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滴天髓闡微 「形象」章의 재조명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4.01.15
최종 저작일
2023.12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수록지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15권
저자명 : 신경수

목차

Ⅰ. 여는 글
Ⅱ. 적천수천미와 「형상」장의 성립
1. 적천수천미의 체제
2. 「형상」장의 구성
Ⅲ. 적천수와 여타 명리서에서의 상론(象論) 전개
1. 「형상」장의 상론: 양기(兩氣)와 독·전상(獨·全象)
2. 「화상」장의 상론: 진화(眞化)와 화신(化神)
3. 적천수외 명리학고전의 화와 화신
Ⅳ. 「형상」장의 비판과 재검토
1. 임철초주석의 문제점
2. 「형상」장의 재해석
Ⅴ. 맺는 글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명리학의 중요고전인 「적천수」는 명리연구가들에 의하여 다수의 주석서가 지어졌다. 명사「예문지」에 그 서목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명대 또는 그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간결한 시결의 형태였던 원문에 최초의 주석(「 원주」)이 나타났고, 청대이후에 일군의 명리학자들이 주석서를 지었으니, 임 철초의 주석을 담은 적천수천미가 그중의 하나이다. 풍부한 설명과 사주의 예시를 담았던 임철초의 주석은 근현대의 명리연구가들이 적천수를 이해하 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러나 임철초의 주석에서 일부의 용어의 개념이 혼란하여 사용된 정황이 있 었다. 본 논제인 적천수천미의 「형상」장에서 주요하게 등장하는 용어가 「형 상」장이외의 용례와는 다르게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논자는 여타의 곳에서 사용된 그 용어의 용례를 기반으로 하여 논란의 「형상」장의 용어개념 을 새로이 정의하여 재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재해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 였을 때 임철초주석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소통하여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었 으며, 「형상」장의 원문의 의미를 되살릴 수 있었다. 아울러 명리학자들이 주지하다시피 명리학의 고전을 연구하는데 고전과 고전 또는 이론과 이론 사이에 상호 교차하여 점검해보는 방식은 중요한 문 헌연구방법의 하나일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하여 재해석하였을 때 적천수내부의 이론적 맥락에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나아가 여타 명 리학고전과도 학론을 상통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발표가 명리연구가들에게 고 전을 바라보는 안목과 해석하는 관점을 고양시키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주제어: 명리학, 적천수, 형상, 형상론, 화신, 화상, 화기, 양신성상.

영어 초록

The important classic of mingli studies, Jeokcheonsu(滴天髓), has been commented on by numerous mingli researchers. The fact that the book appears in the 「 Yemunji(藝文志)」,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during or before the Ming dynasty, suggests that it was written in the early Ming dynasty or before. The original text was in the form of concise poetry, and the first commentary (「 Wonju(原注)」) appeared. After the Qing dynasty, several mingli scholars wrote commentaries, including Jeokcheonsucheonmi, which contains Lim Cheol-cho's commentary. Lim's commentary, which contained abundant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saju,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Jeokcheonsu by modern mingli researchers. However, some concepts of certain terms used in Lim Cheol-cho's commentary were confused. In the 「Depiction-Form」 chapter, which i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piction-Form」 chapter was being used differently from other examples. The author redefined and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the terminology in question based on its usage in other contexts, resulting in a consistent and coherent understanding of Lim's commentary as a whole and a revival o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Depiction-Form」 chapter. Furthermore, as mingli scholars have noted, examining and cross-referencing classics and theories in mingli studies is an important method of literary research. Using this research method, the author was able to maintain consistency within the theoretical context of Jeokcheonsu and also align with other mingli classic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mingli researchers develop a broader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滴天髓闡微 「形象」章의 재조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