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외식경영연구 1인 가구 대학생들의 선택속성이 hmr식품의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땡
최초 등록일
2022.07.02
최종 저작일
2019.06
2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HMR
2. 1인 가구
3. 호기심
4. 브랜드 추구
5. 경제성
6. 안전성
7. 건강가치 추구와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표본 및 조사 절차

Ⅳ. 실증결과
1. 측정항목 평가
2. 연구가설검증
3. 소비자 건강적 가치 추구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현재 국내의 1인가구의 수치는 전체 가구의 4분의 1정도에 해당하는 수치를 넘어섰다. 1980년 4.8% 였던 1인 가구 비율은 2012년 25.3%에 달하였으며, 이는 2인 가구나 3인 가구보다 높은 비율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 비율이 2015년에는 27.2%(520만3천 가구) 2017년에는 28.6%(561만9천 가구)에 이르렀고, 2025년 31.3%(685만2천 가구), 2035년 34.3%(762만8천 가구)를 차지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지금의 20대가 40대가 되면 3가구 중 한가구는 1인 가구가 되는 셈이다. 이처럼 1인 가구화는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높은 수치가 예상된다. 이러한 사회ㆍ경제적 변화는 사람들의 식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이처럼 개인화되는 사회구조는 식생활 양식을 가족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변화 시키고 있다. 20대 전문 연구기관 대학 내일 20대 연구소는 ㈜KT와 함께 현재 우리나라의 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대한민국 2535세대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2535세대의 소비패턴과 라이프 스타일을 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1인 가구의 편의점에 대한 의존도가 1인 이상 가구의 의존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1회 이상 방문 비율 역시 20대 1인 가구(28.6%)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 다인 가구(19.2%)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1인 가구가 편의점을 자주 이용하게 된 이유로는 사회생활로 인한 잦은 외식 습관과 식품 또는 음료가 필요할 때 적은 양만 구매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많은 1인 가구의 20대들은 많은 편의점을 통하여 일주일에 4~5회 편의점에서 구매하는 간식이나 식사를 해결하고 있다. 현대의 사회는 1인 가구 또는 나홀로족(Myself Generation) 이 소비의 큰 차지를 하고 있다. 식품 시장은 이들의 생활패턴에 중점을 둔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시장 품목을 넓히고 있다.

참고 자료

Kang, H. Y., & Jo, M. N. (2015). Key buying factor and improvement point according to HMR use characteristic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7(8), 335-356.
Smith, R. E., & William, R. S. (1988). Cognitive response advertising and trial: Belief strength, belief confidence and product curiosity. Journal of Advertising, 17(3), 3-14.
Litman, J. A., & Spielberger, C. D. (2003). The measurement of epistemic curiosity and its diversive and specific compon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0, 75-86.
Berlyne, D. E. (1957). Attention to change, conditioned inhibition (SIR) and stimulus satiation.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48, 138-140
Gilmore, James H. , 2007 , Authenticity: What Consumers Really Want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everland, M. Beverland , 2008 , Projecting Authenticity through Advertising , Journal of Advertising 37 (1) : 5 ~ 15
Alexander, Nicholas , 2009 , Brand Authenticity : Creating and Maintaining Brand Auras ,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3 (3, 4) : 551 ~ 562
Robinson, Herbert S , 2006 , Steps: A Knowledge Management Maturity Roadmap for Corporate Sustainability , Business Process Management Journal 12 (6) : 64 ~ 73
Hunt, Shelby D. , 1989 , Corporate Ethic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rketing , Journal of Marketing 53 (3) : 79 ~ 90
Costa, A. I. A. , 2007 , To cook or not to cook: A means-end study of motives for choice of meal solutions ,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 : 77 ~ 88
Jeong, Y. G., & Son, G. H. (2006). Effects of career congestion on contextual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adjustment of tenure duration. Korea Policy Science Bulletin, 10(2), 103-128.
Jong-Ho, L. (2018). The Effect of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on Eating Out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Value Recognition. [The Effect of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on Eating Out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Value Recognition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4(8), 92-101.
Seung Yong, C. (2017). Management system for ensuring safety of HMR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Management system for ensuring safety of HMR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Food Science and Industry, 50(3), 51-59.
Sung Woong, C., & Young Sun, R. (2013). Influence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HMR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Influence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HMR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9(5), 296-311.
권태성, 이영남, & 호텔리조트연구, 최. J. (2005). 외식부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선택동기 및 이용 행태. 4(2), 395-408.
김기수. (2018). 대학생들의 HMR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MR Selection Attributes on Repurchase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 Moderating Role of Sought Value].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4(6), 112-121.
노병국. (2017). HMR의 선택속성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MR"s Selection on repurchasing Intention - Business Brand Image Centers Focused on Control Effect -]. 관광레저연구, 29(6), 119-132.
안선정. (2017). 대학생들의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 about HMR selection attributes of university students].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2), 163-175.
양동휘. (2018). HMR 선택속성이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for HMR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Comparative Analysis of Convenience Store and Large Market].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4(3), 204-214.
이종호. (2018). 레스토랑 선택속성이 외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on Eating Out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Value Recognition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4(8), 92-101.
조승용. (2017). 가정간편식(HMR)의 안전성 관리체계. [Management system for ensuring safety of HMR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식품과학과 산업, 50(3), 51-59.
조우제. (2018). HMR 브랜드 경험이 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MR Brand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관광연구, 33(3), 283-299.
조정환, 이보순, & 박기홍. (2011). HMR 상품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bout HMR -In case of Ready-to-end-cook-].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7(2), 85-97.
최성웅, & 나영선. (2013).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가정대체식품)의 구매동기와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HMR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9(5), 296-311.
한솔, 남예은, 서지수, & 전민선. (2018). 편의점 PB상품의 선택속성이 대학생 소비자의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ection Attributes for Private Brand Products o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4(6), 91-101.
김주향, & 송학준. (2017). HMR(Home Meal Replacement) 판매업체의 서비스품질에 따른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the Service Quality of HMR Businesses on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관광레저연구, 29(1), 317-333.
이은용, 김문명, & 이수범. (2016). 만족, 재구매의도,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편의점 PB 메뉴 상품 속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CVS Private Brand Menu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Intention to Repurchase and Brand Trust]. 관광연구저널, 30(3), 173-184.
논문지, 손. J. 한. (2009). 패밀리 레스토랑 및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선택속성과 대학생 고객이 지각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10(10), 2864-2872.
서용구, 유혜선, & 김혜란. (2014).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애착 및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n Brand Attachment and Loyalty of Cosmetic Brand Authenticity]. 유통연구, 19(2), 87-111.
서상우 , 2013 , 패션 브랜드 진정성의 내부 구조 확인 및 브랜드 애착, 몰입,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양적 연구 , 복식 63 (7) : 148 ~ 163
서용구, 유혜선, & 김혜란. (2014).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애착 및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n Brand Attachment and Loyalty of Cosmetic Brand Authenticity]. 유통연구, 19(2), 87-111.
성영신, 한민경, & 박은아. (2004). 브랜드 성격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Attachment: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Brand Community Commitment].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5(3), 15-34.
나정기, & 관광연구저널, 김. J. (2012). HMR 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26(1), 233-248.
이해영, 정라나, & 한국영양학회지, 양. J. (2005).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한국에서의 Home Meal Replacement (HMR) 개념 정립 및 국내 HMR 산업 전망 예측. 38(3), 251-258.
김희연. (2016). HMR 상품의 선택속성이 1인 가구의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 of HMR Product on the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of an Single Household - Centered on the Regulation Effect of Consumer Online Review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8), 109-121.
김진희, & e-비즈니스연구, 전. J. (2015). HMR 선택속성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16(6), 425-447.
고은비 (2016). 대구 불노리 생막창부터 제주 모이세 해장국까지: 고급입맛 당기는 HMR 시장, 한국경제.
차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김. J. (2008).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의 조절효과. 37(11), 1435-1442.
통계청 (2018). 「1인가구 통계 보고서」. (보고서 99-2).
대학내일20대연구소 (2016). “ 2016 청년세대 1인 가구 라이프 스타일 조사”, 6월 21일.
장땡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외식경영연구 1인 가구 대학생들의 선택속성이 hmr식품의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