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조도 암반조간대 하계에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22.10
1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28권 / 6호
저자명 : 이창일, 양세희, 강선화, 서총현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3.1 종 조성과 출현밀도
3.2 정점별 종수와 출현밀도
3.3 주요 출현종
3.4 국가 주요종
4. 고 찰
Reference

한국어 초록

서남해안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완도와 조도 18개 정점의 암반조간대에서 2014년부터 2021년 까지 6~9월에 7회 조사하였다. 완도와 조도 암반조간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은 220종, 645개체/㎡이었다. 종수는 완도 165종, 조도 167종으로 유사하였다. 평균밀도는 완도 726개체/㎡, 조도 564개체/㎡로 완도가 다소 높았다. 종수는 정점 15에서 116종으로 가장 많았고, 밀도는 정점 7에서 1,664개체/㎡로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이 175개체/㎡(27.1%)로 가장 우점하였고, 총알고 둥 97개체/㎡(15.1%), 갈고둥은 41개체/㎡(6.3%)순으로 출현하였다. 기후변화지표종인 검은큰따개비가 15개 정점에서 출현하였고, 고유종 인 털채찍해조숨이옆새우도 일부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국가적색목록(Red List) 중에 절멸위험(Extinction risk)의 가장 낮은 수준인 준위 협의 모난어깨긴뿔고둥이 조도에서 출현하였다. 완도와 조도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은 우리나라 암반조간대 해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인 특징을 보였다. 암반조간대 해안은 조위에 따른 노출 시간과 암반의 기질에 따라 수직적인 분포 경향을 보였으며, 완도와 조도는 좁쌀무늬총알고둥, 총알고둥, 조무래기따개비, 대수리 등 우점하여 서식지 분포 양상이 유사하였다.

영어 초록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benthic species on the southwest coast, a macrobenthos study was conducted at 18 sites on the islands of Wando and Jodo for seven summers (2014-2021) from June to September. Two hundred and twenty species(645 ind./㎡) were collected on the rocky shores of Wando and Jodo. A similar 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in Wando (165 species) and Jodo (167 species). The mean density was higher in Wando (726 ind./㎡) than in Jodo (564 ind./㎡). The number of species was the highest at Site 15 (116 species), and the density was highest at Site 7 (1,664 ind/㎡). The dominant species were Nodilittorina radiata with 175 ind./㎡ (27.1%), Littorina brevicula with 97 ind./㎡ (15.1%), and Heminerita japonica with 41 ind./㎡ (6.3%). The climate change indicator species, Tetraclita japonca, appeared in 15 sites, and the endemic species, Ptilohyale bisaeta, appeared in some sites. Fusinus spectrum, which appears on the Red List as a Near Threatened (NT) species, the lowest level of extinction risk, appeared in Jodo. The macrobenthos of Wando and Jodo demonstr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ocky shores in Korea. Based on the tides and substrate, the rocky shores revealed a vertical distribution trend where Nodilittorina radiata, Littorina brevicula, Chthamalus challengeri, and Reishia clavigera were dominant. Wando and Jodo exhibited similar habitat distribution pattern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조도 암반조간대 하계에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