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십자가 모티브의 표현적 변형: 리스트 B단조 소나타를 중심으로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10
최종 저작일
2022.06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수록지정보 : 음악이론포럼 / 29권 / 1호
저자명 : 김유미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십자가 모티브의 표현적 변형을 통한 내러티브적 분석
2.1. B단조 소나타의 다섯 개의 모토(mottos)
2.2. 십자가 모티브의 내러티브: ‘비극과 고통에서 다시 쟁취해 낸 승리’
3. 나가는 글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연구자의 박사 학위 논문 중 1장과 3장 2절을 중심으로 발췌 및 번역한 것으로, 리 스트(Franz Liszt, 1811-1886)의 B단조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십자가 모티브(cross motive)의 주제 적, 표현적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 모티브의 변형을 통해 생성되는 내러티브적 해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십자가 모티브는 그레고리안 성가 ≪신앙의 십자가≫(Crux Fidelis)에서 유래한 선율적 모티브로, 리스트의 작품에서는 기독교에서의 구원을 의미하거나 그의 신앙심이 표현되는 맥락에서 주로 사용된다. 리스트의 소나타에서는 다섯 개의 모토가 주제적 발전의 기초적 아이디 어를 제공하며, 그 중 네 번째 모토인 십자가 모티브는 5번에 걸쳐 등장하며 주제적 변형뿐만 아 니라 표현적 변형의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은 음악이 진행됨에 따라 음악적 아이디어가 정서적 상태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클라인(Michael Klein)의 용어 ‘표현적 변형’(expressive transformation)과 해튼(Robert Hatten)의 ‘표현적 장르’(expressvie genre)의 개념을 연구의 출발 점으로 삼는다. 제시부의 2주제 영역에서의 십자가 모티브의 첫 등장은 화려하고 장대한 반주와 상승하는 십 자가 모티브 선율의 조합으로 인해 D장조에서 종교적인 장엄함을 드러낸다. 반면 발전부에서 제 시된 십자가 모티브는 단조성의 선율, 낮은 음역, 불협화음, 강한 다이내믹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모습으로 변모하다. 이는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상태가 비극적으로 변형되었음을 보여준다. 재 현부와 코다에서 등장하는 십자가 모티브는 이전의 종교성, 장엄함, 영웅적 당당함, 승리를 다시 회복하며 기쁨과 환희에 찬 절정의 감정적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십자가 모티브의 변형은 ‘비극과 고통에서 다시 쟁취해 낸 승리’의 내러티브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러티브 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헐리우드 영화 ≪레버넌트≫의 정서 구조와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흐름 에서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발견했고, 상호텍스트적 맥락의 적용을 통해 본 논문이 제시 하는 해석학적 분석에 대한 접근성과 흥미를 높이고자 했다.

영어 초록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ross motive in Franz Liszt’s Sonata in B Minor (1853) is transformed throughout the piece and suggests a narrative analysis resulted from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its expressive state. The cross motive is a melodic segment derived from the Gregorian chant Crux Fidelis and appears five times in Liszt’s sonata. In Liszt’s instrumental music, motto themes become a vehicle for thematic transform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states change over time like characters in a narrative. Michael Klein calls this change in the musical narrative “expressive transformation” (2004, 32). The first presentation of the cross motive displays majesty and glory because of the rising melody of the motive with the repeated full-chord accompaniment in D Major. However, the second and third presentations of the motive reveal a tragic expressive state due to minor keys and dissonant harmonies. The cross motive reappears in B Major in the recapitulation and coda and accomplishes the glorious triumph with an apotheosis, recovering its religiousness and magnificence. The cross motive undergoes the expressive transformations, religious-to-tragic- to-triumph, in its long narrative journey throughout the sonata. Furthermore, my narrative analysis opens a hermeneutic window on this sonata as it relates to Liszt’s religious conviction, and considers intertextuality in the sonata and a recent film, The Revenant, which expresses a similar emotional change. Intertextuality between Liszt’s sonata and the film helps us reimagine the sonata as if undergoing glorious to tragic to victorious stat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십자가 모티브의 표현적 변형: 리스트 B단조 소나타를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