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차광정도가 곤달비의 토양변화, 생육상황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11.12
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수록지정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구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20권 / 4호
저자명 : 박병모, 김창환, 배종향, 신중열

한국어 초록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 때문에 건물의 고층화 및 생활공간의 밀집화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 때문에 보다 많은 녹지면적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건물의 고층화로 인한 광부족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대기의 조건 등이 식물생육에 아주 부적합하다. 특히 건물의 고층화 및 밀집화로 식물 생육에 지장을 주는 음지로 인하여 식물생육에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음지에 강한 새로운 조경용 지피식물의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쌈채식물로 알려져 있는 곤달비를 30%, 50%, 80%의 차광에 재배를 하여 차광에 따른 토양환경의 변화, 식물생장,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엽수는 50% 차광이 10.8개, 30% 차광이 8.4개로 무차광재배의 7.7개에 비하여 많았으며 엽폭도 50% 차광 재배에서 가장 우수 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 식재가능 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 90.43g에 비하여 모든 차광재배가 각각 31.63g, 43.39g, 19.40g로 증가 하였으며 특히 뿌리의 생육이 줄기의 생육에 비하여 30% 차광재배의 12.33g에 비하여 48.48g으로 많이 증가 하였다. 엽록소 합성은 50% 차광의 경우 46.2로 무차광재배의 41.9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기타 차광재배의 경우는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곤달비의 차광재배의 결과 50% 차광처리가 지피식물로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영어 초록

It is true that the industrial development has usually been accompanied with urbanization or centralization of population that has inevitably led to high-rise buildings and densely built-up living area in the cities. While it is badly needed to acquire as much green land within the city limits as possible to compensate for reduced space for recreational purpose in parallel with increasingly urbanized area, the living conditions of plants have become seriously devastated due to shortage of sun light walled-off by high-rise buildings and contaminated environment and air. The shade that is generated by high-rise and compact buildings hinders growth of plants, which makes it urgent to develop native ground cover plant that is strongly viable in the shade. For this purpose, Ligularia stenocephala, best known as greens for Ssam (rice and condiments wrapped in leaves) was cultivated under the 30%, 50%, and 80% shadings and observed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changes in soil conditions, growth of plants and chlorophyll contents depending on the shading rate. The leaf number was 10.8 pieces under the 50% shading and 8.4 under the 30%-shading, 7.7 pieces more than that cultivated under lighting. The leaf width turned out to be excellent from cultivation under the 50%- shading, an evidence indicating its possibility of being cultivated as native ground cover plant in the shade. The live weight of the plants cultivated under the shading increased to 31.63 g, 43.39 g and 19.40 g, respectively, compared to 90.43 g of those in the untreated control plot. The increase in growth of roots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with 48.48 g in comparison to 12.33 g under 30% shading cultivation. The chlorophyll synthesis amounted to 46.2 under the 50% shading, showing an increase compared to 41.9 under lighting. The chlorophyll synthesis rather shrank under other shading conditions. The cultivation of Ligularia stenocephala under the 50%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 in growth as native ground cover plan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차광정도가 곤달비의 토양변화, 생육상황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