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건설안전기사
영문명 :
Engineer Construction Safety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2. 자격정보

□ 건설안전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건설안전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건설안전기사 자격은 건설업이 공사기간단축,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사업주와 건축주들이 근로자의 보호를 소홀히 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재해요인을 예측하고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건설 안전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됨.
□ 주요특징
안전관리에 관한 기사 자격으로는 가스기사,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소방설비(기계분야)기사, 소방설비(전기분야)기사, 인간공학기사, 화재감식평가기사가 있음.
건설안전과 관련된 자격 제도는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기술사가 있음.
건설안전 기사는 건설 재해 예방계획 수립,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 유해 위험방지 등의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관리하며 건설물이나 설비작업의 위험에 따른 응급조치, 안전장치 및 보호구의 정기점검, 정비 등의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종합건설업체 및 감리, 시공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건설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현장 안전관리자로 근무)

- 안전관리를 대행하는 협회나 업체의 컨설턴트로도 취업 가능.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정부기관이나 공기업의 안전관련 부서로 진출 가능.

- 국토해양부 기술직 공무원으로 입직하기도 함.

우대

-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사업장에 일정 수 이상의 안전관리자의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어 건설업체에서 건설안전 분야의 인력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거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함.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자 자격이 주어짐.

-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건설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고,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짐.

-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으로 활동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4,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건설안전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관련 법령을 바탕으로 일반지식, 전문지식과 응용 및 실무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과 전문대학의 산업안전공학, 건설안전공학,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의복, 전기·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목재·가구·공예, 농림어업,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산업안전관리론
2) 산업심리 및 교육
3)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 건설시공학
5) 건설재료학
6) 건설안전기술

- 실기

1) 건설안전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50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80분

- 실기 : 140분

1 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를 2인 이상 선임하여야 하는 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공사금액이 1000억인 건설업
    상시 근로자가 500명인 통신업
    상시 근로자가 1500명인 운수업
    상시 근로자가 600명인 식료품 제조업
  • 2. 아담스(Adams)의 재해연쇄이론에서 작전적 에러(Operational Error)로 정의한 것은?
    선천적 결함
    불안전한 상태
    불안전한 행동
    경영자나 감독자의 행동
  • 3.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안전화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경화안전화
    발등안전화
    정전기안전화
    고무제안전화
  • 4. 천재지변 발생 직후 기계설비의 수리 등을 할 경우 또는 중대재해 발생 직후 등에 행하는 안전점검을 무엇이라 하는가?
  • 5. 재해사례연구를 할 때 유의해야 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6. 무재해운동 추진의 3대 기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7. 건설기술 진흥법상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건설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8. 상시 근로자수가 100명인 사업장에서 1년간 6건의 재해로 인하여 10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는 12일, 휴업일수는 68일이었다.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약 얼마인가? (단, 1일 9시간씩 연간 290일 근무하였다.)
  • 9. 재해발생원인의 연쇄관계상 재해의 발생원인을 관리적인 면에서 분류한 것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10. 하베이(Harvey)가 제시한 '안전의 3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1. 안전표지 종류 중 금지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2. 크레인(이동식은 제외한다)은 사업장에 설치한 날로부터 몇 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는가?
  • 13. 다음 중 소규모 사업장에 가장 적합한 안전관리조직의 형태는?
  • 14.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Round) 중 목표설정 단계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15. 안전보건관리계획의 개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6. 다음과 같은 재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재해의 원인분석으로 옳은 것은?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비계에서 마감작업을 하던 중 바닥으로 떨어져 머리가 바닥에 부딪혀 사망하였다.
  • 17.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 3단계의 분석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18. 재해손실비용에 있어 직접손실비용이 아닌 것은?
  • 19. 산업안전보건법상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사업주에게 안전관리자나 보건관리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하게 하거나 교체하여 임명할 것을 명령할 수 있는 경우는?
  • 2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에 있어 사용자 위원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2 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 21. 현대 조직이론에서 작업자의 수직적 직무 권한을 확대하는 방안에 해당하는 것은?
  • 22. 주의(attention)에 대한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3. O.J.T(On the Job training)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4. 다음은 각기 다른 조직 형태의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각 특징에 해당하는 조직형태를 연결한 것으로 맞는 것은?
    a. 중규모 형태의 기업에서 시장 상황에 따라 인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형태이다.
    b. 목적 지향적이고 목적 달성을 위해 기존의 조직에 비해 효율적이며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다.
  • 25.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도피기제에 해당하는 것은?
  • 26. 토의식 교육지도에서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단계는?
  • 27. 어느 부서의 직원 6명의 선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소시오그램이 작성되었다. 이 부서의 집단응집성 지수는 얼마인가? (단, 그림에서 실선은 선호관계, 점선은 거부관계를 나타낸다.)
  • 28.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르는 보상을 약속함으로써 부하를 동기화하려는 리더십은?
  • 29. 어느 철강회사의 고로작업라인에 근무하는 A씨의 작업강도가 힘든 중작업으로 평가되었다면 해당되는 에너지대사율(RMR)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 30. 관리감독자 훈련(TWI)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
  • 31. 맥그리거(Douglas McGregor)의 Y이론에 해당되는 것은?
  • 32. 사회행동의 기본형태와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 33. 수업의 중간이나 마지막 단계에 행하는 것으로써 언어학습이나 문제해결 학습에 효과적인 학습법은?
  • 34. 사고 경향성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5.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 36. 반복적인 재해발생자를 상황성누발자와 소질성누발자로 나눌 때, 상황성누발자의 재해유발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 37. 학습경험 조직의 원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8. 안전보건교육의 종류별 교육요점으로 틀린 것은?
  • 39. 평가도구의 기본적인 기준이 아닌 것은?
  • 40. 부주의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 자동차를 운전할 때 신호가 바뀌기 전에 신호가 바뀔 것을 예상하고 자동차를 출발시키는 행동과 관련된 것은?
3 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 41. FMEA 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 42. 시스템의 수명주기 단계 중 마지막 단계인 것은?
  • 43. 인체계측자료의 응용원칙 중 조절 범위에서 수용하는 통상의 범위는 얼마인가?
  • 44. 의도는 올바른 것이었지만, 행동이 의도한 것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오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 45. 음량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3가지 척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6.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제조업 중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사업의 사업주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고자 할 때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도면 및 서류 등은 제외한다.)
  • 47. 동작 경제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8. 인간-기계시스템의 설계를 6단계로 구분할 때, 첫 번째 단계에서 시행하는 것은?
  • 49. FT도에 사용되는 다음 게이트의 명칭은?
  • 50. FTA에서 시스템의 기능을 살리는데 필요한 최소 요인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 51. 다음의 각 단계를 결함수분석법(FTA)에 의한 재해사례의 연구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정상사상의 선정
    ㉡ FT도 작성 및 분석
    ㉢ 개선 계호기의 작성
    ㉣ 각 사상의 재해원인 규명
  • 52. 쾌적환경에서 추운환경으로 변화 시 신체의 조절작용이 아닌 것은?
  • 53. 정신적 작업 부하에 관한 생리적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54. 인간-기계시스템의 연구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55. 생명유지에 필요한 단위시간당 에너지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 56. 점광원으로부터 0.3m 떨어진 구면에 비추는 광량이 5 Lumen 일 때, 조도는 약 몇 럭스인가?
  • 57. 염산을 취급하는 A 업체에서는 신설 설비에 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정성적 평가단계의 주요 진단 항목에 해당하는 것은?
  • 58. 음압수준이 70 dB인 경우, 1000 Hz에서 순음의 phon 치는?
  • 59. 수리가 가능한 어떤 기계의 가용도(availability)는 0.9이고, 평균수리시간(MTTR)이 2시간일 때, 이 기계의 평균수명(MTBF)은?
  • 60. 실린더 블록에 사용하는 가스켓의 수명은 평균 10000 시간이며, 표준편차는 200 시간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 사용시간이 9600 시간일 경우에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단, 표준정규분포표에서 u0.8413 = 1, u0.9772 = 2 이다.)
4 과목 : 건설시공학
  • 61. 철근콘크리트부재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 62. 철골공사에서 철골 세우기 순서가 옳게 연결된 것은?
    A. 기초 볼트위치 재점검
    B. 기둥 중심선 먹매김
    C. 기둥 세우기
    D. 주각부 모르타르 채움
    E. Base plate의 높이 조정용 plate 고정
  • 63. 지반개량공법 중 강제압밀 또는 강제압밀탈수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64. 거푸집이 콘크리트 구조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이 아닌 것은?
  • 65. 다음 중 철근공사의 배근순서로 옳은 것은?
  • 66. 철근콘크리트에서 염해로 인한 철근부식 방지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7. 공사 중 시방서 및 설계도서가 서로 상이할 때의 우선순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건축시공의 현대화 방안 중 3S system 과 거리가 먼 것은?
  • 69. 개방잠함공법(Open caisson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0. 분할도급 발주 방식 중 지하철공사, 고속도로공사 및 대규모 아파트단지 등의 공사에 채용하면 가장 효과적인 것은?
  • 71. 연질의 점토지반에서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의 중량과 지표위에 적재하중의 중량에 못 견디어 저면 흙이 붕괴되고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 불룩하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72.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의 서중 시공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3. 잡석지정의 다짐량이 5m3일 때 틈막이로 넣는 자갈의 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74. 석공사에서 건식공법에서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5. PERT/CPM의 장점이 아닌 것은?
  • 76.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7. 내화피복의 공법과 재료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78. 철골공사의 기초상부 고름질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79. 보강 콘크리트 블록조 공사에서 원칙적으로 기초 및 테두리보에서 위층의 테두리보까지 잇지 않고 배근하는 것은?
  • 80. 말뚝재하시험의 주요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5 과목 : 건설재료학
  • 81. 합성수지 재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2. 목재의 건조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3. 부재 혹은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 및 강하를 고려하여 설계·시공해야 하는 콘크리트를 무엇이라 하는가?
  • 84. 목재의 내연성 및 방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5. 점토제품에서 SK번호가 의미하는 바로 옳은 것은?
  • 86. 다음 중 역청재료의 침입도 값과 비례하는 것은?
  • 87. 표면을 연마하여 고광택을 유지하도록 만든 시유타일로 대형 타일에 많이 사용되며, 천연화강석의 색깔과 무늬가 표면에 나타나게 만들 수 있는 것은?
  • 88. 투명도가 높으므로 유기유리라고도 불리며 무색 투명하여 착색이 자유롭고 상온에서도 절단·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는?
  • 89. 다음 중 원유에서 인위적으로 만든 아스팔트에 해당하는 것은?
  • 90. 강재 시편의 인장시험 시 나타나는 응력-변형률 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1. 유리가 불화수소에 부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5mm 이상 판유리면에 그림, 문자 등을 새긴 유리는?
  • 92.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가장 주된 이유는?
  • 93. 기성 배합 모르타르 바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4. 골재의 입도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옳은 것은?
  • 95. 다음 미장재료 중 기경성(氣硬性)이 아닌 것은?
  • 96. 도료 중 주로 목재면의 투명도장에 쓰이고 오일 니스에 비하여 도막이 얇으나 견고하며, 담색으로서 우아한 광택이 있고 내부용으로 쓰이는 것은?
  • 97. 강화유리의 검사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 98. 목재의 신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9. 창호용 철물 중 경첩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무거운 자재여닫이문에 쓰이는 철물은?
  • 100. 오토클레이브(auto clave)에 포화증기 양생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6 과목 : 건설안전기술
  • 101. 승강기 강선의 과다감기를 방지하는 장치는?
  • 102. 일반건설공사(갑)로서 대상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인 경우에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비율(가) 및 기초액(나)으로 옳은 것은?
  • 103. 철골건립준비를 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04. 건설작업장에서 근로자가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갱내 작업장과 감광재료를 취급하는 작업장의 경우는 제외)
  • 105.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신품 매듭방망사의 인장강도는 몇 킬로그램 이상이어야 하는가?
  • 106.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여야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 107. 강관비계 조립시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8. 달비계의 구조에서 달비계 작업발판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 이어야 하는가?
  • 109. 건설업 중 교량건설 공사의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 110. 다음 중 방망에 표시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 111.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거푸집동바리를 조립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2. 중량물을 운반할 때의 바른 자세로 옳은 것은?
  • 113. 건설현장에서 높이 5m 이상인 콘크리트 교량의 설치작업을 하는 경우 재해예방을 위해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14. 구축물이 풍압·지진 등에 의하여 붕괴 또는 전도하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15.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116. 사질지반 굴착 시, 굴착부와 지하수위차가 있을 때 수두차에 의하여 삼투압이 생겨 흙막이벽 근입부분을 침식하는 동시에 모래가 액상화되어 솟아오르는 현상은?
  • 117. 달비계(곤돌라의 달비계는 제외)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118. 부두·안벽 등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서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을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 119. 타워 크레인(Tower Crane)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 검토사항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20. 건설현장에서 근로자의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그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