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오대~북송 江浙 지역 불탑 내 봉안된 소형 금동불의 의미 試論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22.09
3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수록지정보 : 東洋美術史學 / 15권
저자명 : 최선아

목차

국문초록
Ⅰ. 시작하며
Ⅱ. 불상을 봉안한 江浙지역 불탑의 세 사례
1. 강소성 소주 운암사 탑(일명 虎丘塔, 959~961 건립)
2. 강소성 소주 서광사 탑(일명 서광탑, 1009~1030년 건립)
3. 절강성 금화 만불탑(1062년 건립)
Ⅲ. 唐宋전환기 불사의 신경향
1. 소형 불상 제작의 감소와 불사의 다변화
2. 옛 불상의 매장
Ⅳ. 마치며: 탑 내 봉안된 소형 금동불의 이원적 성격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중국 강소성 소주 운암사 탑과 서광사 탑, 그리고 절강성 금화 만불탑 안에서 발견된 소형 금동불상의 종류와 상태, 그리고 상들이 탑 내 봉안된 의미를 탐색한 글이다. 오대~북송 초, 즉 10세기 후반~11세기 중엽에 조성된 세 탑 안에서는 탑의 제3층 탑신부 혹은 탑 아래에 조성된 석실에서 각기 6구, 9구, 그리고 60여 구의 금동불이 수습되었다. 이 시기 불탑 안에 소형 불상이 안치되어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안치된 상의 성격이나 그 의미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은 상의 상태와 제작 시기 를 조사하여 대체로 이들은 탑보다 적게는 50년, 많게는 500여 년 앞서 제작되었으며, 광배 가 결실되거나 상의 일부가 파손된 채 안치된 것이 많음을 확인했다. 파손된 옛 불상을 탑 안에 넣은 이유를 탐색하기 위해 唐宋전환기라 불리는 이 시기 두드러지게 보이는 佛事의 신경향을 주목했다. 개인적인 발원을 담은 소형 불상의 제작이 감소함과 동시에 불상이나 탑내 다양한 공양물을 넣는 불사가 크게 유행했으며, 파손되었을 뿐 아니라 제작된 지 오래되 어 발원의 의미가 희미해진 옛 불상을 매장한 관습이 그것이다. 파손된 불상을 수리하여 사 찰의 경내에 보관하거나 소형 금동불을 불전에 진열해 놓았던 唐 이전의 관습 대신 오래된 상들을 매장하는 것이 당시 중국 각지에서 유행했는데, 江浙 지역에서는 그러한 불교 교장 을 조성하는 대신 탑이라는 공간 안에 옛 금동불을 모아 넣었을 것으로 보았다.

영어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the small gilt-bronze Buddhist statues enshrined in the crypts of pagodas of the Jiangnan area, including Yunyan si and Ruiguang si at Suzhou in Jiangsu province, and Wanfo ta at Jinhua in Zhejiang province. Constructed during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period, which span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tenth to mid-eleventh centuries, the three pagods yielded various types of gilt bronze statues ranging from six to sixty. While it is well known that pagodas of this period yield small Buddhist statues, in-depth study with regards to their meaning has not been made. With a question of why the statues were put inside the invisible place of the pagoda which is in nature the place for Buddha’s relics, this thesis examines conditions of the statues and the ways in which they were arranged in the crypts with other objects donated by many patrons. Through a systematic examination, it reveals that many of the statues were in fact not recent ones but old images that are dated at least fifty to five hundred years earlier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s. It also emphasizes that many images are lack of halos and parts of the body, which tells that they had been already broken before being enshrined. In order to explore the reason why the broken, old images were enshrined in pagoda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new trends of Buddhist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which is often designated as the Tang-Song transition. During this period, the interest in producing small statues decreased dramatically, while new modes of Buddhist activities such as inserting various objects in either Buddhist statues or pagodas emerged as a way of accumulating merits. I argue that this in turn led to the creation of statue burials, which are found in many regions of China. Rather than repairing old statues and arranging them on the altar in the hall or in the precinct of temples, the old and broken statues came to be buried under the ground. Taking these changed atmosphere as significant contexts, this paper suggests that Buddhists of the Jiangnan area of this period chose to put the old statues inside the pagodas in a similar way of creating statue burials which were in vogue in the northern area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오대~북송 江浙 지역 불탑 내 봉안된 소형 금동불의 의미 試論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