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전기기사
영문명 :
Engineer Electricity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2. 자격정보

□ 전기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보수에 관한 전문화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주로 전기기계 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그리고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서의 업무를 수행.
공사 현장에서 공사를 시공,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 발전,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 관리업무를 담당.
□ 진로 및 전망
취업

-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건설 현장, 전기공작물시설업체, 아파트 전기실, 빌딩제어실 등에 취업 가능.

-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 가능.

- 일반업체나 공장의 전기 부서 등으로도 취업 가능.

- 송유관사업법에 의해 송유관사업체의 안전관리책임자로, 전기사업법에 의해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로 내 배전선로의 관리소를 직접 통할하는 사업장에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 취업 가능.

-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 국공립 전기 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 가능.

- 전기공학 기술자로서 전기부품, 장비, 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 담당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 직렬의 전기, 항공우주 직류, 해양수산 직렬의 수로, 해양교통시설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경찰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음.

자격부여

- 전기기사의 자격을 취득하면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안전관리 대행자로 활동이 가능하고,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등의 자격이 주어짐.

- 전력기술관리법에 의한 전력기술인으로 활동할 수 있고, 전력설계업 및 감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항로표지법에 의한 항로표지 장비 및 용품 성능 검사대행 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전기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 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등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전기자기학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실기

1)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전기자기학
  • 1. 비유전률 ES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진공의 비 유전률은 0이다.
    공기의 비 유전률은 약 1 정도 된다.
    ES는 항상 1 보다 큰 값이다.
    ES는 절연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2. 길이 1[m]인 철심(μr=1000)의 자기회로에 1[mm]의 공극이 생겼다면 전체의 자기저항은 약 몇 배로 증가되는가? (단, 각 부의단면적은 일정하다.)
    1.5
    2
    2.5
    3
  • 3. 진공 내에서 전위함수 V=x2+y2[V]로 주어질 때 0 ≤ x ≤ 1,0 ≤ y ≤ 1,0 ≤ z ≤ 1인 공간에 저축되는 에너지는 몇 [J]인가?
    0
    0
  • 4. 맥스웰의 전자방정식 중 패러데이 법칙에서 유도된 식은? (단, D : 전속밀도, ρ : 공간 전하밀도, B : 자속밀도, E : 전계의 세기,J: 전류밀도, H : 자계의 세기)
  • 5. 자화율(magnetic susceptibility) χ는 상자성체에서 일반적으로 어떤 값을 갖는가?
  • 6. 단면적 S[m2], 단위 길이에 대한 권수가 N0[회/m]인 무한히 긴 솔레노이드의 단위 길이당의 자기인덕턴스는 몇 [H/m]인가?
  • 7. 자기인덕턴스의 성질을 옳게 표현한 것은?
  • 8. 10[cm3]의 체적에 3[μC/cm3]의 체적전하 분포가 있을 때, 이 체적 전체에서 발산하는 전속은 몇 [C] 인가?
  • 9. 전속밀도 D=x2i+2y2j+3zk[C/m2]을 주는 원점의 1[mm3] 내의 전하는 몇 [C] 인가?
  • 10. 폐곡면을 통하는 전속과 폐곡면 내부의 전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은?
  • 11. 무한장 직선 도체가 있다. 이 도체로부터 수직으로 0.1[m]떨어진 점의 자계의 세기가 180[AT/m]이다. 이 도체로부터 수직으로 0.3[m] 떨어진 점의 자계의 세기는 몇[AT/m]인가?
  • 12. 그림과 같이 평행한 무한장 직선도선에 I, 4I인 전류가 흐른다. 두 선사이의 점 P 의 자계의 세기가 0이라고 하면 a/b는 얼마인가?
  • 13. 전자기파의 기본 성질이 아닌 것은?
  • 14. 그림과 같은 무한 직선전류 I에 의한 P점의 Vector Potential과 자장의 방향은?(단, x 축은 종이 뒷면에서 앞으로 향함)
  • 15. 자유공간에서 점 P(5, -2, 4)가 도체 면상에 있으며 이 점에서 전계 E=6ax-2ay+3az[V/m]이다. 점 P 에서의 면전하밀도 ρs=[C/m2]은?
  • 16. 그림과 같은 지름 0.01[m] 의 원형단면을 가진 평균 반지름 0.1m의 환상솔레노이드의 권수는 500회, 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2[A] 라고 할때 전체 자속은 몇 [Wb]인가? (단, 환상철심의 비투자율은 1,000으로 하고 누설자속은 없는 것으로 한다.)
  • 17. 전계 E[V/m] 및 자계 H[AT/m]인 전자파가 자유공간 중을 빛의 속도로 전파될 때 단위시간에 단위면적을 지나는 에너지는 몇 [W/m2]인가? (단, C는 빛의 속도를 나타낸다.)
  • 18. 무한히 긴 직선 도체에 전류 I[A]를 흘릴 때 이 전류로부터 d[m]되는 점의 자속밀도는 몇 [W/m2] 인가?
  • 19. 원형코일이 평등 자계 내에 지름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을 때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의 주파수는?
  • 20. 그림과 같은 전기 쌍극자에서 P점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 인가?
2 과목 : 전력공학
  • 21. 전파정수 γ, 특성임피던스 Z0, 길이 ℓ인 분포 정수 회로가 있다. 수전단에 이 선로의 특성임피던스와 같은 임피던스 Z0를 부하로 접속하였을 때 송전단에서 부하측을 본 임피던스는?
  • 22. 연간 전력량이 E[kWh]이고, 연간 최 대전력이 W[kW]인 연부하율은 몇 [%] 인가?
  • 23. 배전선로의 손실 경감과 관계가 없는 것은?
  • 24. 자가용 수전설비 13.2/22.9[kV-Y]결선에서 계기용변압기의 2차측 정격전압은 몇[V] 인가?
  • 25. 특별고압 차단기 중 개폐 서지전압이 가장 높은 것은?
  • 26. 수변전 설비에서 1차측에 설치하는 차단기의 용량은 어느 것에 의해서 정해지는가?
  • 27. 그림과 같은 154[kV] 송전계통의 F점에서 무부하시 3상 단락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장 전력은 약 몇 [MVA]인가? (단, 발전기 G1(용량 20 [MVA]), G2(용량 30MVA)의 % 과도 리액턴스 및 변압기 Tr(용량 50[MVA])의 % 리액턴스는 각각 자기 용량 기준으로 20%, 20% 10% 이고 변압기에서 고장점 F 까지의 선로 리액턴스는 100 MVA 기준으로 5[%]라고 한다.)
  • 28. 전원이 양단에 있는 환상선로의 단락 보호에 사용되는 계전기는?
  • 29. 전선의 표피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0. 전력 계통의 경부하시 또는 다른 발전소의 발전 전력에 여유가 있을 때, 이 잉여 전력을 이용해서 전동기로 펌프를 돌려 물을 상부의 저수지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수압관을 통하여 이 물을 이용해서 발전하는 발전소는?
  • 31. 송전선로의 코로나 손실을 나타내는 다음의 Peek식에서 Eo 에 해당하는 것은?
  • 32. 정격전압이 66[kV]인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1선의 리액턴스가 17[Ω]일 때, 이를 100[MVA] 기준으로 환산한 % 리액턴스[%]는 약 얼마인가?
  • 33. 송전계통에서 1선 지락의 경우 지락전류가 가장 적은계통은?
  • 34. 송전선로의 일반회로정수가 A = 0.7, B = j190, D = 0.9라 하면 C 의 값은?
  • 35. 다음 중 가공 송전선에 사용하는 애자련 중 전압부담이 가장 큰 것은?
  • 36. 수력발전설비에 이용되는 차동조압수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37. 단일 부하 배전선에서 부하역률 cosθ, 부하전류I, 선로저항 r, 리액턴스를 X라 하면 배전선에서 최대 전압강하가 생기는 조건은?
  • 38. GISG (Gas Insulated SwitchGear)를 채용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2, 3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39. 이상 전압에 대한 방호장치가 아닌 것은?
  • 40. 그림과 같은 열사이클은?
3 과목 : 전기기기
  • 41. 동기 발전기 권선의 층간 단락 보호에 가장 적합한 계전기는?
  • 42. 그림과 같은 정류회로에서 전류 IS(실효치)는?
  • 43. 그림과 같은 변압기 회로에서 부하 R2에 공급되는 전력이 최대로 되는 변압기의 권수비 a는?
  • 44. 다음 사이리스터 중 3단자 사이리스터가 아닌것은?
  • 45. 비례추이를 하는 전동기는?
  • 46. 변압기의 무부하 시험과 관계있는 것은?
  • 47. 100[HP], 600[V], 1,200[rpm]의 직류분권전동기가 있다. 분권계자저항 400[Ω], 전기자저항 0.22[Ω]이고 정격 부하에서의 효율이 90[%]일 때 전부하시의 역기전력은 약 몇 [V]인가? (단, 1[HP]은 746[W]이다.)
  • 48. 변압기 온도 시험을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 49. 6극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 동일 토크로 운전할 때 60[Hz]의 전원에서 2차측에 0.3[Ω]의 저항을 Y로 삽입하면 500[rpm]으로 회전하고 0.2[Ω]을 삽입하면 700[rpm]이 된다. 회전수를 550[rpm]으로 하려면 외부저항을 매상 몇 [Ω]으로 하면 되는가?
  • 50. 3상 유도전동기의 원선도를 작성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것은?
  • 51. 동기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을 단절권으로 감는 이유는?
  • 52. 동기전동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을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단, V : 공급전압, E : 역기전력, I: 전기자 전류이다.)
  • 53. 15[KW], 380[V], 60[Hz]의 3상 유도 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전부하 때의 2차 입력은 15.5[KW]라 한다. 이경우의 2차 효율[%]은?
  • 54. 동기발전기의 권선을 분포권으로 하면?
  • 55. 단상유도 전압조정기에서 단락권선의 성질이 아닌 것은?
  • 56. 부하가 변하면 현저하게 속도가 변하는 직류 전동기는?
  • 57. 10[kW], 200[V], 전기자저항 0.15[Ω]의 타여자 발전기를 전동기로 사용하여 발전기의 경우와 같은 전류를 흘렸을 때 단자전압은 몇 [V]로 하면 되는가? (단, 여기서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하고 회전수는 같도록 한다.)
  • 58. 서보 전동기로 사용되는 전동기와 제어 방식 종류가 아닌 것은?
  • 59.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 슬립 주파수의 전압을 가하는 속도제어는?
  • 60. 단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하는 경우 부하분담을 용량에 비례시키는 조건 가운데 필요 없는 것은?
4 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61. 다음으로 표시되는 식의 Laplace변환은 어느 것으로 나타나는가?
  • 62. R=5[Ω], L=20[mH] 및 가변 콘덴서 C로 구성된 RLC 직렬회로에 주파수 1000[Hz] 인 교류를 가한다음 C를 가변시켜 직렬 공진시킬 때 C의 값[μF] 은 어느 것이 가장 가까운가?
  • 63. 리액턴스 구동점 임피던스 함수 Z(s)가 리액턴스 2단자망의 구동점 임피던스가 되기 위한 필요 충분 조건이 아닌 것은?
  • 64. 전압의 순시값이 일 때 실효값은 몇 [V]인가?
  • 65.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100[Ω]이고 부하저항이 400[Ω]일 때 전압 정재파비 s는?
  • 66. 성형 결선의 부하가 있다. 선간전압 300[V]의 3상 교류를 인가했을 때 선전류가 40[A]이고 그 역률이 0.8이라면 리액턴스[Ω]는?
  • 67. 그림의 회로에서 1/8[F]의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적으로 i(t)=A+Be-at로 표시된다. B의 값은? (단, E=16[V] 이다.)
  • 68. 다음 회로에서 입력을 V(t)출력을 I(t)로 했을 때의 입출력 전달 함수는? (단, 스위치 S는 t=0 순간에 회로에 전압이 공급된다고 한다.)
  • 69. 어떤 4단자망의 입력단자 1,1′사이의 영상 임피던스 Z01과 출력단자 2,2′사이의 영상 임피던스 Z02가 같게 되려면 4단자 정수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어야 하는가?
  • 70. 대칭 좌표법에서 대칭분을 각 상전압으로 표시한 것 중 틀린 것은?
  • 71. 샘플러의 주기를 T라 할 때 s-평면상의 모든 점은 식 z=esT에 의하여 z-평면상에 사상된다. 평면의 좌반 평면상의 모든 점은 z-평면상 단위원의 어느 부분으로 사상되는가?
  • 72. 논리회로의 출력 Xo 는?
  • 73. 서보 기구에서 직접 제어되는 제어량은 주로 어느 것인가?
  • 74. 다음의 신호선도를 메이슨의 공식을 이용하여 전달함수를 구하고자 한다. 이 신호선도에서 루프(Loop)는 몇 개인가?
  • 75.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상태 방정식이 로 표시될 때, t > t0에 대한 상태 천이방정식(state transition equation)의 식이 올바르게 표시된 것은? (단, 는 일치하는 상태 천이 행렬이다.)
  • 76. 특성 방정식이 s4+2s3+s2+4s+2=0일 때 이 계의 후르비쯔 방법으로 안정도를 판별하면?
  • 77. 지연시간이란 단위계단 입력에 대하여 그 응답이 최종치의 몇 [%]에 도달하는데 요하는 시간인가?
  • 78. 에서 점근선의 교차점을 구하면?
  • 79. 그림과 같은 보드 선도를 갖는 계의 전달 함수는?
  • 80. 다음 임펄스 응답 중 안정한 계는?
5 과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81.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MI 케이블의 최소 굵기는 몇 [mm2]인가?
  • 82. 고압 가공전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 궤조면상 몇 [m] 이상이어야 하는 가?
  • 83.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시공한 저압전로에 지기가 생겼을 때 0.5초 이내에 전로를 차단하는 자동차단기가 설치되었다면 접지 저항값은 몇 [Ω]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자동차단기의 정격 감도 전류는 300[mA]이다.)
  • 84.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200[V]인 경우에 이를 금속관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려고 한다. 옥내배선의 시설이 옳은 것은?
  • 85. 쇼윈도 또는 쇼케이스 안의 배선은 외부에서 보기 쉬운 곳에 한하여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을 조영재에 접촉하여 시설할 수 있다. 전선의 단면적은 몇 [mm2] 이상인 것으로 시설 하여야 하는가?
  • 86. 중량물이 통과하는 장소에 비닐 외장 케이블을 직접 매설식으로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 최소 몇 [m] 인가?
  • 87. 저압전선로의 전선과 대지간의 절연저항은 사용 전압에 대한 누설전류가 얼마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 88. 중성점 접지식 22.9[kV] 특별 고압 가공전선로를 A종 철근 콘크리트주를 사용하여 시가지에 시설하는 경우 반드시 지키지 않아도 되는 것은?
  • 89.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지선을 시설 하려고 한다. 이 지선의 최저 기준으로 옳은 것은?
  • 90. 고압 가공 인입선의 높이는 그 아래에 위험표시를 하였을 경우에 지표상 높이를 몇[m] 까지로 감할 수 있는가?
  • 91. 정격전류가 15[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 전로에 접속하는 콘센트는 정격전류가 몇 [A] 이하인 것을 시설하는가?
  • 92. 풀용 수중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절연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이 30[V]이며 절연변압기의 1차권선과 2차권선 사이에 금속제의 혼촉 방지판을 설치하였을 때 여기에는 어떻게 접지하여야 하는가?
  • 93. 변압기에 의하여 특별고압 전로에 결합되는 고압전로에는 혼촉 등에 의한 위험방지시설로 어떤 것을 그 변압기의 단자에 가까운 1극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94. 가공 직류전차선의 장선에는, 가공 직류전차선으로부터 몇 [m] 이내의 부분 이외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가공 단선식 전기철도의 반지름이 작은 궤도곡선 부분에서 전차폴의 이탈에 의하여 장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경우라고 한다.)
  • 95. 전력 계통의 용량과 비슷한 동기조상기를 시설하는 경우에 반드시 시설되어야 할 검정장치나 계측장치가 아닌 것은?
  • 96. 유도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전압 60[kV] 이하인 가공전선로의 유도전류는 전화 선로의 길이 12[km] 마다 몇 [μA] 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 97. 발전기, 전동기 등 회전기의 절연내력은 규정된 시험전압을 권선과 대지 간에 계속하여 몇 분간 가하여 견디어야하는가?
  • 98. 발전소에 사용되는 뱅크용량 15,000[kVA]의 송유 풍냉식 특별 고압용 변압기의 보호 장치를 하려고 한다. 경보 장치만 가지고는 아니되고, 반드시 자동 차단 장치가 필요한경우는?
  • 99. 고압 옥내배선을 할 수 있는 공사방법은?
  • 100. 10 경간의 고압가공전선으로 케이블을 사용할 때 이용되는 조가용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