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식품기사
영문명 :
Engineer Food Processing
관련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식품가공기능사, 식품산업기사, 식품기사

2. 자격정보

□ 식품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식품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를 말함.
식품제조가공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식품을 제조하는 공장의 규모가 커지고 공정이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적절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식품기술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식품의 기획, 식품의 영양, 맛, 색깔, 상품가치 등을 고려한 적합한 식품재료의 선택, 조리방법의 개발, 성분분석, 안전성검사 등의 업무를 담당.
식품제조 및 가공공정, 식품의 보존과 저장공정에 대한 관리, 감독의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주로 식품제조, 가공업체, 식품유통업체, 즉석판매제조, 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체 등으로 취업.

- 학계, 식품연구소 이외에도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같은 정부기관, 기업체의 식품관련연구소, 식품위생검사기관, 품질검사기관 등으로 진출하기도 함.

- 과학 및 공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생산기술, 검사 및 분석, 식품감시, 생산 및 가공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식품공학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음.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직렬의 화공 직류, 농업직렬의 일반농업, 농화학, 축산, 생명유전 직류, 해양수산직렬의 일반수산, 수산제조, 수산물검사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식품위생직렬의 식품위생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식품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 등으로 활동 가능.

-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하면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특별시, 광역시, 도 또는 시 군, 자치구의 소속공무원 중 식품기사의 자격 취득자는 축산물위생감시원으로 임명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짐.

- 식품위생법에 의해 식품위생감시원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식품공학, 식품가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음식서비스

시험과목

- 필기

1) 식품위생학
2) 식품화학
3) 식품가공학
4) 식품미생물학
5) 생화학 및 발효학

- 실기

1) 식품생산관리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식품위생학
  • 1.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식품을 일정시간 동안 이온화에너지에 노출시킨다.
    발아억제, 숙도지연, 보존성향상, 기생충 및 해충사멸 등의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포장하기 전에 조사처리를 하고 그 후 건조 또는 탈기한다.
    한번 조사처리한 식품은 다시 조사하여서는 아니된다.
  • 2. 식품첨가물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식품의 영양가를 유지할 것
    식품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것
    화학명과 제조방법이 명확할 것
    식품목적에 따라 다량의 첨가가 가능한 것
  • 3. 식품위생감시원의 직무가 아닌 것은?
    행정처분의 이행 여부 확인
    식품 등의 신고의 수리 및 검사 시행
    식품 등의 압류ㆍ폐기
    시설기준의 적합 여부의 확인 검사
  • 4. 수크랄로스(sucralose)의 특징과 사용실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 각 위생처리제와 그 특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 6. 3,4-benzopyren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7. 동물용의약품의 잠정기준적용 시 식용동물 등에 대해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별도로 잔류허용기준이 정해지지 아니한 경우 최우선 순위의 적용 기준은?
  • 8. 멜라민의 기준에 대한 아래의 표에서 ( )안에 알맞은 것은?
  • 9. 식품의 관능개선을 위한 식품첨가물과 거리가 먼 것은?
  • 10. 원유검사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 11. 미생물, 식물과 동물에서 합성되어 이들 세포에서 흔히 발견되며 단백질을 함유한 식품을 저장하거나 발효와 숙성 과정에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유해물질은?
  • 12. 실험동물군의 50%를 사망시키는 독성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 13. 식품 검체로부터 미생물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 14. 마이크로톡신류를 산출하는 곰팡이는 어떤 식품에 가장 번식하기 쉬운가?
  • 15. 저온유통시스템(cold chain system)에 의한 어패류 유통과정 중 신선도 유지기간이 짧았다면 그 원인균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 16. 다이옥신과 관계없는 것은?
  • 17. 채소류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은?
  • 18.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19. 식품에서 생성되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에 의한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 20. 훈연 중 살균효과를 내는 주요 물질은?
2 과목 : 식품화학
  • 21. 포도껍질의 주요 색은 어느 성분인가?
  • 22. 다음과 같이 구성된 식품을 먹었을 때 몇 kcal를 섭취하였다고 볼 수 있는가?
  • 23. 뉴턴 유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24. 지용성 비타민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25. 점탄성체의 성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26. 유지의 산패도를 나타내는 것은?
  • 27. 겔강의 식품 중 분산질의 성분이 나머지 식품과 다른 하나는?
  • 28.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는 성분이 아닌 것은?
  • 29. 전통방식으로 제조되는 식혜의 주요 감미성분은?
  • 30. 식품의 갈변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31. 교질용액(colloidal solution)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32. 육류의 사후경직과 숙성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33. 쌀이나 옥수수를 이용하여 뻥튀기를 제조할 때 전분의 주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4. 인지질이 아닌 것은?
  • 35. 유지 산패 측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6. 트랜스지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7. 물, 청량음료, 식용유 등 묽은 용액은 어떤 유체의 특성을 나타내는가?
  • 38. 알돌축합반응(aldol condensation)은 마이야르(Maillard) 반응의 어느 단계에서 일어나는가?
  • 39. 다음 중 빛에 가장 민감하게 분해되는 비타민은?
  • 40. α-전분이 노화(Retrogradation)되면 X선 간섭도는?
3 과목 : 식품가공학
  • 41. 통조림의 가열 살균을 위하여 살균 솥에 원료를 삽입할 때 그 통조림의 초기온도를 중요시하는 주요 이유는?
  • 42. 다음 중 키틴(chitin)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 43. 소금 절임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44. 난황이나 대두로부터 분리한 레시틴이 식품가공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용도는?
  • 45. 식품에 방사선을 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6. 두유를 제조할 때 불쾌한 냄새나 맛이 나고 두유의 수율이 낮은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47. 활성글루텐을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건조기는?
  • 48. 토마토 퓨레의 졸이기 공정 중 비중을 잴 때 방해가 되는 것은?
  • 49. 가공유지 중 마가린보다 가소성이 더 우수한 제품은?
  • 50. 각종 치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51. 수확한 과일 및 채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2. 분유 및 달걀분을 제조하는데 가장 알맞은 건조기는?
  • 53. 유지에 수소를 첨가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 54. 일반적인 CA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5. 근육의 사후변화 중 p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6. 식육 연화제로서 공업적으로 이용하는 효소가 아닌 것은?
  • 57. 미국에서 생산된 냉동감자 1container 분량의 무게(weight)가 355856N 일때, 냉동감자의 질량(1 container 분량)을 kg단위로 계산하면 약 몇 kg인가? (단, 이 지역에서의 중력가속도(g)는 9,8024 m/s2이고 중력환산계수(gc)는 1kgㆍm/Nㆍs2 이다.)
  • 58. 유지 정제에서 탈산 공정은 다음 중 무엇을 제거하기 위한 것인가?
  • 59. 두부 응고제로서 물에 잘 녹으며, 많은 양 사용시 신맛을 낼 수 있는 것은?
  • 60. 70%의 수분을 함유한 식품을 건조하여 80%를 제거하였다. 식품의 kg당 제거된 수분의 양은 얼마인가?
4 과목 : 식품미생물학
  • 61. 자외선조사에 의한 살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2. 식품과 주요 변패 관련 미생물이 잘못 연결된 것은?
  • 63. 단백질합성 과정에서 DNA를 주형으로 하여 mRNA를 합성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64. 미생물의 균수측정법 중 생균수 측정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5. 미생물의 변이를 유도하기 위한 돌연변이원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
  • 66. 주어진 온도조건에서 미생물 수를 90% 감소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을 나타내는 값은?
  • 67. 송이버섯목, 백목이균목 등과 같은 대부분의 버섯은 미생물 분류학상 어디에 속하는가?
  • 68.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생육 최저 수분활성도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 69. 자연발생적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 70. 녹조류로서 균체단백질(SCP)로 이용되며 CO2를 이용하고 O2를 방출하는 것은?
  • 71. 박테리오파지(Banteriophage)가 감염하여 증식할 수 없는 균은?
  • 72. 미생물 돌연변이원 중 하나인 NT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3. Acetobacter 속이 주요 미생물로 작용하는 발효식품은?
  • 74. 전분을 효소로 분해하여 포도당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미생물 효소는?
  • 75.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포도 착즙액에 접종하고 혐기적으로 배양할 때 주로 생성되는 물질은?
  • 76. 세균에서 일어나는 유전물질 전달(gene transfer) 방법이 아닌 것은?
  • 77. 세균이 그람 염색에서 그람양성과 그람음성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의 차이 때문인가?
  • 78. Baird-Parker 배지는 coagulase 양성인 포도상구균의 선택배지이다. 만약 어떤 균을 이 배지에 증식시켰더니 집락주위에 투명환이 생겼다면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79. 그람음성의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간균으로, 대개 주모에 의한 운동성이 있고 유당으로부터 산과 가스를 형성하는 균은?
  • 80. 미생물 세포 내에서 단백질 합성이 이루어지는 곳은?
5 과목 : 생화학 및 발효학
  • 81. 의약용 인체 당단백질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하고자 할 때 가장 적절한 균주는?
  • 82. 주정 발효시 술덫에 존재하는 성분으로 불순물인 fusel oil의 성분이 아닌 것은?
  • 83. 다음 중 β -lactam 계열의 항생물질인 것은?
  • 84. 항산화작용을 하여 산소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하는 비타민은?
  • 85. 오탄당 인산경로 (pentose phosphate pathway)의 생산물이 아닌 것은?
  • 8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산균주의 보관방법이 아닌 것은?
  • 87. 에너지 이용률이 가장 낮은 반응은?
  • 88. 연속배양의 장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89. 산업적으로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중요한 발효 산물과 거리가 먼 것은?
  • 90. 활성물질과 균주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91. DN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2. 효모배양 시 효모의 최고 수득량을 얻는 당의 공금 방식은?
  • 93. 탁ㆍ약주 제조 시 올바른 주모관리의 방법이 아닌 것은?
  • 94. 보효소로서의 유리 nucleotide 와 그 작용의 연결이 옳은 것은?
  • 95. DNA 분자의 purine 과 pyrimidine 염기쌍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은?
  • 96. Brevibacterium flavum 의 homoserine 영양요구변이주에 의한 lysine 발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97. 지방보다 탄수화물 함량이 더 많은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 더 많이 섭취하여야 할 비타민은?
  • 98. 글리코겐(glycogen)의 합성에 이용되는 nucleotide는?
  • 99. 젖산생성으로 호기적인 L-젖산만 생산하는 곰팡이는?
  • 100. DNA 중합효소는 15s-1의 turnover number 를 갖는다. 이 효소가 1분간 반응하였을 때 중합되는 뉴클레오티드(nucleotide)의 개수는?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