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금명보정(錦溟寶鼎)의 시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17.06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콘텐츠연구소 수록지정보 : 문화와예술연구 / 9권
저자명 : 정영식

한국어 초록

금명보정(錦溟寶鼎, 1861~1930)은 구한말의 승려이자 지식인으로서, 1, 000여수의 시를 남기고 있다. 그는 송광사를 중심으로 전라도 지방에 서 주로 활동하였는데, 적극적인 사회활동보다 절에서 글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는 일에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그의 시 속에는 시대상황을 반영 한 것들도 많이 존재하는데,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이 삼일독립운 동 뒤에 감옥에 갇힌 것을 안타까워하는 시나 동경대지진(東京大地震) 을 묘사한 시 등이 그것이다.
그는 대단한 문필가이자 승려들을 가르친 강사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글을 짓고 경전을 읽는 것을 주로 하였다. 하지만 그의 시 속에는 승려로 서 수행에 몰두하지 않고 시와 글을 짓는 것에 대한 자괴감 등도 엿보인 다. 그의 삶의 모델은 유마거사(維摩居士)인데, 그의 시 속에는 유마거사 에 대한 시도 종종 보인다. 한편 그는 당시의 한국승려들과 마찬가지로 간경(看經), 참선(參禪), 염불(念佛)을 동시에 닦고 있었는데, 이를 삼문 수업(三門授業)이라고 한다. 그는 참선에 있어서는 무자화두(無字話頭) 를 참구하고 있었으며, 무자화두에 대해 읊은 시도 존재한다.
나아가 그는 평소 염불을 닦아서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왕생하고자 하였는데, 특히 말년에 이르러서는 열심히 염불수행을 하였다. 또 장편 염불가요(念佛歌謠)인 『정토찬백영(淨土讚百詠)』을 남기고 있는데, 이 는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의 『백암정토찬(栢庵淨土讚)』을 본 뜬 것이다. 『정토찬백영』은 한국의 정토가요(淨土歌謠)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높은 작품이다.

영어 초록

Geummyeongbojeong (錦溟寶鼎, 1861~1930) was a Buddhist priest and an intellectual during the last years of Joseon dynasty, and some 1,000 of his poems remain to date. He mostly stayed and worked in Jeolla province, especially at Songgwangsa Temple. Rather than actively engaging in social movements, he concentrated on writing and teaching students at the temple. Still many of his poems reflect social events and circumstances of the day, for instance, a poem where he lamented imprisonment of Han Yongun (韓龍雲, 1879~1944) follow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or a poem that described the Tokyo earthquake.
As an outstanding writer and a teacher to Buddhist priests, he spent most of his time writing and reading Buddhist scriptures. However, in his poem, we can feel his agony over writing poem and essays, for neglecting practice as a priest. His role model was Yumageosa (維摩居士) who is frequently mentioned in his poem. Like other Korean priests at the time, he simultaneously worked on gangyeong (看經), chamseon (參禪), and yeombul (念佛), which were referred to as sammunsueop (三門授業). In Zen meditation, he sought mujahwadu (無字話頭), which is also mentioned in some of his poems. He aspired to reach the Buddhist pure land by chanting prayers, and this effort intensified as he aged.
He wrote a lengthy song of Buddhist prayers titled 'Jeongtochanbaekyoung (淨土讚百詠)', naming it after 'Baekamjeongtochan (栢庵淨土讚)' by Baekamseongchong(栢 庵性聰, 1631~1700). Among songs on the Buddhist pure land written in Korea, 'Jeongtochanbaekyoung' is lauded as a great achievemen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금명보정(錦溟寶鼎)의 시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