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대기환경기사
영문명 :
Engineer Air Pollution Environmental
관련부처 :
환경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대기환경산업기사, 대기환경기사

2. 자격정보

□ 대기환경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대기환경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경제의 고도성장과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대기환경 오염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안전한 생활환경, 자연환경을 보존할 수 있도록 관련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됨.
□ 주요특징
환경에 관한 기사 자격으로는 대기환경기사, 수질환경기사, 토양환경기사, 해양환경기사가 있음.
측정망을 설치하고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정도와 대기오염상태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오염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내어 오염방지대책을 강구하는 직무를 담당.
생활환경의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대처방안을 연구하고, 대기오염방지시설을 설계 및 시공 감리하며, 시설운영상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는 업무를 수행.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공법 등을 실험하고 연구.
□ 진로 및 전망
취업

-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일반사업장, 환경오염측정업체, 환경플랜트회사, 대기오염방지 설계 및 시공업체, 환경시설관리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보건환경연구원 등 공공기관 및 연구소, 학계 등으로 진출 가능.

- 환경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함.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와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대기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은 환경기술인을 반드시 임명해야 하는데, 대기환경기사 자격 소지자는 환경기술인의 자격을 얻을 수 있음.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보건관리자의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감리원의 자격이 주어짐.

- 토양환경보전법에 의해 토양정화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폐기물관리법에 의해 폐기물소각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을 허가받기 위한 기술인력,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광해방지사업감리업체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자격이 부여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4년제대학의 대기과학, 대기환경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중 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시험과목

- 필기

1) 대기오염개론
2) 연소공학
3) 대기오염방지기술
4)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5) 대기환경 관계 법규

- 실기

1) 대기오염방지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3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80분

1 과목 : 대기오염 개론
  • 1. 다음 중 SO2가 주 오염물질로 작용한 대기오염 피해사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London smog 사건
    Poza Rica 사건
    Donora 사건
    Meuse Valley 사건
  • 2. 다음에서 설명하는 대기분산모델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적용 모델식 : 가우시안모델
    - 작용 배출원 형태 : 점, 선, 면
    - 개발국 : 미국
    - 특징 : 미국에서 널리 이용되는 범용적인 모델로 장기 농도계산용 모델임.
    RAMS
    ADMS
    ISCLT
    MM5
  • 3. 광화학반응에 의한 고농도 오존이 나타날 수 있는 기상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시간당 일사량이 5MJ/m2 이상으로 일사가 강할 때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이 많을 때
    지면에 복사역전이 존재하고 대기가 불안정할 때
    기압경도가 완만하여 풍속 4m/sec 이하의 약풍이 지속될 때
  • 4. 수용모델(Receptor Model)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 5. 유효굴뚝높이 130m의 굴뚝으로부터 배출되는 SO2가 지표면에서 최대농도를 나타내는 착지지점(Xmax)은? (단, sutton의 확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수직확산계수 Cz=0.05, 대기 안정도계수 n=0.25이다.)
  • 6. 다음 중 공중역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7. 온실기체와 관련한 다음 설명 중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 ㉠ )는 지표부근 대기 중 농도가 약 1.5ppm 정도이고 주로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 ㉡ )의 특수파장을 흡수하여 온실 기체로 작용한다.
  • 8. 최대혼합깊이(MM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 다음 중 크롬 발생과 가장 관련이 적은 업종은?
  • 10. 다음 물질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11. 대기오염물질의 분산을 예측하기 위한 바람장미(wind ros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2. 다음 중 대기 내 오염물질의 일반적인 체류시간 순서로 옳은 것은?
  • 13.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에 따르면 흑체복사를 하는 물체에서 물체의 표면온도가 1500K에서 1997K로 변화된다면, 복사에너지는 약 몇 배로 변화되는가?
  • 14. 아래 대기오염사건들의 발생순서가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 인도 보팔시의 대기오염사건
    ㉡ 미국의 도노라 사건
    ㉢ 벨기에의 뮤즈계속 사건
    ㉣ 영국의 런던 스모그 사건
  • 15. 가우시안모델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6. 지구 대기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특정대기유해물질은?
    회백색이며, 높은 장력을 가진 가벼운 금속이다. 합금을 하면 전기 및 열전도가 크고 마모와 부식에 강하다. 인체에 대한 영향으로는 직업성 폐질환이 우려되고, 발암성이 크고, 폐, 뼈, 간, 비장에 침착되므로 노출에 주의해야 한다.
  • 18. 상대습도가 70%이고, 상수를 1.2로 정의할 때, 먼지 농도가 70μg/m3이면 가시거리는 얼마인가?
  • 19. 정규(Gaussian) 확산 모델과 Turner의 확산계수(10분 기준)를 이용해서 대기가 약간 불안정할 때 하나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SO2의 풍하 1km 지점에서의 지상농도가 0.20ppm인 것으로 평가(계산)하였다면 SO2의 1시간 평균 농도는? (단, 이용, q=0.17이다.)
  • 20. 성층권에 관한 다음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과목 : 연소공학
  • 21. 각종 연료의 (CO2)max(%)으로 거리가 먼 것은?
  • 22. 기체연료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 23. 기체연료의 종류 중 액화석유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4. 불꽃 점화기관에서의 연소과정 중 생기는 노킹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기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5. 메탄을 이론공기로 완전연소 할 때 부피를 기준으로 한 공연비(AFR)는 얼마인가?
  • 26. 연소시 발생하는 매연 또는 그을음 생성에 미치는 인자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7. 연료의 연소시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8. 화격자 연소 중 상부투입 연소(over feeding firing)에서 일반적인 층의 구성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상부→하부)
  • 29. 3.0% 황을 함유하는 중유를 매시 2000kg 연소할 때 생기는 황산화물(SO2)의 이론량(Sm3/hr)은? (단, 중유 중 황은 전량 SO2로 배출됨)
  • 30. 프로판(C3H8) 1Sm3을 완전연소 하였을 때, 건연소가스 중의 CO2가 8%(V/V%)이었다. 공기 과잉계수 m은 얼마인가?
  • 31. A(g)→생성물 반응에서 그 반감기가 0.693/k인 반응은? (단, k는 반응속도상수)
  • 32. 프로판의 고위발열량이 20000kcal/Sm3이라면 저위발열량(kcal/Sm3)은?
  • 33. 석탄의 탄화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 34. 기체연료의 연소장치 및 연소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5. 최적 연소부하율이 100,000kcal/m3ㆍhr인 연소로를 설계하여 발열량이 5,000kcal/kg인 석탄을 200kg/hr로 연소하고자 한다면 이 때 필요한 연소로의 연소실 용적은? (단, 열효율은 100%이다.)
  • 36. 화염으로부터 열을 받으면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는 연소로서 휘발유, 등유, 알코올, 벤젠 등의 액체연료로 연소형태는?
  • 37. C 85%, H 7%, O 5%, S 3%인 중유의 이론적인 (CO2)max(%) 값은?
  • 38. 가연성 가스의 폭발범위와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9. 연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40. 시간당 1ton의 석탄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SO2는 0.31Sm3/min였다. 이 석탄의 황함유량(%)은? (단,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석탄 중의 황성분은 연소하여 전량 SO2가 된다.)
3 과목 : 대기오염 방지기술
  • 41. 공장 배출가스 중의 일산화탄소를 백금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연소시켜 처리하고자 할 때, 촉매독으로 작용하는 물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42. 가솔린 자동차의 후처리에 의한 배출가스 저감방안의 하나인 삼원 촉매장치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43. 입경측정방법 중 관성충돌법(cascade impactor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4. 송풍기 회전판 회전에 의하여 집진장치에 공급되는 세정액이 미립자로 만들어져 집진하는 원리를 가진 회전식 세정집진 장치에서 직경이 10cm인 회전판이 9620rpm으로 회전할 때 형성되는 물방울의 직경은 몇 μm인가?
  • 45. cyclone으로 집진 시 입경에 따라 집진 효율이 달라지게 되는데 집진효율이 50%인 입경을 의미하는 용어는?
  • 46. 내경이 120mm의 원통내를 20℃ 1기압의 공기가 30m3/hr로 흐른다. 표준상태의 공기의 밀도가 1.3kg/Sm3, 20℃의 공기의 점도가 1.81×10-4poise이라면 레이놀드 수는?
  • 47. A굴뚝 배출가스 중의 염화수소 농도가 250ppm 이었다. 염화수소의 배출허용기준을 80mg/Sm3로 하면 염화수소의 농도를 현재 값의 몇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표준상태 기준)
  • 48. 중력 집진장치에서 수평이동속도 Vx, 침강실폭 B, 침강실 수평길이 L, 침강실 높이 H, 종말침강속도가 Vt라면 주어진 입경에 대한 부분집징효율은? (단, 층류기준)
  • 49. Venturi scrubber에서 액가스비가 0.6L/m3, 목부의 압력손실이 330mmH2O일 때 목부의 가스속도(m/sec)는? (단, r=1.2kg/m3, Venturi scrubber의 압력손실식 를 이용할 것)
  • 50. 다음 중 다른 VOC 방지장치와 상대 비교한 생물여과장치의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 51. NOx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2. HoG가 0.7m이고 제거율이 99%면 흡수탑의 충진높이는?
  • 53. 사이클론의 유입구 높이가 18.75cm. 원통부의 높이가 1.0m, 원추부의 높이가 1.0m 일 때 외부선회류의 회전수는?
  • 54. 유해가스 처리를 위한 흡수액의 선정조건으로 옳은 것은?
  • 55. 2개의 집진장치를 조합하여 먼지를 제거 하려고 한다. 2개를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A)과 2개를 병렬로 연결하는 방식(B)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각 집진장치의 처리량과 집진율은 80%로 둘 다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 56. 3개의 집진장치를 직렬로 조합하여 집진한 결과 총집진율이 99%이었다. 1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이 70%, 2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이 80%라면 3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은 약 얼마인가?
  • 57. 가로 5m, 세로 8m인 두 집진판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두 판 사이 중간에 원형철심 방전극이 위치하고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굴뚝가스가 120m3/min로 통과하고, 입자동속도가 0.12m/s일 때의 집진 효율은? (단, Deutsch-Anderson식 적용)
  • 58. 흡착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9. 석회세정법의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 60. 다음 세정집진장치 중 세정액을 가압 공급하여 함진가스를 세정하는 가압수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과목 : 대기오염 공정시험기준(방법)
  • 61. 굴뚝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가스상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 채취방법에 대한 주의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 62. 기체-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배형 충전물질인 고정상 액체의 종류 중 탄화수소계에 해당되는 것은?
  • 63. 굴뚝 배출가스 중 불소화합물의 자외선 가시선분광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4. 질산은 적정법으로 배출가스 중의 시안화수소를 분석할 때 필요시약으로 거리가 먼 것은?
  • 65. 굴뚝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자동측정하는 방법 중 자외선흡수분석계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6. 배출가스 중 오르자트 분석계로 산소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산소 흡수액은?
  • 67. 굴뚝 배출가스 중의 황화수소 분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8. 환경대기 중 먼지를 저용량 공기시료 채취기로 분당 20L씩 채취할 경우, 유량계의 눈금값 Qτ(L/min)을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1기압에서의 기준이며, TRIANGLEP(mmHg)는 마노미터로 측정한 유량계 내의 압력손실이다.)
  • 69.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의 총칙에 근거한 “방울수”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 70. 굴뚝배출가스 중 오염물질 연속자동측정기기의 설치 위치 및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1. 굴뚝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병 분석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2. 다음 액체시약 중 비중이 가장 큰 것은? (단, 브롬의 원자량은 79.9, 염소는 35.5, 아이오딘(요오드)는 126.9이다.)
  • 73. 시판되는 염산시약의 농도가 35%이고 비중이 1.18인 경우 0.1M의 염산 1L를 제조할 때 시판 염산시약 약 몇 mL취하여 증류수로 희석하여야 하는가?
  • 74.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원자흡광 분석장치의 구성과 거리가 먼 것은?
  • 75.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 환경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유해 VOCs 고체 흡착법)을 추출할 때 추출용매로 가장 적합한 것은?
  • 76.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단색화장치에 의하여 좁은 파장범위의 빛만을 선택하여 어떤 액층을 통과시킬 때 입사광이 강도가 1이고, 투사광의 강도가 0.5였다. 이 경우 Lambert-Beer법칙을 적용하여 흡광도를 구하면?
  • 77. 굴뚝의 측정공에서 피토우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배출가스의 유속은?
    - 동압 : 13mmH2 O
    - 피토우관계수 : 0.85
    - 가스의 밀도 : 1.2kgm3
  • 78.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서 용어의 정의 중 “측정성분이 흡수되는 적외선을 그 흡수파장에서 측정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 79. 다음은 자외선가시선분광법에서 측광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측광부의 광전측광에는 광전관, 광전자중배관, 광전도셀 또는 광전지 등을 사용한다. 광전관, 광전자중배관은 주로 ( ㉠ )범위에서, 광전도셀은 ( ㉡ )범위에서, 광전지는 주로 ( ㉢ )범위 내에서의 광전측광에 사용된다.
  • 80. 굴뚝배출가스 중 알데하이드 분석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과목 : 대기환경관계법규
  • 81.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의료기관”의 폼알데하이드(μm/m3)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은?(관련 규정 개정 전 문제로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82.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가스를 사용연료로 하는 경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 적용기간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016년 1월 1일 이후 제작자동차 기준)
  • 83.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아황산가스(S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게 연결된 것은?
    - 24시간 평균치 : ( ㉠ )ppm 이하
    - 1시간 평균치 : ( ㉡ )ppm 이하
  • 84. 대기환경보전법상 장거리이동대기오염물질 대책위원회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5. 대기환경보전법상 배출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자에게 조업정지를 명하여야 하는 경우로서 그 조업정지가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조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시ㆍ도지사가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 액수는?
  • 86.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87.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시ㆍ도지사가 대기오염물질 기준이내 배출량 조정시 사업자가 제출한 확정배출량 자료가 명백히 거짓으로 판명되었을 경우에는 확정배출량을 현지조사 하여 산정하되 확정배출량의 얼마에 해당하는 배출량을 기준이내 배출량으로 산정하는가?
  • 8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별대책지역 또는 대기환경규제지역 안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시ㆍ도지사 등에게 배출시설 설치신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기간기준은?
  • 8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시ㆍ도지사가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0.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기준은? (단, 24시간 평균치 기준)
  • 9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장별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 92. 악취방지법규상 악취검사기관의 검사시설 및 장비가 부족하거나 고장난 상태로 7일 이상 방치한 경우로서 규정에 의한 악취검사기관의 지정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 경우 3차 행정처분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93.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시ㆍ도지사가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배출시설 설치 지점으로부터 반경 1킬로미터 안의 상주 인구가 ( ㉠ )인 지역으로 특정 대기유해물질 중 한 가지 종류의 물질을 연간 ( ㉡ ) 배출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연간 ( ㉢ ) 배출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 94.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기본부과금의 지역별부과 계수로 옳게 연결된 것은? (단, 지역구분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고, 대표적으로 Ⅰ지역은 주거지역, Ⅱ지역은 공업지역, Ⅲ지역은 녹지지역이 해당한다.)
  • 95. 악취방지법규상 지정악취물질의 배출허용기준 및 그 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 96.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기준 중 “페인트의 ㉠ 톨루엔, ㉡ 총휘발성유기화합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단위는 mg/m2ㆍh)
  • 97. 대기환경보전법상 한국자동차환경협회의 회원이 될 수 있는 자로 거리가 먼 것은?
  • 9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수도권대기환경청장, 국립환경과학원장 또는 한국환경공단이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망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관제센터로 측정결과를 자동전송하지 않는 먼지ㆍ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의 연간 발생량의 합계가 80톤 이상인 사업장 배출구의 자가측정횟수 기준은? (단, 기타사항 등은 제외)
  • 100.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제작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기간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단, 2016년 1월1일 이후 제작자동차 기준)
    배출가스 보증기간의 만료는 ( ㉠ )을 기준으로 한다. 휘발유와 가스를 병용하는 자동차는 ( ㉡ )사용 자동차의 보증기간을 적용한다.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