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조경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조경기능사, 조경산업기사, 조경기사

2. 자격정보

□ 조경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 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조경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생활공간을 아름답게 꾸미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8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조경대상지역에 대하여 도시계획과 토지이용 등을 고려하여 조경설계도면을 작성하고, 조경공사 시공에 관한 공사비 적산과 공사공정 계획을 수립.
각종 조경시설의 관리계획수립 및 공사업무의 관리 등 주로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회사의 조경부서, 조경엔지니어링회사, 조경컨설팅회사, 조경설계용역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조경 식자재전문공사업체, 조경시설물 설치전문공사업체, 조경관리업체, 공원(실내, 실외), 학교, 아파트 단지 등의 관리부서, 정원수 및 온실 재배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으로도 취업 가능.

우대

- 조경 분야에서는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임업직렬의 산림조경, 산림자원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수질, 폐기물 직류, 시설직렬의 도시계획, 일반토목, 농업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분야, 시설조경,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조경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6,4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문대학의 조경학, 원예조경학, 환경조경학, 녹지조경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조경계획 및 설계
2) 조경식재
3) 조경시공
4) 조경관리

- 실기

1)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4시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240분

1 과목 : 조경계획 및 설계
  • 1. 다음 중 향원지원, 교태전 후원 등과 가장 관계가 깊은 곳은?
    창덕궁
    경복궁
    덕수궁
    창경궁
  • 2. 조선후기 궁궐에서 정원 관리를 담당하던 관서는?
    내원서
    장원서
    상림원
    사선서
  • 3. 일본의 회유식 임천정원(廻遊式 林泉庭園)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산책하면서 감상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못(池)에는 다리가 없다.
    교토(京都) 계리궁(桂離宮, 가츠라리큐)의 정원은 그 대표적인 한 예이다.
    그 근원을 중세 말에 두고 있으나 양식으로 정착한 것은 강호(江戶, 에도)시대이다.
    중국적인 조경요소가 도입되어 있는 도쿄(東京)의 소석천후락원(小石川後樂園)도 이 양식에 속한다.
  • 4. 아도니스원(Adonis Garde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 중국 송나라의 휘종(徽宗) 때에 주민이 설계한 정원으로서 항주의 봉황산을 닮게 하였다고 하는 정원은?
  • 6. 탑골(파고다)공원 내에 있는 「앙부일구(仰釜日晷)」는 무엇과 관련 있는가?
  • 7. 도산서원에 퇴계선생이 지당을 파고 연꽃을 심었던 유적은?
  • 8. 다음 중 아크로폴리스(Acropolis)와 관계없는 것은?
  • 9. 광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 조경을 계획과 설계의 개념으로 구분한 것 중 설계(design)의 개념에 가장 가까운 접근방법은?
  • 11. 다음 중 대상물의 표면이 거칠거나 섬세한 상태에 의하여 판단되는 경관 인지 요소는?
  • 12. 레크레이션 계획을'여가 시간에 행하는 사람들의 레크레이션 활동을 그에 적합한 공간 및 시설에 관련시키는 계회'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레크레이션의 접근 방법을 자원접근방법, 활동접근법, 경제접근법, 형태접근방법, 종합접근방법 등 5가지로 분류한 사람은?
  • 13. 다음 중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4.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 15.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상의 계단돌 쌓기(자연석층계)의 설명이 틀린 것은?
  • 16. 다음 그림에서 치수 기입 방법이 잘못된 것은?
  • 17. 문화재에 대한 조경 대상으로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 18. 환경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9. 체육공원의 계획 및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0. 수목의 종류, 배치 및 기타 횡단 구성요소와 균형 및 장래에 추가 차선을 목적으로 할 경우나 경관지 식수대의 경우는 그 폭을 몇 미터까지 할 수 있는가?
2 과목 : 조경식재
  • 21. 다음 그림 중 식재를 통한 비대칭적 균형에 의한 공간감을 조성한 것이 아닌 것은?
  • 22. 다음 중 피자식물에 속하는 종이 아닌 것은?
  • 23. 일반적인 식재설계과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 24. 토양의 화학적 성질 중 양이온치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5. 수목식재에 있어서 색채(color)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이러한 디자인요소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 수종의 기관별 특징이 되는 색채가 바르게 설명된 것은?
  • 26. 무궁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7. 다음 수종 중 잎의 특징이 복엽인 것은?
  • 28.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녹지에서 생육이 불량한 수종은?
  • 29. 다음 중 멸종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종은?
  • 30. 식물체 기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1. 다음 중 장미과(Rosaceae)에 속하지 않는 것은?
  • 32. 보통명(common name)은 습성, 특징, 산지, 용도, 전설, 외래어 등에서 유래되어 비롯된다. 다음 중 이름이 나무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 아닌 것은?
  • 33. 다음 지피식물 중 백색계의 꽃을 볼 수 있는 식물로 모두 해당되는 것은?
  • 34. 서어나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5. 조경공사 시 표토 모으기 및 활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6. 줄기 싸주기(나무감기)를 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7. 흰색의 꽃(5~7월)과 붉은 색의 열매(9~10월)를 감상할 수 있으며, 녹음수 또는 독립수로 적합한 수종은?
  • 38. 수목의 번식과 관련된 잡종강세(雜種强勢)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39. 수목의 번식과 관련된 잡종강세(雜種强勢)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0. 토양 산성화의 영향으로 틀린 것은?
3 과목 : 조경시공
  • 41. 순공사원가(순공사비)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2.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작업 ②→④의 총 여유시간(T.F)은? (단, 단위는 일이다.)
  • 43. 열가소성 수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4. 건축부문에서 일위대가표를 작성할 때 일위대가표의 계금 단위표준은 어떻게 적용시키는가?
  • 45. 공원부지 분할에 있어서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의 변 BC상의 점 D와 AC상의 점 E를 연결하여 직선 DE로 삼각형 ABC의 면적을 2등분하려고 할 때 적당한 CE의 길이는?
  • 46. 그림과 같은 외팔보의 지점 A에서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몇 [kNㆍm]인가?
  • 47. 목재의 수축과 팽윤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수분은?
  • 48. 조경공사에서 사용되는 목재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49.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 50. 조적(벽돌)쌓기 시 일반적인 줄눈나비는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
  • 51. 다음 중 재료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 52.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3. 어떤 지역에 20분 동안 15mm의 강우가 있다면 평균 강우강도(mm/h)는?
  • 5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거푸집의 종류는?
    - 내수코팅합판과 경량 frame으로 기성품 제작
    - 몇 가지 형태의 기본 panel로 벽, slab, 기중의 조입이 가능
    - system 거푸집의 초기단계로 모듈화된 판넬을 사용
  • 55. 지형의 기복이 심한 소규모 공간에 물이 정체되는 곳이나 평탄면에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곳의 배수를 촉진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심토층 배수방식은?
  • 56.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 57. 곡선부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방지하기 위한 편구배(i)를 구하는 공식은?
    i : 편규배
    f : 횡활동 미끄럼마찰계수
    V : 설계속도
    R : 곡선변경
  • 58. 항공사진의 판독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 ⓓ 판독기준의 작성, ⓔ 정리, ⓕ 지리조사
  • 59. 다음 중 맨홀 배치가 필요 없는 경우는?
  • 60. 큰 나무를 싣거나 옮기거나 또는 식재할 때 사용하기 가장 부적합한 것은?
4 과목 : 조경관리
  • 61. 조경의 유지관리 기본목적에 속하지 않는 것은?
  • 62. 주로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함으로써 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 63. 다음 비탈면 보호공의 유지관리 항목의 연결 재용이 가장 부적합한 것은?
  • 64. 시설물 보수 사이클과 내용 연수의 연결이 잘못된것은?
  • 65. 수피(樹皮)에 구멍을 내어 비료성분을 주입하는 시비법에 해당하는 것은?
  • 66. 운영관리계획은 양의 변화와 질의 변화로 분류한다. 다음 중 질(質)의 변화에 해당하는 것은?
  • 67. 잔디밭에서의 재배적인 잡초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 68. 가을에 수목들의 줄기 중간부분에 짚이나 거적을 감아두는 이유는 가장 적합한 것은?
  • 69. 비탈면의 경사가 1:1.0 이상의 완구배로서 접착력이 없는 토양식생이 곤란한 풍화토, 점토 등의 경우에 비탈면의 풍화 및 침식 등의 방지를 주목적으로 사용되는 비탈면 보호공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70. 1년간 연 근로시간이 240,000시간의 조경시설물 제조공장에서 4건의 휴업재해가 발생하여 100일의 휴업일수를 기록했다. 강도율은 얼마인가?(단, 연간 근로일수는 300일이다.)
  • 71. 수목 관리 시 목재 부산물을 이용한 멀칭(mulching)의 기대 효과가 아닌 것은?
  • 72. 활엽수의 질소(N)결핍 현상으로 옳은 것은?
  • 73. 다음 수목관리 계획 중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
  • 74. 콘크리트재 유회시설의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미관을 위한 재도장은 얼마의 기간을 두고 하는 것이 적당한가?
  • 75. 다음 중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안전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 76. 간척지의 다년생 우점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 77. 다음 중 토양 내에 과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금속 오염의 피해를 주지만 미량 함유되어 있으면 필수 미량원소 비료가 되는 것은?
  • 78. 작물보호제(농약)의 사용방법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79. 레크레이션 분야에 수용능력(carrying capacity)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 80. 다음 중 잔디의 피티움마름병에 방제 효과가 가장 나쁜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