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생물모니터링 및 환경유전자(eDNA)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의 한국분포 현황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22.08
1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6권 / 4호
저자명 : 정상우, 이재하, Tadashi Kawai, 김필재, 김수환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조사지점 및 시기
2. 조사방법 및 분석
3. 환경유전자(Environmental DNA: eDNA) 분석
결과 및 고찰
1. 국내 미국가재 지역별 분포 현황
2. 미국가재의 생태학적 위치
3. eDNA을 활용한 미국가재 검출
4. 동소종(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황 및 특성
5. 국내 애완가재 유통 현황 및 문제점
감사의 글
REFERENCES

한국어 초록

국내 침입외래종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의 생물모니터링을 환경유전자 분석과 함께 2021년 2월부터 10월까 지 완주군, 함평군, 나주시, 구례군 청주시, 5지점에서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우산형통발과 둥근뜰채를 이용하였으며, eDNA 분석을 위해 8~10 L의 물을 채수하였다. 조사지 내의 동소종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함께 과거 분포기록 및 국내 가재류 유통 현황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미국가재는 총 122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함평군에서 59개체 (48.36%)로 가장 많은 개체수와 높은 환경유전자(eDNA)가 검출되었고 계절상 5월달에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다. 암컷과 수컷의 비율은 21:5로 암컷이 우세하였으며, 크기는 암컷이 72.2±21.1 mm, 수컷이 80.5±15.6 mm, 어린개체가 25.3±9.8 mm이었다. 국내에 유입된 미국가재는 남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과거에 출현 기록이 있는 서울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가재에 외부공생하는 끈거머리지렁이류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국내의 출현한 미국가재는 일본에서부터 수입된 개체로 추정되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외래 가재류는 8종 이상이 었으며, 이중 마블가재(Procambarus virginalis)는 2021년에 환경부에서 유입주의 생물로 지정된 종으로 파악되었다. 미국가재 조사지역 일대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39과 69종이 출현하였으며, 잠자리목이 24.62%, 딱정벌레목과 노린재목이 각각 16.92%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 중 한반도고유종 1종, 적색목록 범주의 준위협(NT)으로 구분되는 1종, 갑각류는 총 6종이 출현하였다. 섭식기능군에서는 잡아먹는무리가 서식기능군에서는 기어오르는무리가 전체적으로 우세하여 출현하였다. 조사지역 내의 미국가재는 수초와 수변부 식생이 풍부한 지역을 선호하며, 수질이 탁한 곳에서도 내성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잡식성인 미국가재는 동소종에서 우세하게 출현하는 육식성 저서생물과 상호 경쟁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먹이사슬에 따른 생태계 교란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 초록

Biomonitoring of an invasive alien crayfish species, Procambarus clarkii (Girard, 1852), was performed from February to October 2021, along with environmental DNA analysis, at five locations including Wanju-gun, Hampyeong-gun, Naju-si, Gurye-gun, and Cheongju-si. For the investigation, an umbrella-shaped trap for adults and a hand net for young crayfish were used, and 8 to 10L of freshwater was collected for eDNA analysis. The current status and past distributional records of crayfish in Korea were analyzed along with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each survey sit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 total of 122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nd Hampyeong-gun recorded the largest number of populations with 59 individuals (48.36%) and the highest environmental DNA (eDNA).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P. clarkii was highest in May. The ratio of females to males was 21:5, and the body size was 72.2±21.1mm for female, 80.5±15.6mm for male, and 25.3±9.8mm for young crayfish. P. clarkii introduced into Korea is mainly spreading in the southwest region and it has not been observed in Seoul where there had been a record of appearance in the past. No external symbiosis (Branchiobdellida) of P. clarkii has been identified, and P. clarkii that has appeared in Korea was presumed to be imported from Japan. There are more than eight kinds of exotic crayfish distributed in Korea, and among them, the marbled crayfish (P. virginalis) was identified as a harmful species to the ecosystem of Kore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21. The identified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habiting the survey area where P. clarkii has appeared were 69 belonging to 39 families, 15 orders, five classes, and three phyla. Among them, Odonata were the most abundant (16 spp.; 24.62%), followed by Coleoptera (11 spp.; 16.92%) and Hemiptera (11 spp.; 16.92%). In the survey area, one Korean endemic species (Rhoenanthus coreanus), one species (Helophorus auriculatus) classified as Near Threatened (NT) on the Korean Red List, and six species of Crustaceans appeared. In the functional feeding group, the predators appeared predominantly while in habitat oriented group, the climbers appeared to be abundant. It was confirmed that P. clarkii in the survey area prefers an area rich in aquatic vegetation with waterside vegetation, and has high resistance to turbid water quality. The omnivore invader P. clarkii is expected to mainta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carnivorous benthic macroinvertebrates that are predominant in the same species,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generate ecosystem disturbance along the food chain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생물모니터링 및 환경유전자(eDNA)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의 한국분포 현황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