 기대하는가?
3. 교실수업 : 교사의 본질
IV. 결론 및 개선방안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학교에서의 교직문화 경험을 문화기술적으로 밝혀 바람직
한 교육실습 과정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실습생들에게 교육실습 기간 동안 교육실습 학교에서 경험했던 교직문화를 일기형식으로 작성
하도록 하였다. 여기서는 예비교사들이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수용 혹은 적절한 수준에서 타협하거
나 도움 받고자 하는 점을 ‘순응’이란 주제로,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그들만의
교직문화 시각을 보이는 점을 ‘불응’이라는 주제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을 통해 교직문화 적응 과정에서 ‘순응’으로 인식했던 부분
은 학생들과 교사사이에서 어느 위치에서 생활해야 하는가?, 즉 자신들의 존재감에 대한 고민을
하지만 학생들의 이름을 암기하여 불러줌으로써 학생들에게 다가가고자 한다. 둘째, ‘불응’으로 인
식했던 부분은 소위 ‘왕따(outsider)’ 학생에 대한 담임교사의 접근 방식이다. 예비교사는 ‘왕따’ 문
제를 직접적이고 강제적으로 고치려는 담임교사의 방식보다 소통 형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해
야 한다는 인식을 갖는다. 셋째, 예비교사는 교과담당 교사의 수업 후 지적사항에 대해 학생의 입
장에서 수용하면서도, 교사의 입장에서 자기만의 교수법을 생각하는 면에서 ‘순응’과 ‘불응’을 동시
에 인식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 for the
desirable teaching practice course by analyzing experience of the teaching
culture of a secondary preliminary teacher microscopically through studentteacher's
diary. When preliminary teacher accept teachers' culture or want to
take teachers' help, This researcher describe this situation as a 'compliance'.
and When preliminary teachers lodge a protest against the teaching culture of
teachers or rather than show their unique teaching culture, This researcher
describe this situation as a 'noncompliance'.
As a result, first, The part understanded as a 'compliance' about adaptative
course of the teaching culture of a secondary preliminary teacher is first part
of the teaching practice course because preliminary teachers imitate or accept
uncritically mentor teacher' action owing to the role of a student. Secondary,
The part understanded as a 'noncompliance' about adaptative course of the
teaching culture of a secondary preliminary teacher is the approaching
method of homeroom teacher about what is called, 'wangdda(outsider)'. The
preliminary teachers recognize that they have to bring 'wangdda(outsider)'
problem to naturally and peaceful interview rather than compulsory. thirdly,
The preliminary teachers accept with a dimension of 'compliance' as a student
that mentor teacher points out errors after public teaching of the preliminary
teacher. but the preliminary teachers are willing to think of their own
teaching methodology with a dimension of 'noncompliance' as a teacher.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문화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적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