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항공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Aircraft Maintenanc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항공산업기사, 항공기사

2. 자격정보

□ 항공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항공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항공서비스를 향상시키고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항공기 정비 및 수리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항공기 제작이나 수리 및 개조 시 해당항공기의 기술도서나 도면 등의 개발업무를 돕고, 자재의 재질이나 규격이 일치하는지 검사하며, 작업이 완료된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 안전성 검사를 수행.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한 항공기 정비업무 시에는 항공기의 동력장치, 착륙장치, 조종장치, 기체, 유압 및 기압시스템 등을 점검하고, 파손이나 부식상태, 변형 등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대형항공기, 경비행기, 헬리콥터, 군용항공기 등을 운항하고 있는 기업체, 제작업체, 항공기부품 생산업체 및 수리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 항공우주산업 관련 정부기관이나 연구소 등에 취업하여 해당 기술을 연구·발전시킬 수 있음.

우대

- 항공기 제작업체, 생산업체 및 수리업체의 기술인력 채용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받을 수 있음.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직렬의 항공우주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항공기술분야의 자격을 가진 사람은 관련 경력을 일정기간 쌓은 후 항공정비사 시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면제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짐.

- 항공법에 의해 항공업무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학과 및 실기시험을 통해 항공정비사 종류별 자격증명이 필요함.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57,1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항공기 기체계통, 기관계통, 전자 장비계통의 정비 및 이와 관련된 작업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항공기계공학, 항공전자공학, 항공통신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항공역학
2) 항공기관
3) 항공기체
4) 항공장비

- 실기

1) 항공기정비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50점) + 작업형(4시간정도, 5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300분

1 과목 : 항공역학
  • 1. 프로펠러 항공기의 경우 항속거리를 최대로 하기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양항비가 최소인 상태로 비행한다.
    양항비가 최대인 상태로 비행한다.
    가 최대인 상태로 비행한다.
    가 최대인 상태로 비행한다.
  • 2. 비행기의 키돌이(loop) 비행 시 비행기에 작용하는 하중배수의 범위로 옳은 것은?
    -6 ~ 0
    -6 ~ 6
    -3 ~ 3
    0 ~ 6
  • 3. 일반적인 비행기의 안정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고속형 날개인 뒤젖힘 날개(sweep back wing)는 직사각형 날개보다 방향안정성이 적다.
    중립점(neutral point)에 대한 비행기 무게중심의 위치관계는 비행기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단일 기관을 비행기의 기수에 장착한 프로펠러 비행기의 경우 방향안정성이 프로펠러에 영향을 받는다.
    주 날개의 쳐든각(dihedral angle)이 있는 비행기는 쳐든각이 없는 비행기에 비하여 가로안정성이 크다.
  • 4. 프로펠러의 회전 깃단 마하수(rotational tip Mach number)를 옳게 나타낸 식은? (단, n : 프로펠러 회전수(rpm), D : 프로펠러 지름, a :음속이다.)
  • 5. 두께가 시위의 12% 이고 상하가 대칭인 날개의 단면은?
  • 6. 양력계수가 0.25 인 날개면적 20 m2 의 항공기가 720 km/h 의 속도로 비행할 때 발생하는 양력은 몇 N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1.23 kg/m3 이다.)
  • 7. 해면에서의 온도가 20 ℃ 일 때 고도 5 km 의 온도는 약 몇 ℃ 인가?
  • 8. 그림과 같은 비행 특성을 갖는 비행기의 안정 특성은?
  • 9. 피치업(pitch up) 현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 10. 고도 5000 m에서 150 m/s 로 비행하는 날개 면적이 100 m2 인 항공기의 항력계수가 0.02 일 때 필요마력은 몇 ps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0.070 kgㆍs2/m4 이다.)
  • 11. 프로펠러의 후류(slip stream) 중에 프로펠러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방 압력이 자유흐름(free stream)의 압력과 동일해 질 때의 프로펠러 유도 속도(induced velocity) V2 와 프로펠러를 통과할 때의 유도속도 V1의 관계는?
  • 12. 반 토크 로터(anti torque rotor)가 필요한 헬리콥터는?
  • 13. 프로펠러나 터보제트기관을 장착한 항공기가 비행할 수 있는 대기권 영역으로 옳은 것은?
  • 14. 이륙거리에 포함되지 않는 거리는?
  • 15. 헬리콥터의 공중 정지비행 시 기수 방향을 바꾸기 위한 방법은?
  • 16. 직사각형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틀린 것은? (단, c : 날개의 코드, b : 날개의 스팬, S : 날개 면적이다.)
  • 17. 운항중인 항공기에서 조종면의 조종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주로 변화시키는 것은?
  • 18. 활공기가 1 km 상공을 속도 100 km/h 로 비행하다가 활공각 45° 로 활공할 때 침하속도는 약 몇 km/h 인가?
  • 19.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0. 비행기의 선회반지름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2 과목 : 항공기관
  • 21. 고열의 엔진 배기구 부분에 표시(marking)를 할때 납(lead)이나 탄소9carbon) 성분이 있는 필기구를 사용하면 안 되는 가장 큰 이유는?
  • 22. 성형엔진에 사용되며 축 끝의 나사부에 리테이닝 너트가 장착되고 리테이닝 링으로 허브를 크랭크축에 고정하는 프로펠러 장착 방식은?
  • 23. 열역학 제1법칙과 관련하여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 열전달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4. 왕복엔진에서 기화기 빙결(carburetor icing)이 일어나면 발생하는 현상은?
  • 25. 다발 항공기에서 각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모든 프로펠러를 같은 회전속도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26. 그림과 같은 브레이튼사이클(Brayton cycle)에서 2-3 과정에 해당되는 것은?
  • 27. 항공기 왕복엔진 작동 중 주의 깊게 관찰하며 점검해야 할 변수가 아닌 것은?
  • 28. 항공기 왕복엔진 연료의 옥탄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9. 가스터빈엔진용 연료의 첨가제가 아닌 것은?
  • 30. 항공기가 400 mph 의 속도로 비행하는 동안 가스터빈엔진이 2340 lbf 의 진추력을 낼 때, 발생되는 추력마력은 약 몇 hp 인가?
  • 31. 항공기 왕복엔진은 동일한 조건에서 어느 계절에 가장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가?
  • 32. 가스터빈엔진의 윤활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3. 가스터빈엔진 중 저속비행시 추진 효율이 낮은 것에서 높은 순으로 나열된 것은?
  • 34. 축류식 압축기의 1단당 압력비가 1.6 이고,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가 1.3 일 때 압축기의 반동도는?
  • 35. 내연기관이 아닌 것은?
  • 36. 볼(ball)이나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이 사용되지 않는 곳은?
  • 37. 가스터빈엔진이 정해진 회전수에서 정격출력을 낼 수 있도록 연료조절장치와 각종 기구를 조정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 38. 아음속 고정익 비행기에 사용되는 공기 흡입덕트(inlet duct)의 형태로 옳은 것은?
  • 39. 왕복엔진에서 마그네토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방법은?
  • 40. 가스터빈엔진의 점화장치를 왕복엔진과 비교하여 고전압, 고에너지 점화장치로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3 과목 : 항공기체
  • 41. 대형항공기에서 리브(rib)가 사용되는 부분이 아닌것은?
  • 42. 그림과 같이 단면적 20 cm2, 10 cm2 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a-b 구간에 작용하는 응력은 몇 kN/cm2 인가?
  • 43. 항공기의 구조부재 용접 작업시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 44. 일반적인 금속의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위치별 내용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 45. 대형 항공기 조종면을 수리하여 힌지라인 후방의 무게가 증가되었다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가?
  • 46. 연료탱크에 있는 벤트계통(vent system)의 역할로 옳은 것은?
  • 47. 항공기 구조에서 하중을 담당하는 부재가 파괴되었을 때 그 하중을 예비부재가 전체하중을 담당하도록 설계된 방식의 페일세이프(fail safe) 구조는?
  • 48. 항공기 최대 총 무게에서 자기무게를 뺀 무게는?
  • 49. 항공기 기체구조 수리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50. 항공기 도면에서 “Fuselage Station 137"이 의미하는 것은?
  • 51. 항공기 기체 내부와 외부 구조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리벳은?
  • 52. 다음 중 드릴(drill)로 구멍을 뚫을 때 가장 빠른 드릴 회전을 해야 하는 재료는?
  • 53. Al 표면을 양극산화처리하여 표면에 산화 피막이 만들어지도록 처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54. 항공기 실속 속도 80 mph, 설계제한 하중배수 4인 비행기가 급격한 조작을 할 경우에도 구조역학적으로 안전한 속도 한계는 약 몇 mph 인가?
  • 55. 항공기 판재 굽힘작업시 최소 굽힘반지름을 정하는 주된 목적은?
  • 56. 알루미늄합금과 구조용 강과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7. 알루미나 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8. 하중배수(load fac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9. 그림과 같은 그래프를 갖는 완충장치의 효율은 약 몇 % 인가?
  • 60. 손가락 힘으로 조일 수 있는 곳으로 조립과 분해가 빈번한 곳에 사용하는 너트는?
4 과목 : 항공장비
  • 61. 객실의 개별 승객에게 영화, 음악 등 오락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치는?
  • 62. 10 mH 의 인덕턴스에 60 Hz, 100 V의 전압을 가하면 약 몇 암페어(A)의 전류가 흐르는가?
  • 63. 항공계기의 색표지(color marking)와 그 의미를 옳게 짝지은 것은?
  • 64. Full deflection current 10 mA, 내부저항이 4 Ω인 검류계로 28 V 의 전압측정용 전압계를 만들려면 약 몇 Ω 짜리의 직렬저항을 이용해야 하는가?
  • 65. 광전연기탐지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6. 항공기의 축압기(accumula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7. HF 통신의 용도로 가장 옳은 것은?
  • 68. 직류 발전기에서 잔류자기를 잃어 발전기 출력이 나오지 않을 경우 잔류자기를 회복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69. 기본적인 에어 사이클 냉각 계통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 70. 자동비행조종장치에서 오토파일럿(auto pilot)을 연동(engage)하기 전에 필요한 조건이 아닌 것은?
  • 71. 고도계에서 발생되는 오차와 발생 요인을 옳지 않게 짝지어진 것은?
  • 72. 싱크로 계기의 종류 중 마그네신(magnesy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3. 비행 중에 비로부터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우(rain protection)시스템이 아닌 것은?
  • 74. 항공기에서 화재탐지를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곳은?
  • 75.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바꿔주는 것은?
  • 76. 수평상태 지시계(HSI)가 지시하지 않는 것은?
  • 77. 유압계통에서 압력이 낮게 작동되면 중요한 기기에만 작동 유압을 공급하는 밸브는?
  • 78. 항공기 내 승객 안내시스템(passenger address system)에서 방송의 제 1 순위부터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79. Transmitter와 Indicator 양쪽 모두 △ 또는 Y 결선의 스테이터(stator)와 교류 전자석의 로터(rotor) 사이에 발생되는 전류와 자장발생에 의해 동조되는 방식의 계기는?
  • 80. 직류 직권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변저항기(rheostat)의 장착방법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