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전자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Electronics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전지기기기능사, 전자산업기사, 전자기사

2. 자격정보

□ 전자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 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자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전자산업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기기를 설계, 시공, 분석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08년부터 '전자산업기사'와 '전자회로설계산업기사'가 '전자산업기사'로 통합됨.
2018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 평가형으로도 전자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음.
□ 주요특징
전자에 관한 상급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전자기기 및 기초적인 전자회로를 설계, 전자제품 생산 및 관리, 보수, 수리하는 작업을 담당.
부품가공 및 조립, 검사 등의 작업 전반을 관리하는 역할.
□ 진로 및 전망
취업

- 가전제품생산업체, 통신장비생산업체, 음향기기 및 방송 장비 생산업체, 컴퓨터·사무 자동화기기 관련 장비 제조업체, 전자제품 수리전문업체 등 전자제품이 이용되는 관련분야로 취업이 가능.

- 전동차, 비행기, 선박 등의 검사 요원으로 활동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 직렬의 항공우주, 전자, 물리 직류, 해양수산 직렬의 수로, 해양교통시설 직류, 방송통신 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5.29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8.28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1.20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49,3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전자제품의 회로스케치, 조립작업 등을 평가하며, 기타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함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자공학과, 전자제어공학과, 전자시스템학과등 전자회로관련 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전자회로
2) 전자기학 및 회로이론
3) 전자계산기일반
4) 전자계측

- 실기

1) 전자회로설계 및 계측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4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270분

1 과목 : 전자회로
  • 1. LED 세그먼트의 활용법으로 옳은 것은?
    공통 애노드(Common Anode)끝단에 전원을 연결한다.
    공통 애노드(Common Anode)끝단에 접지를 연결한다.
    공통 애노드(Common Anode)끝단에 세그먼트의 캐소드 단자를 각각 전원을 연결한다.
    공통 애노드(Common Anode)끝단에 세그먼트의 캐소드 단자를 각각 접지를 연결한다.
  • 2. 다음 회로에서 Vi= Vmsinωt 의 파형을 인가하였을 때, 출력 파형에 해당되는 회로는? (단, Vm은 3V보다 크다.)
    양단 클리퍼 회로
    톱니파 발생 회로
    정현파 발생 회로
    AND 게이트 회로
  • 3. AM 변조에서 반송파의 전력이 500mW, 변조도가 60%일 때 피변조파의 전력은 몇 mW인가?
    180
    300
    590
    900
  • 4. 5V 직류전압원에 저항(R) 30Ω과 LED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서 LED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단, LED의 전압강하는 1.4V 이다.)
  • 5.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6. 다음 회로에서 전압 이득이 -100이 되기 위한 R2값은 얼마인가?
  • 7. 귀환 발진기의 발진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A는 증폭도, β는 귀환량이다.)
  • 8. 트랜지스터에서 β는 다음 중 어느 조건에서 결정할 수 있겠는가?
  • 9. 정류전원의 구성 중 정류기 회로와 필터 사이에 나타나는 파형의 형태는? (단, 입력전압은 사인파 교류전압이라 가정한다.)
    입력AC → 전원변압기 → 정류기회로 → 필터 → 레귤레이터회로 → 부하
  • 10.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불순물은?
  • 11. 다음 같은 회로에서 RL에 100mA의 전류가 흐를 때 RL의 값은? (단, Vi=5V, R1= 47kΩ, R2= 470kΩ이다.)
  • 12. 신호의 일그러짐이 가장 적고 안정한 증폭기는?
  • 13. 다이오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4. 이상적인 연산증폭기(OP-AMP)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5. 1mH의 인덕터에 전압 1V, 주파수 1kHz의 신호를 인가할 경우 리액턴스 값은?
  • 16. 일반적인 펄스 파형의 구간별 명칭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17. 부귀환 증폭기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8. 트랜지스터의 증폭기로 사용할 때의 동작영역으로 옳은 것은?
  • 19. 그림과 같은 회로를 여파기로 사용하면 주파수 특성은?
  • 20. 그림과 같이 1kΩ 저항과 다이오드의 직렬회로에서 전압(VO)의 크기는 약 몇 [V]인가?
2 과목 : 전기자기학 및 회로이론
  • 21. 두 자기인덕턴스를 직렬로 연결하여 두 코일이 만드는 자속이 동일 방향일 때 합성인덕턴스를 측정하였더니 75mH가 되었고, 두 코일이 만드는 자속이 서로 반대인 상호인덕턴스는 몇 mH인가?
  • 22. 평행판 콘덴서의 극간 전압이 일정 한 상태에서 극간의 공기가 있을 때의 흡인력을 F1, 극판 사이에 극판 간격의 2/3두께의 유리판 (εr=10)을 삽입할 때의 흡인력을 F2라 하면 는?
  • 23. 3 × 10-8[C] 과 6 × 10-8인 두 점전하가 20cm떨어져 있을 때 두 전하 중심에서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인가?
  • 24. 2cm의 간격을 가진 선간전압 6600V인 두 개의 평행도선에 2000A의 전류가 흐를 때 도선 1m마다 작용하는 힘은 몇 N/m인가?
  • 25. 전류 I[A]에 대한 P점의 자계 H[A/m]의 방향이 옳게 표시된 것은? (단, ◉은 지면을 나오는 방향, ⊗은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표시이다.)
  • 26. 자속밀도 B[Wb/m2]인 자계 내를 속도 v[m/s]로 운동하는 길이 dl[m]의 도선에 유기되는 기전력[V]를 벡터적으로 표현하면?
  • 27. 열전대는 무슨 효과를 이용한 것인가?
  • 28. 전계 E[V/m], 자계 H[A/m]의 전자계가 평면파를 이루고 자유공간으로 전파될 때, 단위시간당 전력밀도는 몇 [W/m2]인가?
  • 29. 평행판 콘덴서에서 전극판사이의 거리를 1/2로 줄이면 콘덴서의 용량은 처음 값에 대하여 어떻게 되는가?
  • 30. 대전도체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 31. 다음 회로에서 L1=6mH, L2=7mH, R1=4Ω, R2=9Ω, M=5mH이고, L1과 L2가 유도결합 되어있을 때, 등가 임피던스는 몇 Ω인가? (단, ω=100[rad/s]이다.)
  • 32. 다음 그림과 같은 R-L 직렬회로에 스위치를 닫아 직류전압(E)을 인가할 때, 정상상태 시 전류는 몇 A인가? (단, 시간(t)은 ∞이다.)
  • 33. 다음 중 최대값 Vm인 정현파 전압의 평균값(Vav)은?
  • 34. 구동점 임피던스(driving point impedance)함수에 있어서 영점(zero)의 상태는?
  • 35. sint의 라플라스 변환은?
  • 36. 커패시턴스만의 회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단, i=Imsinωt[A]의 정현파 전류가 흐른다.)
  • 37. 교류 파형에서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는 결과값으로 옳은 것은?
  • 38. 다음 회로망의 전달함수 는?
  • 39.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ideal transformer) 상호인덕턴스(M)의 값은 몇 H인가?
  • 40. 일 때, I1- I2의 결과 값은?
3 과목 : 전자계산기일반
  • 41. 다음 중 연산장치와 레지스터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앙처리장치의 내부 버스(internal bus)가 아닌 것은?
  • 42. 프로그램의 오류를 고쳐 나가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 43. 다음 그림은 어떤 컴퓨터 구조에 해당하는가? (단, CU : control unit, PU : process unit, IS : instruction, DS : data stream, MM : memory module)
  • 44.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기억장치 및 입출력 기기와 연결을 위해 가져야 할 것이 아닌 것은?
  • 45. 부동소수점 연산에서 양의 지수 값의 최대 값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46. 다음 중 입력장치인 것은?
  • 47. 다음과 같은 레지스터의 2진수 값을 오른쪽으로 세 번 시프트 시켰다면, 실제로 이 레지스터가 수행한 연산은?
    레지스터 : 011111100000
  • 48. 컴퓨터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단위 시간에 얼마나 많은 일을 실행했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 49.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하는 방식의 언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 50. 반가산기에서 X=0, Y=1을 입력할 때, 출력 올림수(C)와 합(S)은?
  • 51. 입출력 동작이 시작되어 끝날 때까지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전용으로 쓸 수 있는 채널로서 고속장치에 주로 쓰이는 채널은?
  • 52. 마이크로컴퓨터에서 값이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시스템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부분은?
  • 53.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것은?
  • 54. 4개의 2진 변수로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연산은 몇 가지인가?
  • 55. 다음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인터럽트는?
  • 56. 페치(fetch) 명령 사이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 57. 실제로 제한된 양의 주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자에게 매우 커다란 주기억장치를 갖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기억장치 운용방식은?
  • 58. 입출력을 수행하는 각 장치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59. 가상기억장치에서 블록의 크기가 가변인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60. 그레이 코드(Gray code) 1100을 2진수로 표시하면?
4 과목 : 전자계측
  • 61. 가청 주파수 필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 62. 디지털 전압계의 구동 원리는 다음 중 어떤 기기와 가장 유사한가?
  • 63. Q미터에서 코일의 실효 Q와 동조용 콘덴서 C의 값을 알면 측정할 수 있는 것은?
  • 64. 전력용 반도체 소자인 GTO(gate turn-off thyristor)를 턴 오프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 65. 다음 회로에 브리지 정류형 계기에 흐르는 전류의 평균값 ID 와 실효 전류 Ie와의 관계는?
  • 66.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저항용량(RC) 결합 증폭기에서 용량이 큰 결합용 콘덴서를 사용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 67. 주파수 계수기(frequency counter)의 구성요소 중 표준 수정발진회로 다음에 무슨 회로가 첨부 되는가?
  • 68. 싱크로스코프(synchroscope)의 수직축과 수평축의 교정에 사용되는 발진기는?
  • 69.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이 불가능한 것은?
  • 70. 표준 저항기 재료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 71. 펄스 발생기와 구형파 발생기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사용률에 있다. 여기서 사용률을 나타낸 것은? (단, 사용률(충격계수)이란 duty cycle를 말한다.)
  • 72. 피측정 주파수(fx)와 표준주파수(fs)를 혼합검파하여 그 비트(beat) fx- fs가 0으로 되게 fs를 조정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은?
  • 73. 싱크로스코프(synchroscope) 소인시간 전환 스위치를 200[μs/cm]로 놓고, 1kHz의 길이를 측정하였더니 5cm이었을 때, 신호 주파수는?
  • 74. 오실로스코프의 CRT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편향방식은?
  • 75. 가동 코일형 계기의 지시값은 어떤 값으로 나타내는가?
  • 76. 최대지시 1mA인 전류계에 0.1Ω의 분류기를 접속하여 최대 1A까지의 전류를 측정하게 했다면 전류계 자체의 내부저항은 몇 Ω인가?
  • 77. 다음 회로에서 미지 인덕턴스 Lx는 얼마인가?
  • 78. 주파수 측정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 79. 일반적인 표준 신호발생기는 출력단을 개방하였을 때 몇 [V]의 전압을 0[dB]로 표시하는가?
  • 80. 단상 유도형 적산 전력계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