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Microbial Contamination in Kitchens and Refrigerators of Korea Households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15.12
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0권 / 4호
저자명 : Joonbae Hong, Seung-Yong Lim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Sample collection
Bacterial isolation
Coliforms
Results and Discussion
Coliforms of kitchen utensils from domestic homes
Foodborne bacteria
Correlation between S. aureus and coliforms in dishcloths and refrigerator drawers
국문요약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인천 및 서울 지역에 있는 50 곳의 가정 내 주방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 정도에 대해 조사하여 가정 내 주방 위생 관리 실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행주, 냉장고 칸, 도마의 대장균군과 다양한 병원성미생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방기구의 대장균군을 분석한 결과, 행주는 4.8 ± 1.84 log CFU/100 g, 검출률 94.0% (50건 중 47건)의 값을 나타내었고, 냉장고 칸은 4.11 ± 1.65 log CFU/100 cm², 검출률 96% (50건 중48건), 도마는 4.04 ± 1.53 log CFU/100 cm², 검출률 90.0%(50건 중 45건)로 나타났다. 병원성 세균의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E. coli는 행주에서 6.0%, 냉장고 칸에서 2.0%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 같은 경우에는 냉장고 칸에서 4.0%의 검출률을 보였다. Salmonellaspp.과 Campylobacter jejuni의 경우에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에는 행주,도마, 냉장고 칸에서 각각 42.0%, 24.0%, 28.0%로 모두높은 검출률을 보여 위생관리 소홀의 심각성을 나타내었다. 가정 내 주방용품 및 기구의 미생물학적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행주 및 도마, 냉장고 칸에서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과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 구균의 높은 검출률을 보여 가정 내주방의 위생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가정 내 주방에서의 위생 관리와 사용실태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가정에서도 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of domestic kitchen environm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improve food safety in 50 domestic house kitchen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Dishcloth, chopping board, and refrigerator swab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coliforms, Salmonella spp., Campylobacter jejuni/coli,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coliform counts for dishcloths was 4.8 ± 1.84 log CFU/100 g, chopping boards, and refrigerator drawers were 4.04 ± 1.53, 4.11 ± 1.65 log CFU/100 cm², respectively. Salmonella spp. and Campylobacter jejuni/coli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E. coli were detected in 3 on the dishcloths and 1 of 50 samples in the refrigerator drawer. Listeria monocytogenes was detected in the drawer of the refrigerator in 2 of 50 samples. In the case of Staphylococcus aureus, the detection on dishcloths, chopping boards, and drawers in refrigerators was 21, 12, and 14 of 50 sampl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tests of domestic kitchen utensils can be us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sanitary conditions in domestic kitchen environment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Microbial Contamination in Kitchens and Refrigerators of Korea Households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