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컴퓨터일반]【A+】인터넷보급의 확산이 청소년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진*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4.11.26
최종 저작일
2011.05
5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양과 내용 모두 만족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자료 만들기 바랍니다.^^ 수정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이버공간의 청소년과 사이버문화
1. 사이버공간의 청소년들
2. 한국의 인터넷 문화

Ⅲ. 청소년들의 인터넷 활동의 유형화
1. 인터넷 활동 유형과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발달간의 관계
2.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의 매개(mediating) 및 보호 역할

Ⅳ. 청소년의 사회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징

Ⅴ. 사이버상의 음란물 및 폭력물접촉이 문제행동으로 이끌어지는 과정
1. 기존의 이론 및 모델
2. 새로운 종합 모델
3.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과 성(性)의식

Ⅵ. 정보의 디지털화가 야기시키는 문제들
1. 정보의 디지털화
2. 정보의 디지털화가 야기하는 문제들
3. 청소년의 인권보호를 위해서 할 수 있는 것들..

Ⅶ. 인터넷 사용과 청소년의 심리
1. 조사대상 청소년의 전반적인 심리 특성
2. 인터넷 사용경험과 청소년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3. 인터넷 중독
4. 음란정보 이용과 성의식의 변화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오랫동안 수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과거 몇 년 동안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청소년들은 기성세대들이 접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 즉 사이버세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사이버세계는 청소년들에게 시야를 넓게 해주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는 반면 오히려 그로 인한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부작용의 하나가 청소년의 사이버상에서의 문제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사이버상에서의 문제행동은 최근에 등장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일반인들에게는 매우 생소하다. 그것은 사이버상에서의 문제행동이 컴퓨터의 출현 및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등장한 청소년의 신(新) 문제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버상의 문제행동은 그 폐해가 심각하기 때문에 여러 청소년문제들 중에서도 가장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인터넷중독은 다른 사이버상의 문제행동보다 주목받고 있다. 그 결과 고려대학교에서는 인터넷중독을 전문으로 다루는 상담실을 운영하고 있고 YMCA에서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만을 상담하는 상담실을 운영할 예정이다.

참고 자료

1). 김상원․신동진․송인숙․박순정. 1996.『남자고등학생의 성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가족계획협회 부설 성문화연구소.
2). 김진숙․최수미․강진구. 2000.『청소년의 PC중독』.한국청소년상담원.
3). 박명진. 1996. “정보격차와 세대차이” 『정보사회와 사회윤리』. 아산사회복지재단.
4). 박성정. 1996. “청소년의 성(이성교제, 성행동, 혼전 성 허용성, 성지식, 성역할 특성, 성교육)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논문.
5). 박윤창․김근영․윤진. 1996. “음란출판물 접촉과 청소년의 성관련 태도 및 비행간의 관계,” ꡔ한국심리학회지:발달ꡕ 제9권 제2호. 79-90쪽.
6). 배진한. 1995.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이 대인커뮤니케이션 채널 및 정보이용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뱍사학위 논문.
7). 송원영. 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심영희․김혜선. 1999.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음란성 간행물과 청소년 보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9). 안정임․김동규.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증후군 및 음란물 접촉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10). 어기준. 1999. 『컴퓨터와 야한 아이들 그리고 순진한 부모』. 아세아 미디어.
11). 엄연수. 1997. “로맨스 문화를 통해 본 여고생의 성의 사회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2). 윤자영. 1998. “포르노 재현물에 대한 여성의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3). 윤재희. 1998. “인터넷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구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동원. 1997. “정보화사회와 소외: 청소년의 소외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및 한국가족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15). 이세용. 1998. “사회적 관계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0(2): 41-71.
16). 이영숙․이춘화․이정애. 1995. 『청소년의 이성교제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7). 이용수. 1998. “인터넷 이용자의 현실지각에 관한 연구-대학생의 이용 동기, 활동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이원숙․조영미․윤자영․김지혜․윤이경미. 1998. 『음란물이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19). Berndt, T. 1979. "Developmental Changes in Conformity to Peers and Parent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Pp.606-616.
20). Bronfenbrenner, U. 1970. Two Worlds of Childhood: U.S. and U.S.S.R.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21). Calvert, Sandra L. 1999. Children`s Journeys through the Information Age. Boston: McGraw-Hill College.
22). Cooper, A., Scherer, C., Boies, S., and Gordon, B. 1999. "Sexuality on the Internet : From Sexual Exploration to Pathological Expression," Professional Psychology : Research and Practice, v.30, Pp.154-164.
23). Corsaro, W.A. and D. Eder. 1995.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ological Perspective on Social Psychology, ed. by K.S. Cook, G. A. Fine, J. S. House. Boston: Allyn and Bacon.
24). Dibbell, J. 1998. "A Rape in Cyberspace," Composing Cyberspace : Identity, Community, and Knowledge in the Electronic Age, ed. by R. Holeton, Boston, MA : McGraw Hill, Pp.83-98.
25). Rubin, A. M. 1994. "Media Uses and Effects," in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eds.) J. Bryant & D. Zillmann. Hillsdale, N.J.: Erlbaum.
26). Simmons, R., M. Rosenberg, and R. Rosenberg. 1973. "Disturbance in the Self-image at Adolesce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9: Pp.553-568.
27). Spears, R. and M. Lea. 1994. "Panacea or Panopticon: the Hiddle Power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21(4): Pp.430-431.
28). Stryker, S. 1979. "The Profession: Comments from an Interactionist`s Perspective." Sociological Focus 12: Pp.175-86.
29). Tapscott, D. 1998. Growing Up Digital: Net Generation. McGraw-Hill. (허운나․유영만 역. 1999. ꡔN세대의 무서운 아이들ꡕ. 도서출판 물푸레.)

자료후기(1)

*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컴퓨터일반]【A+】인터넷보급의 확산이 청소년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