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중학구 설정권 이양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6.14
최종 저작일
2011.09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18권 / 3호
저자명 : 황준성, 고전, 김성기, 하봉운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II. 교육행정권한 배분의 원칙 및 기준
1. 지방행정권한 배분의 원칙 및 기준에 대한 일반론
2. 관련 법령 규정상의 원칙 및 기준
III. 중학교 입학배정 방식 및 관련 권한 소재
1. 중학교 입학배정 방식으로서 학군제 및 중학구제
2. 학군 및 중학구 설정권의 소재
IV. 중학교 입학배정 관련 법령 분석
1. 현행 법령 분석
2. 관련 법령 연혁 분석
V. 중학구 설정권의 교육장으로 이양의 타당성 분석
1. 중학구 설정권 이양의 장·단점 분석
2. 중학구 설정권 이양의 타당성·적합성 분석
VI. 개선방안
1. 기본원칙 : 중학구 설정권의 교육감 사무로의 존치
2. 보완조치 : 지역의 특수성 반영 기제 마련
V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입학지원자의 배정에 있어 지역별·학교군별 추첨방식과 함께 활용되고 있는
중학구에 따른 배정 방식과 관련하여, 현재 교육감의 권한으로 되어 있는 중학구 설정권을 교육장
의 권한으로 이양하도록 한 지방분권촉진위원회 결정의 타당성·적합성을 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통학상의 거리·교통 편의성 및 기타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하여 추첨없이 특정 중학교에 지정 입학
하도록 설정된 구역으로 정의할 수 있는 중학구는 2010년 현재 전국적으로 1,102개가 설정되어 있
다. 이러한 중학구 설정권을 교육장에게 이양함은 현지성의 원칙이라는 행정권한 배분의 원칙에 부
합하여 지역주민들의 의사를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효율성 측면에서 이득이 있을 수 있
다. 그러나 소지역 이기주의에 의한 갈등, 같은 중학교 배정이면서 학교군 설정은 교육감이 중학구
설정은 교육장이 따로 수행함에 따른 형평성 및 타당성 결핍 등의 단점도 있다. 아울러 현재의 지
역교육청은 교육자치지구가 아닌 시·도교육청의 하급교육행정기관에 불과하고, 교육장의 모든 사무
는 교육감의 위임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 학생수용계획 및 시설기획 등 행정·관리업무를 최대한 본
청으로 이관함으로써 지역교육청의 행정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학교지원 기능을 강화하고자 하는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 개편 작업’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이양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68조 제3항에 교육감이 지역·학교군·중학구의 설정과 관련하여
교육위원회에 의결을 요청하기 전에 공청회 등을 거쳐 해당 지역 및 인근 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
렴하도록 하는 절차적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some reform measures for the middle
school grouping system, which consists of 1,102 school districts
nationwide in 2010.
In doing so, it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the student allocation
system and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to
develope in the near future.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finds out some problems in terms of
devolving on local superintendents to establish school grouping system of
middle school even though the local superintend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local education issu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udy suggests keeping the current
system instead of replacing it. On the basis of analysis, to set up the
basic fundamental principles for the school district to be more objective
and transparent, several policy alternatives are suggest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중학구 설정권 이양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