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거문도 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 인접 어장에서의 어획량과 어획종 변동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04.11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수록지정보 : 수산해양기술연구 / 40권 / 4호
저자명 : 박성욱, 김대권, 이정우, 안희춘

한국어 초록

한국 거문도 연안에서 시설된 세라믹 어초의 시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량과 어획종을 조사하였다. 어초 시설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621.9g으로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333.3%많았는데, 이를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적었던 반면 비시설구보다 97% 많았는데, ANOVA 분석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어초 시설구의 어획률은 11월에 최대, 5월에 최소치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연초구, 비시설구에서도 나타났다. 어초 시설구의 우점종은 참동,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저서성 및 회유성 어종이 혼재하였다.

영어 초록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ceramic artificial reefs on the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we have studied the variation of catch and species, which were caught by trammel net on the three fishing grounds of ceramic artificial reef, natural reef, and control(non-reef)in the coast of Geomun-do, Korea from 2001 to 2003. Catch per unit effort (CPUE ; g/panel) of fishing ground with the ceramic artificial reef area was 1,621.9g, it was about 67.9% higher than the natural reef area 333.3% higher than the control area. The catch of fish with the ceramic artificial and the natural reef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Tukey test,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ramic artificial reef and the control are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Monthly mean number of species caught by the artificial reef area, the natural reef area and the control area was no difference by ANOVA test. The catch of fish was highest in November and lowest in May, whish was associated with the natural reef and the control a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demersal fishes living around rock such as Pagrus majir, Thamnaconus modestus, Stephanolepis sirrhifer, Pleuronichthys curntus, and Ostracion cubicus in the artificial reef area, but demersal of migratory fishes in the natural reef and the control area.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거문도 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 인접 어장에서의 어획량과 어획종 변동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