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菩薩戒本持犯要記』에 나타난 元曉 無碍行의 이론적 근거

*시*
최초 등록일
2019.07.07
최종 저작일
2018.03
2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7,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학사논문입니다. 원효의 무애행의 이론적 근거를 '보살계본지범요기' 라는 책에서 찾아 나름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空思想에 입각한 계율관
1) 空思想의 개념과 탄생배경
2) 中道的 계율 실천으로서의 無碍行

3. 空思想에 입각한 계율 해석
1) 上士와 下士의 비교
2) 계율 持犯의 구체적 양상

4. 맺음말

본문내용

元曉(617-686)는 통일신라 전후 격변의 시기에 살았던 인물로서, 戒律에 굴하지 않는 파격적인 대중교화를 통해 신라 불교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자유로움을 뜻하는 ‘無碍’라는 이름을 붙인 바가지를 들고 저잣거리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대중들과 소통했다. 이를 계기로 그의 자유로운 언행들을 無碍行이라고 지칭한다. 그는 무애행이라는 명목 하에 ‘음란한 짓을 하지 말라’는 不淫戒를 어기고 과부인 요석공주와 결혼하였고, 기생집과 술집에 드나들었다.
이렇듯 그가 승려로서 지켜야할 계율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은 그의 계율관과 관련이 깊다. 원효의 계율관을 알 수 있는 저서는 『韓國佛敎全集』에 의하면 『菩薩瓔珞本業經疏』, 『梵網經菩薩戒本私記』, 『菩薩戒本持犯要記』의 3종류가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연구범위를 『보살계본지범요기』에만 국한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범망경보살계본사기』는 원효의 저술인지 확실하지 않다는 문제 제기가 있고, 『보살영락본업경소』는 일부분만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살계본지범요기』는 원효의 계율관을 살펴봄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보살계본지범요기』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원효가 기본으로 삼고 있었던 계율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에 무게중심이 있었다. 때문에 『보살계본지범요기』 자체에 대한 연구는 미비했다. ‘원효의 계율관’이라는 주제 하에 다른 저서들과 연관 지어 다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보살계본지범요기』에는 원효의 無碍한 언행들의 이론적 근거가 명확히 드러나 있다. 따라서 그 내용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병학 선생님께서는 원효 무애행의 이론적 근거가 마음에 있으며, 이것이 곧 원효의 和諍思想과 관련이 있음을 밝힌 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선학의 연구를 이어 받아 더 구체적으로 원효 무애행의 이론적 근거가 마음이기 이전에, ‘모든 것은 공이다[一切皆空]’라는 空思想에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참고 자료

『菩薩戒本持犯要記』 (『國譯元曉聖師全書』 제 4책)
『破閑集』 下, 卷27
『三國遺事』, 卷4, 「元曉不羈」
『宋高僧傳』, 卷4, 「唐新羅國黃龍寺沙門元曉傳」
『大正新修大藏經』
『中論』
고영섭, 『원효』, 서울: 한길출판사, 1997.
김사업, 『인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수업』, 서울: 불광출판사, 2017.
김상현, 『역사로 읽는 원효』, 서울: 고려원, 1994.
까르마C.C.츠앙, 『화엄철학』, 이찬수 옮김, 서울: 경서원, 1990.
남동신, 『원효』, 서울: 새누리출판사, 1999.
박상주, 『원효, 그의 삶과 사상』, 서울: 한국문화사, 2007.
불교성전편찬회, 『불교용어사전』, 서울: 문예마당, 2007.
서경수, 『불교철학의 한국적 전개』, 서울: 불광출판사, 1991.
김상현, 「元曉 無碍行과 和諍思想의 현대적 의미」, 『전자불전』 11,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 콘텐츠연구소, 2009, pp.1-26.
김태호·김병희, 「원효 무애행의 교육적 함의」, 『東西哲學硏究』 34, 한국동서철학회, 2004, pp.253-275.
김호성, 「『菩薩戒本持犯要記』의 性格論에 대한 再檢討」, 『元曉學硏究』 9, 원효학회, 2004, pp.63-92.
남동신, 「元曉의 大衆敎化와 思想體系」,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5.
남동신, 「元曉의 戒律思想」, 『韓國思想史學』 17, 한국사상사학회, 2001, pp.251-282.
남수영, 「실유론자들의 불상부단설에 대한 용수의 비판」, 『印度哲學』 30, 인도철학회, 2010, pp.97-128.
도현우, 「불교 윤회관의 고찰」, 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박광연, 「菩薩戒 사상의 전개와 원효 『菩薩戒本持犯要記』의 성격」, 『韓國古代史學硏究』 86, 한국고대사학회, 2017, pp.83-112.
박용조, 「불교의 空이해(Ⅱ)」, 『신앙과 삶』 3, 부산가톨릭대학 출판부, 1999, pp.169-188.
박태원, 「붓다의 연기법과 불교의 연기설」, 『哲學論叢』 82, 새한철학회, 2015, pp.217-235.
손영산, 「『梵網經菩薩戒本私記卷上』 元曉 진찬여부 논쟁에 관한 재고」, 『韓國佛敎學』 56, 한국불교학회, 2010, pp.195-225.
이기영, 「元曉의 菩薩戒觀 : 菩薩戒本持犯要記를 中心으로」, 『論文集』, 3, 동국대학교, 1967, pp.53-70.
이병욱, 「원효 무애행(無碍行)의 이론적 근거 - 菩薩戒本持犯要記를 바탕으로-」, 『元曉學硏 究』 6, 원효학회, 2001, pp.329-363.
이병학, 「元曉의 大乘菩薩戒思想과 그 意味」, 『韓國古代史硏究』 24, 한국고대사학회, 2001, pp.229-260.
이상윤, 「佛敎의 空과 그리스도敎의 無의미의 比較」,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이필원, 「초기불교의 연기이해」, 『佛敎學報』 72,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pp.9-34.
임상목, 「元曉 空思想의 體用的 理解 : 『大乘起信論疏』와 『金剛三昧經論』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장진영, 「불교의 마음 이해: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哲學硏究』 123, 대한 철학회, pp.347-377.
채인환, 「元曉의 戒律思想」, 『佛敎學報』 32,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5, pp.51-84.
채인환, 「戒律疏를 통해서 본 元曉의 信觀 : 『菩薩戒本地犯要記』를 中心으로 -」, 『元曉學硏究』 2, 원효학회, 1997, pp.95-112.
최원식, 「新羅 菩薩戒思想史 硏究」, 동국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3.
최유진, 「원효의 계율관」, 『佛敎硏究』 38, 한국불교연구원, 2013, pp.123-154.
*시*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菩薩戒本持犯要記』에 나타난 元曉 無碍行의 이론적 근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