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조류 조사 방법으로써 생물음향 녹음과 현장 조사의 비교 -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를 대상으로 -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11.20
최종 저작일
2023.10
1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7권 / 5호
저자명 : 최세준, 기경석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및 대상종
2. 조사 및 분석
결과 및 고찰
1. 생물음향 탐지 기법으로 탐지된 종 목록
2. 생물음향 탐지 기법과 현장조사의 결과 비교
3. 고찰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야생조류 생물음향 탐지와 현장 조사의 결과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야생조류 조사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였다. 생물음향 탐지 기간은 2020년 12개월간이었다. 생물음향 탐지는 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 meter SM4)를 각 연구대상지에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현장 조사는 Banjade et al. (2019)의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의 조류군집 장기간 동향」 결과를 인용하였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물음향 탐지 기법을 통해 확인된 조류상은 동백동산에서 29과 46종, 1100고지 습지에서 16과 25종이었다. 두 번째, 울음 빈도를 통해 나타난 종 구성은 동백동산에서 직박구리(33.62%), 섬휘파람새(12.13%), 동박새(9.77%) 순으로 나타났고, 1100고지 습지에서 큰부리까마귀(27.34%), 섬휘파람새(19.43%), 직박구리(16.56%) 순으 로 나타났다. 세 번째, 동백동산에서 실시한 현장 조사의 경우 2009년 39종, 2012년 51종, 2015년 35종, 2018년 45종이 조사되었고,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46종이 확인되었다. 1100고지 습지에서 실시한 현장 조사의 경우 2009년 37종, 2012년 42종, 2015년 34종, 2018년 38종이 조사되었고,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25종이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동백동산에서 확인된 78종 중 43.6%인 34종, 1100고지 습지에서 확인된 47종 중 38.3%인 18종이 생물음향 탐지로 확인되었 다. 네 번째, 현장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확인된 종은 동백동산에서 9과 12종, 1100고지 습지에서 3과 7종으로 대표적으로 소쩍새, 솔부엉이와 같은 야행성 조류, 쇠유리새, 울새와 같은 나그네새, 도래하는 개체수가 상대적으 로 적은 황여새, 솔잣새와 같은 겨울철새가 있다. 다섯 번째, 현장 조사에서 확인된 종 중에서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종은 동백동산에서 18과 48종, 1100고지 습지에서 14과 27종으로 대표적으로 백로과, 수리과, 솔딱새과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물음향 장비 운용을 통한 조류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현장 조사와 생물음향 탐지를 병행했을 때 효과적인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는 기초 자료를 작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for surveying wild bird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bioacoustic detection with those obtained through a field survey. The study sites were located at Dongbaek-dongsan and a 1100-altitude wetland in Jeju-do, South Korea. The bioacoustic detection was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12 months in 2020. For the bioacoustic detection, a Song-meter SM4 device was installed at each study site, recording bird songs in 1-min per hour, .wav, and 44,100 Hz format. The findings of the field survey were taken from the 「Long-term trends of Bird Community at Dongbaekdongsan and 1100-Highland Wetland of Jeju Island, South Korea.」 by Banjade et al.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ifauna identified using bioacoustic detection comprised 29 families and 46 species in Dongbaek-dongsan, and 16 families and 25 species in the 1100-altitude wetland. Second, based on the song frequency, the dominant species in Dongbaek-dongsan were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33.62%), Horornis diphone (Japanese Bush Warbler, 12.13%), and Zosterops japonicus (Warbling White-eye, 9.77%). In the 1100-altitude wetl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Corvus macrorhynchos (Large-billed Crow, 27.34%), H. diphone (19.43%), and H. amaurotis (16.56%). Third, in the field survey conducted at Dongbaek-dongsan, the number of detected bird species was 39 in 2009, 51 in 2012, 35 in 2015, and 45 in 2018, while the bioacoustic detection identified 46 species. In the field survey conducted in the 1100-altitude wetland, the number of detected bird species was 37 in 2009, 42 in 2012, 34 in 2015, and 38 in 2018, while the bioacoustic detection identified 25 species. Overall, 43.6% of the 78 species detected in the field survey in Dongbaek-dongsan (34 species) were identified using bioacoustic detection, and 38.3% of the 47 species detected in the field survey in the 1100-altitude wetland (18 species) were identified using bioacoustic detection. Fourth, the bioacoustic detection identified 9 families and 12 species of birds in Dongbaek-dongsan, and 3 families and 7 species of birds in the 1100-altitude wetland. No results from field survey were available for these species. The identified birds were predominantly nocturnal, including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and Ninox japonica (Northern Boobook), passage migrants, including Larvivora cyane (Siberian Blue Robin), L. sibilans (Rufous-tailed Robin), and winter visitors wit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visiting individuals, such as Bombycilla garrulus (Bohemian Waxwing) and Loxia curvirostra (Red Crossbill). Fifth, the birds detected in the field survey but not through bioacoustic detection included 18 families and 48 species in Dongbaek-dongsan and 14 families and 27 species in the 1100-altitude wetland; the most representative families were Ardeidae, Accipitridae, and Muscicapida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essential data supporting the possibility of an effective survey combining bioacoustic detection with field studies, given the increasing use of bioacoustic devices in ornithological studies in South Korea.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조류 조사 방법으로써 생물음향 녹음과 현장 조사의 비교 -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를 대상으로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