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통일한반도 수도로서의 開城圈에 대한 풍수적 고찰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17.02
6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12,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수록지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2권
저자명 : 손진수

목차

논문 초록
Ⅰ. 서 론
Ⅱ. 개성의 역사, 인문지리적 조건과 도읍지로선정된 과정
Ⅲ. 개성의 풍수적 해석
Ⅳ. 개성권의 수도입지로서의 타당성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 이후의 수도로서 개성권에 대한 타당성을 풍수적으로 논의하는데 있다. 즉 남북한 중간에 위치하면서 용수가 풍부하고 물류가 편리하면서 통일한반도의 상징성이 깊은 古都개성과 그 인근지 역에 대한 풍수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개성은 물론 고려왕조와 조선왕조에 의해 천도(遷都) 후보지로 거론되었던, 불일사(佛日寺), 마하갑 (摩河岬), 장원정(長源亭), 백마산(白馬山) 우소궁(右蘇宮), 중흥궐(重興闕)과 흥왕사(興王寺) 이궁(離宮)을 그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위의 장소들을 검토 해 본 결과, 불일사 일대는 수몰되었고, 마하갑(摩河岬)은 국면이 작은데다 그 분지에 영통사(靈通寺)가 복원되었으며, 장원정(長源亭)은 조강(祖 江)까지의 거리가 불과 8백여 미터로 국면이 작고, 백마산(白馬山) 우소궁 (右蘇宮) 역시 당국(堂局)이 협소하며, 중흥궐(重興闕)은 개성권을 벗어나 서쪽으로 치우쳤다. 고려의 성왕(聖王)으로 일컬어지던 문종(文宗)이 실제적인 도읍지로서의 기능을 부여한 만큼, 심혈을 기울여 창건한 흥왕사(興 王寺)는, 사신사(四神砂)와 조산(朝山)이 잘 갖추어져 있고 그 남쪽으로 도시가 발전할 충분한 공간이 있어 입지가 유망해 보이는 바, 실제 현장답사를 통해 통일수도 입지로서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심도 있게 검토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 초록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Gaesung Metropolitan Area as the new capital site for Korea after reunification in Fengshui’s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adequacy of Gaesung area as a capital site is studied on the grounds of its easy access to water, convenient logistics, and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unification of the Koreas. Boolil Temple, Mahagap, Jangwonjung, Baekmasan(Uso Palace), Joongheung Palace and Heungwang Temple, which all were cited as a capital site during the Korea Dynasty and Chosun Dynasty, are also examined. However, the Boolil Temple area has been submerged. Mahagap is small in size and Yeongtong Temple was restored in that basin. Jangwonjung is also small in size as its distance from Han River is only 800 meters. Baekmasan(Uso Palace), which is close to the sea, is also small in size. Joongheung Palace leans toward the western part of Korea and is located outside the Gaesung area. Heungwang Temple which served as the practical capital during the reign of the Great King Munjong of the Korea Dynasty, is well equipped with Sasinsa and Josan(s), and has plenty of space for the city to develop in the sou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eungwang Temple for its feasibility as the capital site for the unified Korea through in-depth field survey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통일한반도 수도로서의 開城圈에 대한 풍수적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