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용접기사
영문명 :
Engineer Welding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용접기능사, 용접산업기사, 용접기사

2. 자격정보

□ 용접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용접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용접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고급 용접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8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일반적으로 용접의 종류는 전기용접, 가스용접, 저항용접, 특수용접 등으로 나누어짐.
용접 분야와 관련한 국제 자격으로 미국 용접협회(AWS)와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공동 주관하는 용접검사원(CWI)이 있음.
용접분야에 관한 공학이론을 바탕으로 제품과정에서 필요한 용접기술을 개발하고 설계하며, 이에 따르는 비용을 계산하고 재료를 준비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정기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53,1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주어진 도면을 해독하여 실무에서 사용되는 용접방법으로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의 기계공학, 금속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광업자원 중 채광, 기계, 화학, 전기·전자 중 전기,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중 에너지·기상

시험과목

- 필기

1) 기계제작법
2) 재료역학
3) 용접야금
4) 용접구조설계
5)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 실기

1) 용접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45점) + 작업형(1시간 20분 정도, 55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70분

1 과목 : 기계제작법
  • 1. 절삭가공을 할 때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부식을 이용하는 방법
    복사고은계를 이용하는 방법
    열전대(thermo couple)에 의한 방법
    칼로리미터(calorimeter)에 의한 방법
  • 2. 다음 중 절삭가공에서 공구의 수명에 영향을 주는 절삭조건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절삭속도
    절삭유제
    공작물의 재질
    공작물의 크기
  • 3. 강선의 냉간인발 중 가공경화가 나타나서 계속적인 작업이 어려울 때 조직을 연화시키기 위하여 항온변태를 시켜서 인발 가공을 용이하게 만드는 열처리 방법은?
    마?칭
    파텐팅
    완전 어닐링
    스페로다이징
  • 4. 단조 프레스 용량이 50kN이고, 프레스의 효율이 80%, 단조물의 유효 단면적이 500mm2인 재료를 단조하고자 할 때 단조재료의 변형저항은 몇 MPa인가?
  • 5. KS규격에 따른 주물사의 시험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 주철, 주강제의 작은 볼(ball)을 고속으로 가공물의 표면에 분사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동시에 얇은 경화층을 얻어 피로강도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가공 방법은?
  • 7. 주조방법 중 이산화탄소법(CO2법)의 주형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 8. 원형다면봉의 지름을 같은 조건에서 많은 측정을 반복하였을 때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대칭의 산형의 곡선이 된다. 이와 같은 분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9. 센터리스 연삭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0. 니켈, 크롬, 망간 등이 함유된 특수강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대기 중에 공냉시키는 것만으로도 마르텐자이트 조직이 생성되어 단단해지는 성질은?
  • 11. 초음파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2. 지름 91MM의 강봉을 회전수 700RPM으로 선삭하는데 절삭저항의 주분력이 735.75n일 때 소요동력은 약 몇 kW인가? (단, 기계 효율은 80%이다.)
  • 13. 정밀입자가공에서 입도가 작고 연한 숫돌에 적은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진동을 주고 가공물에 이송을 주면서 표면을 정밀하게 다듬질하는 가공법은?
  • 14. 다음 중 센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연삭할 수 있으며,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을 하는데 적합한 연삭기는?
  • 15. 방전가공에서 측전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6. 어미자의 최소눈금이 0.5mm, 어미자의 눈금 12mm를 25등분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읽음 값(mm)은?
  • 17. 회전하는 상자에 공작물과 숫동 입자, 공작액, 컴파운드 등을 함께 넣어 공작물이 입자와 충돌하는 동안에 그 표면의 요철을 제거하며 매끈한 가공면을 얻는 가공법은?
  • 18. 산소 용기에 저장하는 산소는 몇 도의 온도에서 150기압으로 압축하여 충전하는가?
  • 19. 전기저항 용접에서 발생열량 Q(cal)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I:전류(A), R: 저항(Ω), t: 시간(sec)이다.)
  • 20. 기계 재료에서 소성과 반대되는 성질로 재료에 외력을 가한 후 힘을 제거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기계적 성질은?
2 과목 : 재료역학
  • 21. 길이가 ℓ인 양단고정보의 중앙에 집중하중 P를 받고 있을 때, C점에서의 굽힘모멘트 Mc는?
  • 22. 폭 b가 일정하고 길이가 L인 4각형 단면 외팔보의 자유단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하고 있다. 외팔보 내부의 최대굽힘응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의 높이 h를 벽으로부터의 거리 x에 대한 함수로 옳게 나타낸 것은? (단, 여기서 C는 상수이다.)
  • 23. 포와송 비를 v, 전단탄성계수를 G라 할 때, 세로탄성계수 E를 나타내는 식은?
  • 24. 그림과 같이 길이가 다르고 지름이 같은 동일재질의 강봉에 강체로 된 보가 달려 있다. 이보가 힘 P를 받아도 힘을 받기 전과 동일하게 수평을 유지하고 있을 때 강봉 AB에 작용하는 힘은 CD에 작용하는 힘의 몇 배가 되는가?
  • 25. 길이가 I인 외팔보에 균일분포 하중 w가 작용하고 있을 때 최대 처짐량은? (단, 보의 굽힘 강성 EI는 일정하고, 자중은 무시한다.)
  • 26. 그림과 같이 양단에서 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A지점의 처짐각 θA는? (단, 보의 굽힘 강성 EI는 일정하고, 자중은 무시한다.)
  • 27. 약 50kW의 동력을 초당 10회전으로 전달하려고 한다. 이 때 축에 작용하는 토크(NㆍM)는 약 얼마인가?
  • 28. 그림과 같은 균일 단면 단순보의 일부에 균일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점 C에서의 굽힘모멘트는 약 몇 kNㆍm인가? (단, 굽힘 강성 EI는 일정ㅇ하고,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 29. 속이 찬 원형축을 비틀 때 다음 중 어느 경우가 가장 비틀기 어려운가? (단, G는 재료의 전단탄성개수이며, 비틀림 각도와 축의 길이는 일정하다.)
  • 30. 지름 10cm, 길이 1.2m의 둥근 막대의 일단을 고정하고 자유단을 10° 비틀었다고 하면, 막대에 생기는 최대전단응력은 약 몇 MPa인가? (단, 막대의 전다난성계수 G=8.4 GPa이다.)
  • 31. 양단 회전 기둥과 일단고정 타단자유 기둥의 좌굴하중을 각각 P1, 및 P2라 하면 이들의 비 P2/P1는 얼마인가? (단, 재질, 길이(L), 단면 형상 조건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 32. 폭이 3cm 이고, 높이가 4cm 인 직사각형 단면보에 수직방향으로 전단력이 800N 작용할 때 이 보 속의 최대전단응력은 몇 MPa 인가?
  • 33. 그림과 같은 두 개의 판재가 볼트로 체결된 채 500N의 인장력을 받고 있다. 볼트의 중간단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은?
  • 34. 그림과 같이 수평 강체봉 AB의 한쪽을 벽에 힌지로 연결하고 죄임봉 CD로 매단 구조물이 있다. 죄임봉의 단면적은 1cm2, 허용 인장응력은 100MPa 일 때 B단의 최대 안전하중은 P는 몇 kN인가?
  • 35. 그림과 같은 단면의 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 36. 안지름이 2m이고 1000kPa 내압이 작용하는 원통형 압력 용기의 최대 사용응력이 200MPa이다. 용기의 두께는 약 몇 mm인가? (단, 안전계수는 2이다.)
  • 37. 15℃에서 양단을 고정한 둥근 막대에 발생하는 열응력이 85MPa을 넘지 않도록 하려고 할 때 온도의 허용범위는? (단, 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210GPa, 열팽창계수는 11.5×10-6/K이다.)
  • 38. 평면 응력상태에서 σx=1000MPa, σy=50MPa일 때 x방향과 y방행의 변형률 Ex, Ey는 약 얼마인가? (단, 이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210GPa, 포와송 비 v=0.3이다.)
  • 39. 그림과 같이 균일 분포하중을 받고 있는 돌출봉의 굽힘모멘트 선도(BMD)는?
  • 40. 공학적 변형률(engineering stain) e와 진병형률(true strain) ε사이의 관계식으로 맞는 것은?
3 과목 : 용접야금
  • 41. 후판의 용접비드 중심부에서의 주상정(柱狀晶)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42. Fe - Fe3C 평형상태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변태점은?
  • 43. 스테인리스강(18Cr-8Ni) 용접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용접결함은?
  • 44. 결정격자 결함 중 면결함에 해당되는 것은?
  • 45. 탄소강에서 적열메짐의 원인이 되는 원소는?
  • 46.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 방지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7. 공석강의 조직으로 옳은 것은?
  • 48. 압력이 일정한 금속계에서 상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자유도의 식으로 옳은 것은? (단, F: 자유도, n: 성분수, P: 상의수이다.)
  • 49. Al-Cu-Ni-Mg계 합금으로 강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강도가 크므로 공냉 실린더 헤드, 내연 기과용 피스톤 등에 이용되는 합금은?
  • 50. 용접부의 저온균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1. 저온균열은 냉각조건에 따라 마텐자이트 변태나 잔류오스테나이트에 의한 취성화가 원인이다. 강을 오스테나이트 구역에서 담금질(수랭)하여 최종으로 얻을 수 있는 조직은?
  • 52. 강의 열처리에서 A1, 변태점 이하로 가열하여 소정시간 유지한 다음 냉각하는 방법으로 인성이 증가되는 열처리 방법은?
  • 53. 항온변태곡선과 구별하기 위한 연속냉각곡선을 의미하는 것은?
  • 54. 탄소강에 함유되어 잇는 구리(Cu)의 영향이 아닌 것은?
  • 55. 비중이 작은 것에서 큰 순서대로 내열된 것은?
  • 56. 초경합금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 57. 용접 후 열처리 목적이 아닌 것은?
  • 58. 액체 금속이 응고할 때 융점의 온도에서 응고가 시작되지 않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응고가 되는 현상은?
  • 59. 용융 금속 중에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Fe보다 큰 원소를 첨가하면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물이 발생하는 반응은?
  • 60. 용착금속 내에 유황편석에 의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은?
4 과목 : 용접구조설계
  • 61. 자분탐상 검사를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금속은?
  • 62. 용접변형의 종류 중에서 면내 변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63. 첫층에서 루트 근방의 열 영향부에 발생하여 점차 비드 속으로 성장해 들어가는 세로균열의 일종으로 용접부에 함유된 수소량이나 잔류응력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결함은?
  • 64. 용접구조물을 설계할 때 부분 조립의 활용 및 용접요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65. E4316 피복 아크 용접봉의 건조 온도와 건조 시간을 ㄴ타낸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66. 강판의 두께 15mm, 폭 100mm의 v형 홈을 맞대기 용접이음 할 때 이음효율을 80%로 하면 인장하중은 얼마인가? (단, 강판의 최저 인장강도는 40kgf/mm2, 안전율은 4, 용접부는 불용착부가 없는 완전 용입의 이음부이다.)
  • 67. 용접을 진행하는 용접부의 부근을 냉각시켜 열영향부의 넓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변형을 방지하는 냉각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8. 용접 이음부의 형태를 설계할 때 고려항 사항 중 틀린 것은?
  • 69. 강판의 두께 20mm, 길이 3m를 V형 홈으로 맞대기용접 이음을 하고자 한다. 이 용접부에 사용될 용접봉의 사용량은 약 몇 kgf 인가? (단, 용착 금속의 비중은 7.85, 용착효율은 65%, V형 홈 용접부 단면적은 2.9cm2로 한다.)
  • 70. 다음 중 용접부 표면의 미소한 균열이나 작은 구멍들을 신속하고 쉽게 검출하는 방법으로 철 및 비자성 재료에 많이 이용되는 시험법은?
  • 71. 용접이음의 강도와 파괴에서 시간 의존성 파괴가 아닌 것은?
  • 72. 피복 아크 용접에서 아크 전류 300A, 아크 전압 30V, 용접속도 10cm/min 일 때 용접의 단위길이 1cm 당 발생하는 용접 입열은 약 몇 Joule/cm 인가?
  • 73. 용접법 중 압접에 해당하는 것은?
  • 74. [그림]과 같이 필릿 용접부를 해머나 프레스로 굽혀 파단시켜 용입부족이나 결함을 검사하는 시험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75.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금속 및 모재의 수축에 대하여 용접 전에 반대방향으로 굽혀 놓고 작업하는 용접 변형 방지 방법은?
  • 76. 다음 용접 홈의 형상 중 가장 얇은 판에 사용되는 것은?
  • 77. 방사선 투과검사에서 방사선원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 78. 용접이음 설계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79. 용착금속 중에 함유된 수소함유량 측정법으로 사용되는 것은?
  • 80. 용접 이음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고온의 분위기에서 용접이음이 사용될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은?
5 과목 :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 81. 압력조정기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 82. 안전ㆍ보건표지의 색체에서 지시표지에 사용되는 색은?
  • 83. 용접 균열 시험에서 고온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균열 시험법은?
  • 84. 다음 가연성 가스 중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는?
  • 85. 동(Cu)용접이 철강용접에 비해 어려운 이유로 틀린 것은?
  • 86. 용접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7. 용접작업 중 흄(fume) 가스 중독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88. 피복 아크 용접에서 직류 정극성(DCSP)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9. 다음 중 플라즈마 아크의 종류가 아닌 것은?
  • 90. 가스 정단에서 드래그(drag)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 9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2. 교류아크 용접기의 1차 전압이 220V, 정격 2차 전류가 240A, 정격사용률 40%, 아크전압 35V일 때 용접전류 200A로 용접작업을 할 경우 허용사용률은 약 몇 %인가?
  • 93. 피복 아크용접보다 강한 전류를 사용하여, 연강, 특수강 및 일부비철금속 등의 두꺼운 판도 단층으로 용접할 수 있는 것은? (단, 용제와 와이어가 분리 공급되고, 아크는 용제 속에서 발생)
  • 94. 용접작업 중 환기장치의 필요성이 가장 낮은 것은?
  • 95. 피복 아크 용접 시 용접기의 1차 입력이 25kVA일 때 용접기의 1차 측에 설치할 안전 스위치에 몇 A의 퓨즈를 붙이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단, 이 용접기의 입력 전압은 200V이다.)
  • 96.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착금속을 보호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 97. 가스용접에서 사용되는 아세틸렌가스의 폭발을 일으키는 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98. 이음 현상에 따른 저항용접의 분류 중 겹치기 이음이 아닌 것은?
  • 99. 교류 아크 용접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00. 다음 중 염기도가 가장 높은 용접봉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