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전기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Electricity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2. 자격정보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전기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전기기능사 자격제도는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등에 관한 숙련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됨.
2006년부터 기존의 ‘전기기능사’와 ‘전기공사기능사’가 ‘전기기능사’로 통합됨.
□ 주요특징
전기기능사는 전기 관련 자격인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의 첫 단계.
전기기능사는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 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건설 현장, 전기공작물시설업체, 아파트 전기실, 빌딩제어실 등에 취업 가능.

-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 가능.

-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일반업체나 공장의 전기 부서 등으로도 취업할 수 있음. 전기와 관련된 제반 시설의 관리 및 검사를 담당 가능.

- 제철소, 제련소, 금속기계제조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조선·자동차·항공·전기전자·방위산업체 등으로도 취업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과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국가기술자격 법령 또는 그 밖의 법령에서 정한 자격증 소지자가 당해 분야에 응시하면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 대하여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점.

- 전기 분야의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의 기술직 공무원 채용시험 시 3%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09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6.26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11
2024년 4회 2024.08.20 ~
2024.08.23
2024.09.08 ~
2024.09.12
2024.09.25 2024.09.30 ~
2024.10.04
2024.11.09 ~
2024.11.24
2024.12.04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106,2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전기설비의 배관 및 배선공사, 시퀀스 제어회로 완성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전기이론
2) 전기기기
3) 전기설비

- 실기

1) 전기설비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5시간 정도, 전기설비작업)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300분

1 과목 : 전기 이론
  • 1. 각속도 ω = 300[rad/sec]인 사인파 교류의 주파수[Hz]는 얼마인가?
    70/π
    150/π
    180/π
    360/π
  • 2. R1, R2, R3의 저항 3개를 직렬 접속했을 때의 합성저항 값은?
    R = R1 + R2ㆍR
    R = R1ㆍR2 + R3
    R = R1ㆍR2ㆍR3
    R = R1 + R2 + R3
  • 3. 10[A]의 전류로 6시간 방전할 수 있는 축전지의 용량은?
    2[Ah]
    15[Ah]
    30[Ah]
    60[Ah]
  • 4. 감은 횟수 200회의 코일 P 와 300회의 코일 S를 가까이 놓고 P에 1[A]의 전류를 흘릴 때 S와 쇄교하는 자속이 4×10-4[Wb]이었다면 이들 코일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는?
  • 5. 그림과 같은 평형 3상 △ 회로를 등가 Y결선으로 환산하면 각사의 몇[Ω]이 되는가?(단, Z=12[Ω]이다.)
  • 6. 3상 교류를 Y결선하였을 때 선간전압과 상전압, 선전류와 상전류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7.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저항에 ( ㉮ )하고, 가해진 전압에 ( ㉯ ) 한다." ( )에 알맞은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 8. 다음 중 파형률을 나타내는 것은?
  • 9. 다음 중 1[J]과 같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10. 자체 인덕턴스 2[H]의 코일에 25[J]의 에너지가 저장되어 있다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 11. 다음에서 자석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2. 브리지 회로에서 미지의 인덕턴스 Lx를 구하면?
  • 13. 기전력 1.5[V], 내부저항 0.2[Ω]인 전지 5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단락시켰을 때의 전류[A]는?
  • 14.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서 셋째 손가락의 방향은?
  • 15. 비정현파의 실효값을 나타내는 것은?
  • 16. C1, C2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에 C3를 병렬로 접속하였다. 이 회로의 합성 정전용량[F]은?
  • 17. 두개의 서로 다른 금속의 접속점에 온도차를 주면 열기전력이 생기는 현상은?
  • 18. 진공 중에서 같은 크기의 두 자극을 1[m] 거리에 놓았을 때, 그 작용하는 힘은?(단, 자극의 세기는 1[Wb]이다.)
  • 19. Z1=5+j3[Ω]과 Z2=7-j3[Ω]이 직렬 연결된 회로에 V=36[V]를 가한 경우의 전류[A]는?
  • 20. 2[C]의 전기량이 이동을 하여 10[J]의 일을 하였다면 두 점 사이의 전위차는 몇 [V]인가?
2 과목 : 전기 기기
  • 21. 회전자 입력을 P2, 슬립을 s라 할때 3상 유도 전동기의 기계적 출력의 관계식은?
  • 22. 농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법이 아닌 것은?
  • 23. 다음 중 SCR의 기호는?
  • 24.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 슬립 주파수의 전압을 공급하여 속도 제어를 하는 것은?
  • 25. 보호 계전기의 기능상 분류로 틀린 것은?
  • 26. 전력계통에 접속되어 있는 변압기나 장거리 송전 시 정전 용량으로 인한 충전특성 등을 보상하기 위한 기기는?
  • 27. 동기 발전기의 병렬 운전 조건이 아닌 것은?
  • 28. 동기 전동기의 전기자 전류가 최소일 때 역률은?
  • 29. 우산형 발전기의 용도는?
  • 30. 그림과 같은 분산 기동형 단상 유도 전동기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 31. 다음 중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것은?
  • 32.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33. 반파 정류회로에서 변압기 2차 전압의 실효치를 E[V]라 하면 직류 전류 평균치는?(단, 정류기의 전압강하는 무시 한다.)
  • 34. 브흐홀츠 계전기의 설치 위치는?
  • 35. 전격전압 250[V], 정격출력 50[kW]의 외분권 복권발전기가 있다. 분권계자 저항이 25[Ω]일 때 전기자 전류는?
  • 36. 무부하에서 119[V]되는 분권 발전기의 전압 변동률이 6[%]이다. 정격 전부하 전압은 약 몇 [V]인가?
  • 37. 직류기의 전기자 철심을 규소 강판으로 성층하여 만드는 이유는?
  • 38. 변압기의 규격 효율은?
  • 39. 5.5[kW], 220[V] 유도전동기의 전전압 기동시의 기동전류가 150[A] 이었다. 여기에 Y-△ 기동시 기동전류는 몇 [A]가 되는가?
  • 40. 직류 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이 아닌 것은?
3 과목 : 전기 설비
  • 41. 저압 연접 인입선은 인입선에서 분기하는 점으로 부터 몇[m]를 넘지 않는 지역에 시설하고 폭 몇 [m]를 넘는 도로를 횡단하지 않아야 하는가?
  • 42.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 값은 몇 [Ω] 이하 이어야 하는가?
  • 43. 애자사용공사의 저압옥내배선에서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44. 풀장용 수중조명등에 사용하는 절연 변압기 1차와 2차권선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금속제 혼촉방지판의 접지공사 방법은?
  • 45. 절연전선을 동일 금속덕트 내에 넣을 경우 금속덕트의 크기는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금속덕트 내 단면적의 몇 [%]이하가 되도록 선정하여야 하는가?(단, 제어회로 등의 배선에 사용하는 전선만을 넣는 경우이다.)
  • 46. 사람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접지극은 지하 몇 [㎝]이상의 깊이에 매설하여야 하는가?
  • 47. 금속관에 나사를 내기 위한 공구는?
  • 48. 진열장 안에 400[V]미만인 저압 옥내배선 시 외부에서 보기 쉬운 곳에 사용하는 전선을 단면적이 몇 [mm2]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이어야 하는가?
  • 49. 경질비닐전선관 1본의 표준 길이는?
  • 50. 제3종 접지공사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공칭 단면적 몇 [mm2]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51. 변압기의 보호 및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는 변압기 용량의 몇 [kVA]이하에 사용되는가?
  • 52. 교통 신호등 제어 장치의 금속제 외함에는 제 몇 종 접지 공사를 해야 하는가?
  • 53. 화약류 저장소 안에는 백열전등이나 형광등 또는 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작물에 한하여 전로의 대지 전압을 몇 [V]이하의 것을 사용하는가?
  • 54. 네온 검전기를 사용하는 목적은?
  • 55. 부식성 가스 등이 있는 장소에 시설할 수 없는 배선은?
  • 56.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 57.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의 약호(기호)는?
  • 58. 480[V] 가공인입선이 철도를 횡단할 때 레일면산의 최저 높이는 몇 [m]인가?
  • 59. 케이블을 구부리는 경우는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그 굴곡부의 곡률반경은 원칙적으로 케이블이 단심인 경우 완성품 외경의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 60. 설비용량 600[kW], 부등률 1.2, 수용률 0.6 일 때 합성최대전력[kW]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