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경제]【A+】한국경제의 기적과 정체의 원인 분석 및 향후 진로 선택

*진*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5.05.04
최종 저작일
2011.04
3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 경제에 관한 논문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 얻기를 바랍니다. 수정된 자료입니다.

목차

제 Ⅰ 장 서 론

제 Ⅱ 장 한국경제 잃어버린 15년 : 한국경제의 현 좌표

제 Ⅲ 장 경제발전의 원리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경제발전원리, 무엇을 알고 있나?
2. 인류의 진화는 차별화과정의 산물
3. 경제발전의 원리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경제체제의 구성과 차별화장치의 작동 메커니즘
5. 경제발전의 과정에 대한 이해
6. 차별화가 초래하는 결과의 불평등 문제에 대한 대응 원리

제 Ⅳ 장 한국의 경제발전과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박정희 패러다임의 성공요인 : 관치차별화
2. 한국경제 성장의 장기정체 원인 : 관치평등화

제 Ⅴ 장 한국의 경제개혁 과제
1. 시장에 의한 차별화 전략
2. 시장차별화 개혁의 보완과제

제 Ⅵ 장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본 연구는 한국경제발전의 40년 사를 돌아보고 향후 한국경제의 선진화를 위한 발전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경제발전사는 몇 가지 흥미 있는 연구테마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한국의 경제이륙(take-off)은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를 정도로 예외적이고 특이한 변화과정을 겪었다. 소위 박정희 패러다임이라고 부르는 철저한 관치경제‧금융하에서 시행된 산업정책은 20여 년 간 연평균 8%가 넘는 초고속 성장을 가져왔다. 주류 신고전파 경제학은 산업정책의 비효율성을 설파하고 있으며, World Bank, IMF도 같은 관점에서 회원국들에 정부의 개입을 줄일 것을 권장해 오고 있다. 그러면 산업정책이 주도한 한국경제의 성공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 것인가? 이 문제는 아직 세계경제학계에서도 합의를 얻지 못하고 있는 난제로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이렇게 놀라운 기적 속에 이륙한 한국경제가 1980년대 중반 이후 15년여의 적극적인 경제개혁의 노력의 결과 얻은 것은 무엇인가? 1997년의 외환위기가 경제개혁의 성과인가? 1990년대 중반에 달성한 1인당 소득 10,000달러는 왜 아직도 그 수준에서 맴돌고 있는가? 이러한 한국경제의 장기성장정체는 그 동안의 경제개혁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지난 15년여의 개혁결과는 “시장경제개혁의 실패”를 암시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향후 경제개혁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박정희식 산업정책으로 회귀해야 하는가? 아니면 그 동안의 소위 실패한 개혁을 지속해야 하는가?
이들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박정희 관치‧산업정책 패러다임의 성공요인을 알아내야 하며, 그리고 그 동안 “시장경제 개혁”이 어떠한 문제가 있었는지를 규명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 없이는 향후 경제개혁의 로드맵을 찾아내기는 불가능한 일인 것처럼 보인다. 아마도 그 동안의 경제개혁이 아직도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어쩌면 박정희 패러다임의 성공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현재 소위 시장경제개혁이라는 이름 하에 진행되고 있는 각종 경제개혁 조치들이 과거와 마찬가지로 한국경제 장기정체를 오히려 조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궁금한 일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국경제의 미래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한국경제 40여 년 발전사를 회고하고 이를 통해 한국경제의 현 좌표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강의 기적”의 원인이 무엇이냐?, 왜 경제개혁 이후 오히려 한국경제의 장기성장의 정채를 초래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러한 질문이 아직도 합의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경제학이 아직도 경제발전의 원리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하에 제3장에서는 경제발전의 기본원리에 대한 규명작업을 하고 있다.
제3장은 경제발전의 원리는 한마디로 말해 잘하는 경제주체와 못하는 ..

참고 자료

1). 김정렴(1990), 『한국경제정책 30년사』, 중앙일보사
2). 리처드 리키, 로저 르윈(1995), 『續오리진(Origins Reconsidered)』, 최정필 옮김, 세종서적
3). 민경국(2003), 『독일경제의 침체원인과 한국경제에 대한 교훈』
4). 좌승희(1998), 『진화론적 재벌론』, 비봉출판사
5). ,(2002), 『기업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조명』, 한국경제연구원
6). 월간조선, 2003년 7월호
7). Amsden, Alice H.(1989), "Asia`s Next Gia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8). Chang, Ha-Joon(2002), "Kicking Away the Ladder: Development Strategy in Historical Perspective", Anthem Press, London
9). Jwa, Sung-Hee(2000), " A New-Institutional Economics Perspective of Corporate Governance Reform in East Asia",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 13, Fall, p.215~223
10). ,(2001), "A New Paradigm fo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From Government Control to Market Economy", Palgrave(formerly Macmillan Press Ltd.), London
11). ,(2002), "The Evolution of Large Corporations in Korea: A New Institutional Economics Perspective of the Chaebol", Edward Elgar Publishing Ltd., London
12). ,(2002), "Why Firms and Markets in Economics?",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15, No.2, Summer
13). ,(2003), "In Search of `Global Standards`: The Fallacy of Korea`s Corporate Policy", Harvard Asia Quarterly, Vol.Ⅶ, No.2, Spring
14). Dawkins, Richard(1976),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15). Friedman, Milton(1962), "Capitalism and Free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Yoo, Jung-Ho(1990), "The Industrial Policy of the 1970s and the Evolution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Korea", KDI Working Paper No. 9017
17). World Bank(1993), "The East Asian Miracle: Economic Growth and Public Poli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경제]【A+】한국경제의 기적과 정체의 원인 분석 및 향후 진로 선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