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비타민D와 골다공증과의 관계

김원장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12.12
최종 저작일
2022.04
1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비타민D와 골다공증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Bone Modeling
3. Bone Remodeling
4. Osteoporosis
5. Vitamin D metabolism
6. Function of vitamin D in bone metabolism
7. Effect of vitamin D to bone metabolism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Introduction
Vitamin D(cholecalciferol)는 장에서 칼슘(calcium)과 인(phosphorus)의 흡수를 도와주기 때문에 뼈의 건강을 위해서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Vitamin D는 햇빛을 통해 피부에서 주로 합성된다. 그러므로 계절과 위도, 피부색, 선크림 사용 유무, 그리고 옷과 나이 등에 의해서 Vitamin D의 합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 Vitamin D의 체내 농도는 serum내 25-hydroxyvitamin D[25(OH)D;calciferol]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Serum내 25(OH)D의 농도가 50nmol/L(20ng/mL)이하이면 Vitamin D 결핍으로 판단하는데, 골다공증 환자에게서 Vitamin D 결핍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Vitamin D가 부족하게 되면 골다공증(osteoporosis)과 골연화증(osteomalacia), 그리고 골절(fracture)이 쉽게 일어난다. 또한 Vitamin D 부족은 근육을 약하게 하기 때문에 Vitamin D가 부족하게 되면 Vitamin D가 들어있는 약을 통해서 치료를 해야 한다. 골다공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피부에서 스스로 합성하는 Vitamin D이외에 추가로 음식이나 약을 통해서 Vitamin D를 흡수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 시켜야 한다[2].
이처럼 Vitamin D는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뼈 발달과 유지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그러나 소아과의사들이 어린이들에게서 구루병을 유발할 수 있는 Vitamin D 부족에 대해서 경고를 하는 반면, 내과의사들은 Vitamin D의 양에 대해서 무관심한 경우가 있다. Vitamin D부족은 골연화증과 골다공증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뼈와 근육을 약하게 만들어 골절이 쉽게 일어날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vitamin D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2].

Bone Modeling
생체 기관을 물리적으로 지탱하고, 골수를 보호하며, 혈청의 항상성 유지 기능을 하는 칼슘과 인의 저장고이기도 한 뼈는 살아 있는 조직으로 결합조직의 한 형태이다.

참고 자료

Lodish, Berk, Matsudaira, Kaiser, Krieger, Scott, Zipursky, Darnell. Molecular Cell Biology(Fifth Edition). W.H.Freeman and Company. 2004.
Michael F. Holick. Optimal Vitamin D Statu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Drugs Aging 2007;24:1017-1029.
S. Boonen, D. Vanderschuere, P. Haentjens, P. Lips. Calcium and vitamin 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a clinical update.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6;259:539-552.
S. Boonen, R. Rizzoli, P. J. Meunier, M. Stone, G. Nuki, U. Syversen, M. Lehtonen-Veromaa, P. Lips, O. Johnell, J.-Y. Reginster. The need for clinical guidance in the use of calcium and vitamin D in the management of osteoporosis : a consensus report. Osteoporos Int 2004;15:511–519.
S. Boonen, H. A. Bischoff-Ferrari, C. Cooper, P. Lips, O. Ljunggren, P. J. Meunier, J.-Y. Reginster. Addressing the musculoskeletal components of fracture risk with calcium and vitamin D: A Review of the evidence. Calcif Tissue Int 2006;78:257-270.
Mulder JE, Nikheel S Kolatkar, Meryl S LeBoff. Drug Insight: existing and emerging therapies for osteoporosis. Nature clinical practice endocrology&metabolism 2006;12:670-680.
Boyce EF, Xing L, Shakespeare W, Wang Y, Dalgarno D, Iuliucci J, Sawyer T. Regulation of bone remodeling and emerging breakthrough drugs for osteoporosis and osteolytic bone metastases. Kidney International 2003;63:S2-S5.
SA Stoch, JA Wagner. Cathepsin K Inhibitors : A Novel target for osteoporosis therapy. Development 2008;83:172-176.
A. J. Cohen, F. J. C. Roe. Review of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 possible aetiological role of dietary salt.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000;38:237-253.
P. J. Ryan. Vitamin D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One dose does not fit all. Int J Clin Pract 2007;61:1894-1899.
L.C. Hofbauer, C.A. Kuhne, V. Viereck. The OPG/RANKL/RANK system in metabolic bone diseases. J Musculoskel Neuron Interact 2004; 4:268-275.
Lamichhane A. P. Osteoporosis - An Update. J Nep Med Assoc 2005;44:60-66.
Sylvia Christakos, Puneet Dhawan, Yan Liu, Xiaorong Peng, and Angela Porta. New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of vitamin D action. 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2003;88:695-705.
Juliet E. Compston. Sex steroids and bone. Physiological Reviews 2001;81:419-447.
Compston JE. Osteoporosis, corticosteroids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1995;9:237-250.
Keaveny TM, Morgan EF, Niebur GL, Yeh OC. Biomechanics of trabecular bone. Annu Rev Biomed Eng 2001;3:307–333.
Frank Rauch, Francis H Glorieux. Osteogenesis imperfecta. Lancet 2004;363:1377-1385.
Holick MF. Vitamin D: importance in the prevention of cancers, type 1 diabetes, heart disease, and osteoporosis. Am J Clin Nutr 2004;79: 362-371.
Holick MF, Chen TC. Vitamin D deficiency: a worldwide problem with health consequences. Am J Clin Nutr 2008;87:1080S-10866S.
Kong YY, Yoshida H, Sarosi I, et al. OPGL is a key regulator of osteoclastogenesis, lymphocyte development and lymph-node organogenesis. Nature 1999;397:315-323.
Theill LE, Boyle WJ, Penninger JM: RANK-L and RANK: T cells, bone loss, and mammalian evolution. Ann Rev Immunol 2002;20:795-823.
Ilich JZ, Brownbill RA, Tamborini L. Bone and nutrition in elderly women : protein, energy and calcium as main determinant of bone mineral density. Eur J Clin Nutr 2003;57:554-565.
Dawson-Hughen B, Harris SS, Finneran S. Calcium absortion on high and low calcium intakes in relation to vitamin D receptor genotype. J Clin Endocrinol Metab 1995;80:3657-3661.
Melhow H, Kindmark A, Amer S, Wilen B, Lindh E, Ljungahall S. Vitamin D receptor genotypes in osteoporosis. Lancet 1994;344:949-958.
Ego Seeman. Reduced bone formation and increased bone resorption: Rational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 Int 2003;14:S2–S8.
Lauralee Sherwood. Human Physiology : from cells to systems(Fifth Edition). Thomson Learning. 2004.
김원장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의/약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성인간호학 : 전해질 균형표 7페이지
    골절 전이성 암이 신경 끝에 압력을 갛고 뼈의 통증 초래 뼈의 칼슘상실로 골다공증과 ... 가장 흔한 원인은 인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의 섭취, 비타민 D의 과다섭취나 ... D 대상의 장애를 일으키는 약물, 혈청 칼슘 농도를 강소시키는 인제제,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비타민D와 골다공증과의 관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