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의 경형동기 연구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17.04
3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청동기학회 수록지정보 : 韓國靑銅器學報 / 20권
저자명 : 吳江原

목차

Ⅰ.머리말
II. 경형동기의 개념과 형식
1. 개념과 명칭
2. 형식 분류
III. 형식 변천 관계와 시공간적 양상
1. 형식 변천 관계와 연대
2. 시공간적 양상
IV. 부장 양상 및 기능과 성격
1. 지역과 문화 별 부장 양상
2. 경형동기의 기능과 성격
V. 맺음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경형동기는 정면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는 직경 5cm 이상의 평면 원형의 뉴가 달려 있는 청동기이 다. 주연부의 꺽임 여부를 제1기준, 뉴 위치를 제2기준, 크기를 제3기준으로 할 때 전체 8개 형식으로 분류된다. 대체로 기원전 10~9세기에는 A형계와 B형계가 모두 확인되는 반면, 이후부터는 뒷 시기로 갈수록 A형계만이 지속되는 가운데 뉴가 중심뉴에서 중연뉴를 거쳐 변연뉴로 이동되는 양상을 보인 다. B형계는 기원전 10~8세기 하가점상층문화에만, AIb식·AIc식은 기원전 6~5세기 심양시에만, AIIa 식은 기원전 5~4세기 중엽 길림시에만, AIIIa식은 기원전 3세기 전엽 함평군 일대에만 분포한다. 하가점상층문화의 경형동기는 주로 요대와 관련 부속물에 착장되어 수장층의 의례 활동 관련의 의기 이자 보조적인 위세품으로만 사용된 반면, 정가와자유형에서는 수장층이 살아 생전에 사용한 의기 외 에 수장의 죽음을 영송하는 장례 관련 특수 기물과 위세품적 고급 거마장식류로도 사용되어졌으며, 서 단산문화 후기단계에서는 주로 목에 걸고 사용하는 의기로 사용되어졌고, 강상문화 누상단계에서는 주 로 위세품으로 사용되어졌고, 한반도 영산강 유역의 함평군 상곡리집단에서는 수장이 의례를 진행할 때 여러 매를 그물 구조의 끈에 연결하여 이를 목에 걸어 착용하던 의기로 사용되어졌다.

영어 초록

The mirror-shaped bronze vessel is a bronze vessel with a protruding round handle 5cm or more in diameter in the center of the vessel. With the curvature of the periphery as the first criteria, the location of the handle as the second criteria and size as the third criteria, these vessels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eight types. Generally during the B.C. 10th-9th centuries both A and B types can be found but in later periods only the A type remains and the handle shows a tendency to move from the center, to a point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and finally to the periphery. The B type is found only in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of the B.C. 10th-8th centuries, the AⅠb and AⅠc only in Shenyang city of the B.C. 6th-5th centuries, the AⅡa type only in Jilin city during the B.C. 5th-mid 4th centuries and the AⅢa type is distributed only in Hampyong district during the early 3rd centuries B.C. The mirror-shaped bronze vessel of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was attached to a waistbelt or other related accessories and mainly used as a ceremonial vessel related to the ceremonial activites of the ruling class and as supplementary prestige goods but in the Zhengjiawozi type culture in addition to being used during the lifetime of the ruling class it was also used as a funeral related special vessel to send off the deceased and also as a high-class chariot ornament, during the late phases of the Xituanshan culture it was mainly used as a ceremonial vessel worn around the neck, during the Gangshang culture Loushang phase they were mainly used as prestige goods and in the Sanggokli group of Hampyong district of the Yongsangang river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were used as ceremonial vessels where several mirror-shaped bronze vessels were attached using a net-shaped string and worn around the neck when the ruling class were performing ceremoni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의 경형동기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