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觀世音菩薩 神變思想의 儀禮化에 대한 考察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7.31
최종 저작일
2023.06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수록지정보 : 불교문예연구 / 21권
저자명 : 설동철(원묵)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천수경』의 의례화
IV. 진언문 신변사상의 의례화
1. 진언문의 등장과 자생유가(自生瑜伽)
2. 양부경전(兩部經典)의 자생유가의례(自生瑜伽儀禮)
V. 오자엄신관의 의례화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밀교의 신변사상과 관음신앙이 결합하여 어떻게 의례화되었 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시에 관음이 신변사상(神變思想) 과 결합하여 진언문(眞言門)을 형성하게 된다는 역사적 연속성을 고찰한 것이다. 부파불교시대에 정립된 석가모니불의 전생 보살에 대한 관점은 대승불교의 성립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불교사의 전개는 대승 보 살의 서원을 실현하기 위한 수행을 구체화하는 쪽으로 큰 줄기를 형성함 을 보여준다. 대승 보살이 내생에 다시 사바세계에 태어나기 위해서는 상 당한 수행을 갖추어야 하는데 보살 수행의 단계를 결정한 보살지의 설정 은 제8지 보살에 이르러 비로소 보살의 원력 실현이 가능하다는 이론을 제시한다. 보살의 원력은 중생세간에 태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중생을 구 제하기 위한 높은 능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바람은 법화경 「보문품」에서 보이듯 관세음보살의 33응신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천수 경에서는 대비주(大悲呪)의 시설과 함께 보살의 원력에 대해 성불하고 난 후 신변을 통해 중생을 구제하는 발원으로 구체화된다. 보살사상의 발 전은 대승불교의 불신론(佛身論)을 자극하여 열반법신을 성취한 불신은 열반의 경계에 머물지 않고 중생을 구제하는 응신(應身)을 구족하는 이신 론(二身論)이 등장하고 이어 정토불의 보신과 함께 법신・보신・화신의 삼신론으로 구체화된다. 대승불교사상의 발전은 사바세계에 태어나는 부 처의 존재에 대해 중생구제를 위해 의도적으로 왕자로 태어나 12두타행 을 선보이는 화신설을 가정하게 된다. 이어 중생계를 열반세계로 향수하 여 중생을 구제하는 부처의 신변사상이 등장하고 7세기 대일경(大日 經)의 성립을 계기로 법신 비로자나여래가 중생계를 전전하며 중생을 구 제하는 일체지지(一切智智)와 신변사상(神變思想)으로 구체화되며 석존시 대의 부정관(不淨觀)과 사념처(四念處) 수행에서 비롯된 관상(觀想)과 소 연(所然)을 활용한 진언문의 유가행으로 구체화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inuity that the idea of Bodhisattva which Sakyamuni Buddha had established during his pre-life life as Bodhisattva in Buddha’s life literature was finally developed to produce the Mantrayana Gate(眞言門) by combining the practices and the ideas of emanation body in Mahayana Buddhism. The Bodhisattva of pre-life declared that he would born in this mundane world so as to save those beings until they banished completely, which idea became the pole of Bodhisattvas idea that Mahāsattvas in Mahayāna Buddhism like Samantabhadra(普賢菩薩), Manjusri(文殊菩薩) and Avalokitesvara(觀世音菩薩), etc had succeeded. This religious wish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s was appeared by 33 emanation body in Lotus Sutra(法華經) which in Thousands Armed Sutra(千手經) the religious wish is appeared by the resolution that the practitioner would achieve the stage of Mahasattva and would save the sentient beings like Avalokitesvara. The development of Mahayāna Buddhism was resulted in the idea of Buddha’s body of Dharma-kaya(法身), Sambhoga-kaya(報身) and Nirmana-kaya(化身) which was established by Yogacarya school.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of Mahāyana Buddhism produced the idea of Nirvana that this mundane world itself is supermundane world by its nature of Tathagara Garbha(如來藏) and that even Buddhas can rebirth in the mundane world to save sentient beings like Bodhissattvas by adopting the desires of mundane beings as those Buddhas have no discrimination of birth-dead and Nirvana. The purpose of Bodhisattva’s practice to attain Ultimate Wisdom (一切智智) of emanating his boy in mundane world was absorbed in the rite or ritual of practice system of Mantra Gate of Vairocana Sutra which represents the refine concepts and contuinity of Buddhist idea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觀世音菩薩 神變思想의 儀禮化에 대한 考察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