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장자(莊子)』와 제프 말파스(Jeff Malpas)의 입장에서 본 ‘장소와 존재’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20.12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수록지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9권
저자명 : 김덕삼

목차

논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장소와 존재의 근거
Ⅲ. 장소와 존재의 구별
Ⅳ. 장소와 장소의 중첩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지리학자가 아니라 철학자로서 장소를 다룬 말파스(Jeff Malpas) 의 관점과 중국 도가(道家)의 고전인 『장자(莊子)』의 관점을 토대로 장소와 존재의 근거, 구별, 중첩을 탐구하였다. 장소와 공간은 고대부터 다양하게 논의 되어 왔다. 1970년대 들어 인본주의 지리학자를 중심으로 장소를 공간과 분리 하여 논하기 시작하면서, 장소는 의미 없는 영역인 공간과 달리 인간이 중심이고, 경험과 애착이 더하여진 곳으로 언급되었다. 말파스는 하이데거의 장소 존재론을 확장하여 논의하며, 인간 존재가 근거할 수 있는 것으로 장소를 보았다. 『장자』의 호접지몽(胡蝶之夢)에서 ‘나비’이게 하고 ‘장주’이게 하는 것은 각각의 장소에서 가능하다. 이는 “장소가 주관성 위에 확립되는 것이 아니라 주관성이 장소 위에서 확립되는 것”이라는 말파스의 주장과 통한다. 더불어 하이데거가 주장한 ‘존재’가 그 자신을 열어 밝히기 위해(to disclose) 필요로 하는 그 장소(stätte)로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과도 통한다. 반면 고대 중국의 사유에서 중국인들은 인간과 분리된 존재를 상정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장소는 인간 존재의 근거가 된다. 장소 존재론을 근거로 생각하면, 각각의 장소에 각각의 존재가 들어서며 구별이 생긴다. 이러한 예는 『장자』 곳곳에서 발견된다. 붕정만리(鵬程萬里)와 관련한 대붕과 매미, 지어지락 (知魚之樂)을 논하는 장자와 혜자 등. 주체의 존재는 복잡한 형태의 공간성의 존재와 ‘동시적’이다. 그리고 객관성의 파악은 공간성의 파악을 요구한다. 이 것은 ‘나비’와 ‘장주’의 장소를 넘어, 이를 인식하고 있는 화자인 ‘나’, 간과 쓸개의 장소를 넘어 있는 ‘관찰자’, 초나라와 월나라의 경계를 뛰어 넘어 있는 ‘관찰자’를 상정할 수 있다. 이것은 분별을 넘어선 또 다른 장소이다. 그래서 내가 자신을 발견하는 장소에 관해 얼마나 폭넓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다양한 위치들의 상관된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조 릉지번(雕陵之樊)에 나오는 숲 주인, 장자, 새, 사마귀, 매미는 각자의 장소에 있고, 이 장소의 연결 고리는 계속 더 이어질 수 있고, 어쩌면 이러한 중첩은 무한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장소의 중첩은 각자 자신만의 장소를 근거로 분쟁을 유발할 수 있다. 바로 이 지점이 장자와 말파스가 비판 받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의 역할은 여기까지이다. 이상의 장자와 말파스의 장소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각자 자신의 장소에 위치하여 세상을 논하고, 그러기에 장소는 존재의 근거가 되고, 장소에 따라 존재가 구별되며, 각각의 장소의 중첩 속에 많은 가치 판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정리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제 이러한 것을 어떻게 적용시켜 우리가 사는 이곳을 보다 나은 세상으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문제는 우리 모두에게 과제로 던져졌다.

영어 초록

Based on the views of Jeff Malpas and 『Zhuang zi(莊子)』, who studied places with philosophy, this study explored the basis, distinction and superposition of places and existence. Places and spaces have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since ancient times. In the 1970s, humanistic geographers began to discuss places separately from space. Unlike space, which is a meaningless area, the place was mentioned as a place where human beings were centered and added experience and attachment.
Malpas extends and discusses Heidegger's theory of place existence. Malpas saw the place as something that human beings could be based on. It is possible to make 'Butterfly' and 'Zhuang zi' in the story of Hudiezhimeng(胡蝶之夢) in 『Zhuang zi』. This is in line with Malphas's argument that “the place is not established on top of the subjectivity, but on top of the place.” And that goes with Heidegger's argument. Nor did the Chinese people in ancient Chinese thought assume a separate existence from humans. Therefore, for them, the place is the basis for human existenc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place existence, there is a distinction as each being enters each place. These examples are found in 『Zhuang zi』. The Dapeng(大鵬) and cicada in Pengchengwanli(鵬程萬里), Zhuang zi(莊子) and Hui zi(惠子) in Zhiyuzhile(知魚之樂) etc. The existence of the subject is 'simultaneous' with the existence of complex forms of spatiality. And the identification of objectivity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spatiality, which means that objects can be placed, connected, separated, or connected to the self as a person who recognizes the object, and can be distinguished. It can think of "I," the speaker who recognizes it, beyond the place of "Butterfly" and "Zhuang zi," and "Observator" who crosses the place of liver and gallbladder. And it's another place beyond discretion. So it can be said that depending on how widely I think about the place where I find myself, I can identify the correlated nature of various locations from my current location. The forest owner, Zhuang zi, birds, warts and cicadas in the story of Diaolingzhifan(雕陵 之樊) are in their respective places. The link in this place can continue further, and perhaps this overlap is infinite. This overlap of places can cause disputes on the basis of their own. That's why Zhuang zi and Malpas are criticized. But their role ends here.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above-mentioned places of Zhuang zi and Malpas, we could see that each of us discussed the world in his own place, so that the place became the basis of existence, the existence was distinguished by place, and many problems of value judgment could arise in the overlap of each place. Then, the practical question of how to apply this now and make this place a better world remains a challenge for all of u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장자(莊子)』와 제프 말파스(Jeff Malpas)의 입장에서 본 ‘장소와 존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