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Machinery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2. 자격정보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냉동과 공기조화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공조냉동기계와 관련된 생산, 공정, 시설, 기구의 안전관리 등의 직무를 담당할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2017년부터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현장에서 공조냉동기계를 설치·운전하며, 냉매를 교환·보충하는 업무를 수행
또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펌프, 모터, 밸브 등과 같은 부속설비를 관리, 보수, 점검하는 업무도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공조냉동설비 관련 업체, 냉난방 및 냉동장치 제조업체, 냉동고압가스업체, 공조냉동설비 관련 업체, 저온유통업체, 식품냉동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정밀기계제조업체, 제약회사, 검사기관, 정부기관 등으로 진출 가능.

-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기술인력,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냉동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등으로도 고용될 수 있음.

우대

- 공조냉동제조업체 등에서 채용 시 공조냉동기계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기계설계 관련 학과를 졸업한 경우 우대받을 수 있음.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직류에서 3%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냉동제조시설 안전관리자 선임 자격, 전문검사기관 지정을 위한 기술 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승강기 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승강기 보수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 제조검사 및 설치검사 면제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17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7.03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25
2024년 4회 2024.08.20 ~
2024.08.23
2024.09.08 ~
2024.09.12
2024.09.25 2024.09.30 ~
2024.10.04
2024.11.09 ~
2024.11.24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77,1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주어진 재료를 활용하여 도면과 같이 작품제작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공조냉동
2) 자동제어 및 안전관리

- 실기

1) 공조냉동기계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동관작업(1시간55분, 50점) + 동영상(1시간, 5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175분

1 과목 : 공조냉동안전관리
  • 1. 연삭기 숫돌의 파괴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릴 때
    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숫돌의 치수가 부적당할 때
    숫돌 자체에 균열이 있을 때
  • 2.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지급되는 보호구를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작업조건에 맞는 보호구로 올바른 것은?
    용접시 불꽃 또는 물체가 날아 흩어질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면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또는 근로자가 감전되거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대
    감전의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경
    고열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 : 방한복
  • 3. 방폭 전기설비를 선정할 경우 중요하지 않은 것은?
    대상가스의 종류
    방호벽의 종류
    폭발성 가스의 폭발 등급
    발화도
  • 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가스장치실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구조에 대한 내용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 5. 산소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의 취급상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6. 정 작업 시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 발화온도가 낮아지는 조건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 8.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술적 대책이 될 수 없는 것은?
  • 9. 사고 발생의 원인 중 정신적 요인에 해당되는 항목으로 맞는 것은?
  • 10. 안전모를 착용하는 목적과 관계가 없는 것은?
  • 11. 정전기의 예방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12. 냉동기의 기동전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13. 재해 발생 중 사람이 건축물, 비계, 기계, 사다리, 계단 등에서 떨어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14. 보일러 압력계의 최고눈금은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 이상 지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가?
  • 15. 고압 전선이 단선된 것을 발견하였을 때 어떠한 조치가 가장 안전한 것인가?
2 과목 : 냉동기계
  • 16. 프레온 냉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틀린 것은?
  • 17.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 18. 흡입관경이 20㎜(7/8'') 이하일 대 감온통의 부착 위치로 적당한 것은? (단, [보기] 표시가 감온통임)
  • 19. 다음 그림기호 중 정압식 자동팽창 밸브를 나타내는 것은?
  • 20.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오일포밍(oil foaming)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 21. 서로 친화력을 가진 두 물질의 용해 및 유리작용을 이용하여 압축효과를 얻는 냉동법은 어느 것인가?
  • 22. 회전식 압축기에서 회전식 베인형의 베인은 어떻게 회전하는가?
  • 23. 냉동능력이 40냉동톤인 냉동장치의 수직형 쉘 엔드 튜브 응축기에 필요한 냉각수량은 약 얼마인가? (단, 응축기 입구 온도는 23℃이며, 응축기 출구 온도는 28℃이다.)
  • 24. 동결점이 최저로 되는 용액의 농도를 공융농도라 하고 이때의 온도를 공융온도라 하는데, 다음 브라인 중에서 공융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 25. 1대의 압축기를 이용해 저온의 증발 온도를 얻으려 할 경우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어 2단 압축 방식을 택한다. 1단 압축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틀린 것은?
  • 26. 할로겐화탄화수소 냉매가 아닌 것은?
  • 27. 다음 냉동 사이클에서 이론적 성적계수가 5.0일 때 압축기 토출가스의 엔탈피는 얼마인가?
  • 28.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 29. 만액식 증발기의 전열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것은?
  • 30. 증발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31. 열펌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32. 무기질 단열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33.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냉동기유의 구비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 34. 냉동장치의 흡입관 시공 시 흡입관의 입상이 매우 길 때에는 약 몇 m 마다 중간에 트랩을 설치하는가?
  • 35. 압축기 보호장치 중 고압차단 스위치(HPS)의 작동압력은 정상적인 고압에 몇 kgf/cm2 정도 높게 설정하는가?
  • 36. 브라인을 사용할 때 금속의 부식방지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 37. 냉동관련 설명에 대한 내용 중에서 잘못된 것은?
  • 38. 100V 교류 전원에 1kW 배연용 송풍기를 접속하였더니 15A의 전류가 흘렀다. 이 송풍기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 39. 핀 튜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40. 냉동 사이클의 구성 순서가 바른 것은?
  • 41.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의 동결잠열은 얼마인가?
  • 42. 압축기의 축봉장치에서 슬립 링형 축봉장치의 종류에 속하는 것은?
  • 43. 다음 중 동관작업에 필요하지 않는 공구는?
  • 44. 다음 중 냉동능력의 단위로 옳은 것은?
  • 45. 냉동기의 정상적인 운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운전관리상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3 과목 : 공기조화
  • 46. 실내에 있는 사람이 느끼는 더위, 추위의 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수정 유효온도의 주요 요소는?
  • 47. 송풍기의 법칙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 48. 실내 냉방시 현열부하가 8000kcal/h인 실내를 26℃로 냉방하는 경우 20℃의 냉풍으로 송풍하면 필요한 송풍량은 약 몇 m3/h 인가? (단, 공기의 비열은 0.24kcal/kg℃이며, 비중량은 1.2kg/m3이다.)
  • 49. 유체의 역류방지용으로 가장 적당한 밸브는?
  • 50. 냉방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51. 덕트 시공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 52. 공기조화기의 열원장치에 사용되는 온수보일러의 개방형 팽창탱크에 설치되지 않는 부속설비는?
  • 53. 환기방식 중 환기의 효과가 가장 낮은 환기법은?
  • 54. 건구온도 20℃, 절대습도 0.008kg/kg(DA)인 공기의 비엔탈피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Cp)은 0.24kcal/kg℃, 수증기의 정압비열(Cp)은 0.441kcal/kg℃이다.)
  • 55. 개별공조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56. 역 환수(reverse return)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 57. 보일러의 종류에 따른 전열면적당 증발량으로 틀린 것은?
  • 58. 팬형가습기(증발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9. 공기 가열코일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60. 이중 덕트 공기조화 방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