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모바일비행 원인에 대한 통합모형의 모색과 검증

*현*
최초 등록일
2009.03.15
최종 저작일
2008.12
17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청소년들의 모바일비행의 원인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모델을 구성하여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논문입니다. 논문본문에는 모바일의 특성과 이용동기, 그리고 청소년들의 오프라인과 사이버비행에 대한 이론부분이 전반적으로 정리되어 있어 모바일에 대한 그리고 청소년들의 오프라인 및 사이버비행에 대한 리포트 및 논문 등을 준비하는 분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목차

국문초록
영문초록

제 1장 서론

제 2 장 이론적 논의
2.1 모바일의 개념과 선행연구 검토
2.1.1 모바일의 개념
2.1.2 모바일 이용동기
2.1.3 모바일 매체특성
2.1.3.1 휴대성과 이동성
2.1.3.2 개인은밀성
2.1.3.3 동시성
2.1.3.4 연결성
2.1.4 모바일의 영역
2.2 청소년비행의 주요이론과 기존연구
2.2.1 청소년비행
2.2.2 청소년비행의 주요 이론
2.2.2.1 일반긴장이론
2.2.2.2 사회유대이론
2.2.2.3 차별접촉 및 사회학습이론
2.2.2.4 일반이론
2.2.2.5 합리적 선택이론
2.2.2.6 범죄기회이론
2.2.3 주요요인의 모바일비행 적용 가능성
2.2.3.1 일상긴장과 모바일비행
2.2.3.2 사회유대와 모바일비행
2.2.3.3 모바일비행친구와 모바일비행
2.2.3.4 모바일비행용인태도와 모바일비행
2.2.3.5 낮은 자기통제력과 모바일비행
2.2.3.6 모바일비행재미와 모바일비행
2.2.3.7 모바일비행기회와 모바일비행
2.3 청소년 모바일비행의 통합모형 모색
2.3.1 청소년비행에 있어 실증주의와 고전주의 학파
2.3.2 청소년비행의 세 수준의 주요 요인
2.3.2.1 사회요인
2.3.2.2 개인요인
2.3.2.3 기회요인
2.3.3 주요요인들의 통합가능성

제 3 장 연구모델 및 연구방법
3.1 연구모델 및 가설
3.2 조사대상과 분석방법
3.3 측정
3.3.1 종속변인
3.3.2 독립변인
3.3.2.1 일상긴장
3.3.2.2 사회유대
3.3.2.3 모바일비행친구
3.3.2.4 모바일비행용인태도
3.3.2.5 낮은 자기통제력
3.3.2.6 모바일비행재미
3.3.3 조건변인
3.3.3.1 모바일매체특성
3.3.3.2 모바일이용시간
3.3.4 통제변인

제 4 장 분석결과
4.1 조사대상자들의 특성
4.2 조사대상자들의 모바일 이용실태
4.2.1 모바일 보유 및 이용현황
4.2.2 모바일 이용동기
4.2.3 모바일매체특성
4.3 청소년 모바일비행 실태
4.4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4.5 청소년 모바일비행에 대한 각 요인별 다중회귀 분석결과
4.5.1 사회배경통제변인과 모바일비행
4.5.2 사회요인과 모바일비행
4.5.2.1 일상긴장과 모바일비행
4.5.2.2 사회유대와 모바일비행
4.5.2.3 모바일비행친구와 모바일비행
4.5.2.4 사회요인들의 모바일비행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4.5.3 개인요인과 모바일비행
4.5.3.1 모바일비행용인태도와 모바일비행
4.5.3.2 낮은 자기통제력과 모바일비행
4.5.3.3 모바일비행재미와 모바일비행
4.5.3.4 개인요인들의 모바일비행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4.5.4 기회요인과 모바일비행
4.5.4.1 모바일매체특성과 모바일비행
4.5.4.2 모바일이용시간과 모바일비행
4.5.4.3 기회요인들의 모바일비행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4.5.5 주요변인들의 모바일비행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4.5.6 모바일비행에 대한 사회 및 개인요인들과 기회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
4.5.6.1 모바일비행에 대한 사회 및 개인요인들과 모바일매체특성과의 상호작용효과
4.5.6.2 모바일비행에 대한 사회 및 개인요인들과 모바일이용시간의 상호작용효과

제 5 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제 1장 서론
이동성과 휴대성 그리고 네트워크성(접속성)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기기로서 휴대전화는 컴퓨터와 함께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모바일은 더 이상 특별한 사람들이 특별한 상황에서 이용하는 새로운 매체가 아니라, 누구나 소유하고 이용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일상적인 미디어이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모바일은 일상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어 또래들간의 관계 형성 및 유지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성윤숙, 2007). 하지만 이러한 모바일의 급속한 보급과 일상생활 속에서의 중요성 증대와 맞물려 이와 관련된 청소년들의 문제행동도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 휴대전화를 통하여 특정 누군가에게 욕설이나 위협의 문자를 보내는 행위나 음란물에 접촉하는 행위,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타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위 등 모바일과 관련된 청소년들의 비행행위가 사회적으로 많은 우려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5)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 5명 중 1명은 모바일을 사용하여 악의성의 문자메시지를 배포한 경험이 있고, 모바일을 이용해 집단적인 괴롭힘을 행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10명중 1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사용으로 자신의 어떤 면을 왜곡하여 말하거나, 거짓말을 하거나, 나이를 속이고 성인대화방에 들어가거나, 자신에 관한 허위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나이에 걸맞지 않은 행위인 지위비행을 한 적이 있는 청소년은 3명 중 1명이였으며, 음란물 등의 성비행과 관련하여 모바일을 사용한 청소년은 10명 중 1명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모바일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이용목적이나 이용실태 등에 한정되어 있었고 새로운 비행의 형태로써 모바일비행에 대한 실태나 원인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한국청소년개발원(2006)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5)에 의해 청소년 모바일비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그동안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다양한 원인들을 적용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강동범. 2000. “사이버범죄와 형사법적 대책” 형사정책연구 45:45-91.
강진숙, 박상호. 2005. 「모바일 공간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KT문화재단.
권나현. 2002. 「일상에서의 긴장과 청소년비행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일반긴장이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광수. 2005. “이동전화의 이용에 따른 결과와 가치의 탐색.” 한국언론학보 50(1):60-90.
김두섭, 민수홍. 1996. “개인의 자기통제력이 범죄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상원. 2005. “사회유대이론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아동 비행의 원인 비교.”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김수정. 2004. “청소년의 정보통신 윤리의식과 사이버비행과의 관계연구.” 청소년복지연구 6(1):69-89.
김신동. 2001. “호모텔레포니쿠스의 외장: 이동전화 확산에 영향을 준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45(2):62-85.
김정규. 2006. “가족구조에 따른 청소년 성행위에 대한 인과요인의 변이 : 부모통제, 종교성, 비행친구, 비행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0(3):91-123.
김정기. 2005.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46:262-231.
김주환, 진보래. 2004.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의 모바일 미디어.” 모바일 콘텐트 이론 및 제작 연구 발표회 발표논문집 한국언론정보학회.
김준호. 2003. 「청소년비행론」 서울:청목출판사.
김진희, 김경신. 2003. “청소년의 심리적 변인과 인터넷 중독, 사이버관련 비행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5(1):85-97.
김제한, 공석영, 김충기. 1980. 「청소년발달 심리학」 세광출판사.
김영기, 한선. 2005. “모바일 미디어의 속성평가와 커뮤니케이션 양식차이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1):83-123.
김은미. 2006.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의 이용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인간관계 유지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2):90-113.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2(2):383-393.
나은영. 2001. “휴대폰 커뮤니케이션의 의사소통 양식적 특성과 한국문화.” 우리나라에서의 휴대폰 보급 및 사용문화 한국언론학회 학술세미나.
류인모. 2000. “사이버범죄의 예방과 처벌.” 법학총론. 24:59-82.
민수홍. 1996. 「비행의 조기예측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민수홍. 1998. 「가정폭력이 자녀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민수홍. 2002. “여자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형사정책연구 13(1):35-66.
민수홍. 2005. “낮은 자기통제력이 결과로서의 청소년비행과 학교에서의 징계경험.” 청소년학 연구 12(2):1-25.
민수홍. 2006.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패널자료를 이용한 인과성 및 일반성 검증.” 청소년학연구 13(6):24-47.
박길성, 설동훈, 이명진. 2001.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실태와 사회관계의 변화.” 「한국정보사회학회 발표 논문집」 한국정보사회학회.
박웅기. 2003.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7(2):250-281.
박종민. 2003. “휴대전화, 인터넷, 텔레비전의 미디어 속성 차이와 이용동기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47(2):221-249.
배진환. 2001. “이동전화의 충족과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의 이동전화의 적합성 인식.” 한국언론학보, 45(4):160-188.
서용희. 2007. 「사이버범죄에 대한 처벌의 조건적 억제효과 검증」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성동규, 조윤경. 2002. “이동전화 이용자의 집단적 특성에 따른 이용유형 연구.” 한국언론학보 46(6):153-190.
성동규, 황성연, 임성원, 2007.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파주:세계사.
성윤숙. 2006.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2):291-321.
손장권, 이동원, 1995.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의 관계에 대한 고찰: 확대긴장이론의 한국사회적용을 위한 예비적 고찰.” 「인문논집」 40:101-107.
손세모돌. 2003. “텍스트언어학 : 응용편(국어) ; 인터넷 게시판 글 제목의 욕설/비속어 사용과 익명성의 관계.” 텍스트언어학 15:30-169.
송원영. 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양돈규. 2000.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 상관성.” 청소년학연구 12(2): 1-25.
우형진. 2005. “해커의 심리변인이 해킹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언론학회.
유순화. 2003.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통합에 의한 청소년 비행 예측.” 청소년학연구 10(4): 289-315.
유흥림, 윤상오. 2006. “휴대전화 중독 원인에 관한 연구.” 「u-City와 미래도시 전망을 위한 국제 세미나 발표논문집」
윤영민. 2000. “청소년 인터넷사용: 분석모형의 개발.” 정보와사회. 2:133-153.
이경남, 하연미. 2004. “청소년의 인터넷관련비행과 관련변인간의 경로분석모델.” 대한가정학회지 42(5):1-17.
이동후, 유지연, 황주성. 2005. “휴대전화와 시공간 경험의 (재)구성: 초점집단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20(2):337-377.
이명수, 오은영, 조선미, 홍만제, 문재석. 2001. “청소년 인터넷중독증과 우울, 사회적 불안, 또래관계 문제와의 연관성 조사.” 「신경정신의학」 40:616-626.
이상균. 2005. “청소년의 또래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생태 체계적 영향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19:141-170.
이세용. 2000. “인터넷과 청소년의 성의식.” 정보와 사회 2:154-182.
이성식. 1994. “구조적ㆍ문화적 특성의 차이를 통한 청소년비행의 원인고찰: 세 인종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7:43-64.
이성식. 1995. “청소년비행론에 있어서 허쉬의 사회통제이론에 대한 수정된 논의.” 형사정책연구 6(4):183-204.
이성식. 2003a. “청소년 폭력비행에 있어 일반긴장이론의 검증: 상황론적 논의를 통해.” 형사정책 15(2):1-17.
이성식. 2003b. “청소년들의 폭력환경이 상황인지와 분노,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가정, 학교 지역환경의 영향 비교.” 형사정책연구 14(2):357-381.
이성식. 2004a. “청소년들의 긴장, 부정적 감정의 경험과 사이버공간에서의 비행.”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8:273-299.
이성식. 2004b. “청소년사이버일탈의 설명요인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15(1):121-154.
이성식. 2005. “사이버공간에서의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대한 경험연구” 형사정책연구 16(3):145-174.
이성식. 2005a. “사이버공간의 익명성이 청소년언어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6(1):77-107.
이성식. 2005b. “사이버상의 청소년비행에 대한 일반이론의 검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1:227-250.
이성식. 2005c. “사이버상의 청소년일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1:227-250.
이성식. 2005d. “인터넷중독과 청소년비행의 관계.” 정보화정책 12(3):35-47.
이성식. 2005e. “청소년 사이버성폭력 설명요인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 17(1):125-144.
이성식. 2006a. “중학생 오프라인과 온라인 폭력 원인모색을 위한 주요 요인들의 적용.” 한국청소년학연구별책 13(6):179-200.
이성식. 2006b. “사이버 언어폭력의 원인과 방지대책.” 형사정책 18(2):421-440.
이성식. 2007a.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친구의 청소년비행에의 영향 :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8(2):159-181.
이성식. 2007b. "청소년 사이버비행의 동기, 기회와 통제요인을 통한 모형의 구성과 검증.” 정보화정책 14(3):3-15.
이인희. 2001. “대학생 집단의 휴대폰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Agnew, R, 1992. "Foundation d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20:47-87.
Agnew, R. and White, H.R. 1992. "An Empirical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30:475-499.
Agnew, R. and Brezina, T. 1997, "Relational Problems with Peers, Gender and Delinquency." Youth and Society 29:84-111.
Agnew, R. 2001. "Building on the Foundation of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8:319-361.
Akers, R.L. 1985. Deviant Behavior: A Social learning Approach, 3rd Edition. Belmont. CA: Wadsworth.
Akers, R.L. and G. Lee, 1996, “A Longitudinal Test of Social Learning Theory: Adolescent Smoking.” Journal of Drug Issues 26: 317-43.
Arneklev, B.J., Grasmick, H.G., Tittle, C.R, and Bursik, R.J. Jr. 1993. "Low Self-Control and Imprudent Behavior." Journal of Quantiative Criminology 9:225-247.
Aseltine R.H, Gore, S and Gordon, J. 2000. "Life Stress, Anger and Anxiety, and Delinquenc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256-275.
Brezina, T. 1996. "Adapting to Strain: An Examination of Delinquent Coping Responses." Criminology 34:39-60.
Burton V.S., Jr., Cullen, F.T., Evans, R.D., Alarid, L.F. and Dunaway, R.G. 1998. "Gender, Self-Control, and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5:123-147.
Burton V.S., jR., Evans, R.D., Cullen, F.T., Olivares, K.M. and Dunaway, R.G. 1999. "Age, Self-Control, and Adults Offending Behaviors: A Research Note Assessing a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7:45-54.
Cernkovich, S.A. and P.C. Giordano. 1987. "Family Relationships and Delinquency." Criminology 25:295-321.
Cohen L E, Felson M. 1979.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 588-608.
Cornish, D., Clarke, R. 1986. The Reasoning Criminal: Rational Choice Perspectives on Offending. Springer-Verlag. New York.
Elliott, D.S. and S. Menard. 1996. Delinquent Friends and Delinquent Behavior: Temporal and Developmental Patterns. In J.D. Hawkins(Ed), Delinquency and Crim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European Commission. 2006. New Forms of School Bullying and Violence. European Commission.
Evans, T.D., Cullen, F.T., Burton, V.S, Dunaway, R.G and Benson, M.L., 1997. "The Social Consequences of Self-Control: Testing the General Theory of Crime.". Criminology 35:457-502.
Garofalo, J. 1987. "Reassessing the Lifestyle Model of Criminal Victimization." In Positive Criminology. Edited by Michael R. Gottfredson and Travis Hirschi. Beverly Hills. Calif.: Sage.
Gibbs, J.J and Giever, D. 1995. "Self-Control and Its Manifest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 An Empirical Test of Gottfredson and Hirschi's Feneral Theory." Justice Quarterly 12:231-255.
Gibson, J.J. 1979.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Boston : Houghton Mifflin.
Gottfredson, M.R, and T. Hirschi.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dford.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Grasmick, H.G, Tittle, C.R, Bursik, R.J. and Arneklev, B.K. 1993.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0:5-29.
Hindelang, M. 1978. "Race and involvement in common law personal crimes." Amer. Soc. Rev. 43: 93-109.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ough, M. 1987. "Offenders’ Choice of Target: Findings from Victim Surveys."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3(4), 355-369.
Ito, M., Okabe, D. 2003. "Technosocial situations: emergent structurings of mobile email use." Personal, Portable, Pedestrian: Mobile Phones in Japanese Life. MIT Press.
Joinson, A.N. 2003.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Internet Behavior. Palgrave McMillan.
Katz, J. 1988. Seduction of Crime. New York: Basic Books
Katz, James E. and Aakhus, M. 2002. Perpetual Contatc: Mobile communication, private talk, public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Kennedy, L.W., and Forde, D.R. 1990. "Routine activities and crime: An analysis of victimization in Canada." Criminology, 28: 137-152.
Kraut R., Patterson, M. Lundman, V. Kiesler, S. Mukophadhyay, R. and Scherlis, W. 1998. "Internet Paradox." American Psychologist 53:1017-1031.
Krohn, M.D., W.F. Skinner, J.L. Massey and R.L. Akers. 1985. "Social Learning Theory and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A Longitudinal Study." Social Problem 32: 455-73.
LaGrange, T.C. and Siverman, R.A. 1999. "Low Self-Control and Opportunity: Testing the General Theory of Crime as an Explanation for gender Differences in Delinquency." Criminology 34:41-72.
Leung, L., Wei, R. 2000. "More than just talk on the mov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cellular phone." JandMC Quarterly 77:.2 308-20.
Liska, A.E. and M.D. Reed.. 1985. "Ties to conventional Institutions and Delinquenc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0:547-560.
Ling, Rich and Yttri, Birgitte. 1999. “Nobody sits at home and waits for the telephoneto ring:” Micro and hyper-coordination through the use of the mobile telephone." Presented at Perpetual Contact Workshop. Rutgers University. New Brunswick. New Jersey.
Ling, R. 2000. "Direct and mediated interaction in the maintenance of social relationships." in Home informatics and telematics: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edited by A. Sloane. and van Rijn, F. Kluwer: Boston.
Ling, R. 2004. The Mobile Connection: The Cell Phone's Impact on Society. San Francico: Morgan Kaufmann.
Longshore, D. 1998. "Self-Control and Criminal Opportunity: A Prospective Test of The General Theory of Crime." Social Problems 45:102-113.
Lynch, J.P. 1987. "Routine Activity and Victimization at Work." Journal of Quantiative Criminology 3:283-300.
Norman, D.A. 1988. The Psychology of Everyday Things. New York: Basic Books.
Massey, J. L., Krohn, M. D., and Bonati, L. M. 1989. "Property crime and the routine activities of individuals." Journal of Crime and Delinquency. 26:378-400.
Matheson, K. and Zanna, M. P. 1988. "The Impact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on Self-Awaren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221-223.
Matsueda, R.L. 1982. "Testing Control Theory and Differential Associations: A Causal Modeling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489-504.
Miethe, T.D., M.C. Stafford and J.S. Long. 1987. “Social differentiation in criminal victimization: A test of. routine activity/lifestyle theor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184-194.
Mitchell KJ, Finkelhor D, Wolak J. 2003. “The exposure of youth to unwanted sexual material on the Internet: a national survey of risk, impact, and prevention.” Youth Soc. 34(3):330–358.
Oksman, V., and Turtiainen, J. 2004. “Mobile communication as a social stage.” New Media and Society. 6(3):319-339.
Osgood, D.W, Wilson, J.K. O'Malley, P.M., Bachman, J.G and Johnston, L.D. 1996. "Routine Activities and Individual Deviant Behavior."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635-55.
Palen L., Salzman M,, and Youngs, E. 2001. "Discovery and integ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s in everyday life." 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 5(2):109-122.
Paternoster, R. and Mazerolle, P. 1994. "General Strain Theory and Delinquency: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1:235-263.
Paternoster, R. and Brame, R. 1997. "Multiple Routes to Delinquency? A Test of Developmental and General Theory of Crime: A Meta-Analysis." Criminology 35:49-84.
Peterson, J.L., and Zill, N. 1986. “Marital Disrupti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2):295-307.
Piquero, N.L. and Sealock, M.D. 2000. "Generalizing General Strain Theory: An Examination of an Offending Population." Justice quarterly 17:449-84.
Ploakowiski, M. 1994. "Linking Self- and Social Control with Deviance: Illumninating the Structure Underlying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Its Relation to Deviant Activity." Journal of Quantiative Criminology 10:41-78.
Postmes, T. and Spears, R. 1998. "Deindividuation and anti-normative behavior: A meta-an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02: 238-59.
Pratt, T.C. and Cullen, T.F. 2000. "The Empirical Statu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A Meta-Analysis." Criminology 38:931-64.
Qing, Li. 2007. "Bullying in the new playground : Reserarch into cyberbullying and cyber victimisation."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4):435-454.
Reponene, E., Huuskonen, P. and Mihalic. K. 2008. "Primary and Secondary Context in Mobile Video Communication." Pers Ubiquit Comput 12:281-288.
Roessler, P. and Hoeflich, J. 2002. “Mobile written communication, or e- mail on your cellular. phone.” Paper presented at the Social Cultural Impact/ Meaning of Mobile Communication.
Sampson, R.J., and Lauritsen, J.L. 1990. “Deviant lifestyles, proximity to crime, and the offender-victim link in personal violenc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27(2):110-139.
Sherman, L. W., P. R. Gartin and M. E. Buerger. 1989. "Hot spots of predatory. crime: routine activities and the criminology of place." Criminology 27:27-55.
Skinner, W., and Fream, A. 1997. “A social learning theory analysis of computer crim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4:495-518.
Slonje, R., and Smith, P. K., 2008. "cyberbullying: another main type of bullying?."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9:147-154.
Steuer, Jonathan, 1992. "Definding Virtual Reality: Dimension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 73-93.
Stryker, S. 1980. Symbolic interactionism: A social structural version. Benjamin Cummings Pub.
Sutherland, E.H.. 1993. Principles of Criminology. 3rd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
Vandebosch, H., Van Cleemput, K., Mortelmans, D., Walrave, M. 2006. Cyberpesten bij jongeren in Vlaanderen studie in opdracht van het viWTA. Brussel.
War, M. and M. Stanfford. 1991. "The Influence of Delinquent Peer: What they think or what they do?." Criminology 29: 851-866.
Wiatrowski, M,D., Griswold, D.B and Roberts, M.K. 1981. "Social Control Theory and Delinquenc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6:525-41.
Willard, N. E., 2006. Cyberbullying and Cyberthreats. Research Press.
Wood, P.B., Pfefferbaum, B. and Arneklev, B.J 1993. "Risk-Taking and Self-Control: Social Psychological Corrslats of Delinquency." Journal of Crime and Justice 16:111-130.
Wood, Andrew., and Smith, Mattew. 2000. "Online Communication:Linking Technology, Identity, and Culture",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Inc.
*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모바일비행 원인에 대한 통합모형의 모색과 검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