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건축설비기사
영문명 :
Engineer Building Facilities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건축설비산업기사, 건축설비기사

2. 자격정보

□ 건축설비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건축설비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건축물이 대규모화되고, 건축설비 부분에서 종류와 규모가 방대해 지면서 운영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건축물 설비에 필요한 모든 공작물을 설계, 시공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위생설비, 공기조화설비, 자동제어설비, 소방설비 등을 설치될 각 건축물의 조건에 적합하게 시공하고, 유지하며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종합건설회사나 건설엔지니어링업체, 전문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건축사사무소, 건설품질검사전문기관, 측량회사 등에 진출 가능.

- 종합 또는 전문건설회사의 건설현장, 용역회사, 시공회사 등으로 진출 가능.

- 건축관련 연구소,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건축직 공무원, 공공기관 등에 취업하기도 함.

우대

- 건축시공 분야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에 한해 채용하거나 채용 시 가산점을 부여하므로 건축설비기사 자격취득이 취업에 유리함.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건축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건축설비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짐.

-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근로자의 보건, 안전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때 건축설비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건축공학, 건축설비공학, 기계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건축일반
2) 위생설비
3) 공기조화설비
4) 소방 및 전기설비
5) 건축설비관계법규

- 실기

1) 건축설비설계 및 시공 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3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80분

1 과목 : 건축일반
  • 1. 철근콘크리트보에 늑근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전단력에 의한 균열 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력에 의한 균열 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가 수평방향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구속하기 위하여
  • 2. 도서관의 서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서고 내부는 자연채광을 하는 것이 좋다.
    서고의 위치는 건물 후면의 독립된 위치가 좋다.
    서고 면적 1m2 당 150~250권 정도, 평균 200권 정도이다.
    서고는 장래의 확장을 고려한 평면 및 구조계획이 필요하다.
  • 3. 열교(thermal bridge)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벽이나 바닥, 지붕 등의 건축물 부위에 단열이 연속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때 생긴다.
    열교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라멘조의 경우 가능한 한 내단열로 시공한다.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표면온도가 낮아져서 결로가 쉽게 발생한다.
    열교현상이 발생하면 전체 단열성이 저하된다.
  • 4. 사무소 건축에서 코어시스템(core system)을 채용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5. 다음 중 연면적 당 숙박 면적비가 가장 큰 호텔은?
  • 6. 사무소 건축의 오피스 랜드스케이핑의 특성이 아닌것은?
  • 7. 일조조건에 의한 남북간격의 한계결정에 있어서 직접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은?
  • 8. 블록의 빈 속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사춤하여 보강한 가장 이상적인 블록구조는?
  • 9. 학교의 배치계획에서 일종의 핑거 플랜으로 일조, 통풍 등 교실의 환경조건이 균등할 뿐 아니라, 구조 계획이 간단한 반면 상당히 넓은 대지를 필요로 하는 형은?
  • 10. 조립식 구조(P.C)의 접합부(Joint)가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구 성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1. 철근콘크리트 보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이어붓기를 할 때 그 위치로 옳은 것은?
  • 12. 시티 호텔(city hotel)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3. 학교교실의 음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4. 중앙에 케이스, 대 등에 의한 직선 또는 곡선에 의한 고리모양부분을 설치하고 이 안에 레지스터, 포장대 등을 놓는 상점의 평면배치 형식은?
  • 15. 단독주택의 정원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6. 주택의 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7. 상점을 계획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석재 사용상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9. 주택 거실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0. 그림과 같은 환기 방식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2 과목 : 위생설비
  • 21. 다음 중 배수트랩이 구비해야 할 조건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22. 통기와 배수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통기관은?
  • 23. 2개 이상의 엘보(elbows)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신축이음쇠는?
  • 24. 경도가 높은 물이 보일러 용수로 적절하지 못한 이유는?
  • 25. 양수펌프로 사용되는 원심펌프에서 유효흡입 수두가 이론치에 미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 26. 90℃의 물 500kg과 30℃의 물 1000kg을 단열 혼합하였을 때 혼합된 물의 온도는?
  • 27.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8. 급수배관 설계 및 시공상의 주의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9. 급수방식 중 수도직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0. 고가수조방식의 급수법에서 최고층에 세정밸브식 대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밸브에서 고가수조의 최저수면까지의 높이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고가수조에서 세정밸브까지의 전마찰 손실 수두는 10kPa 이다.)
  • 31. 정화조에서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것은?
  • 32. 양수량이 1m3/min, 양정이 10m인 펌프의 회전수를 10% 증가시켰을 경우 양정은 얼마가 되겠는가?
  • 33. 직관내의 마찰손실수두와 관련된 다르시-와이스 바하의 식에서 유체의 흐름이 층류일 경우 마찰 계수 λ는? (단, Re는 레이놀즈수)
  • 34. 급탕설비의 온수순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5. 고층건물의 배수입관(수직관)에 인접되어 접속되는 위생기구는 다음 중 어떤 원인에 의하여 봉수가 파괴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가?
  • 36. 위생설비 유닛화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7. 수격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8. 펌프의 서징(Surging)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9. 다음의 위생기구를 배수부하 단위가 큰 것부터 작은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대변기(세정밸브 형식)
    ㉡ 세면기
    ㉢ 샤워기(주택용)
    ㉣ 소변기
  • 40. 관 속을 흐르는 유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과목 : 공기조화설비
  • 41. 원형 덕트와 장방형 덕트의 환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d: 원형 덕트의 직경 또는 환산직경, a : 장방형 덕트의 장변길이, b : 장방형 덕트의 단변길이)
  • 42. 공기조화방식 중 전공기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3.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실 체적이 500m3인 어떤 실의 틈새바람에 의한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는 약 얼마인가?
    - 외기온습도 : to=32℃, χo=0.0182kg/kg'
    - 실내온습도 : ti=27℃, χi=0.0099kg/kg'
    - 물의 증발잠열 ro = 2501kJ/kg
    - 공기의 밀도 1.2kg/m3
    - 공기의 비열 1.01kJ/kg·K
    - 환기회수 n=0.5회/h
  • 44. 다음 중 외주부(perimeter zone)의 부하변동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기조화 방식은?
  • 45. 길이 ℓ[m]인 냉각수관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관의 직관부 마찰저항 △Pf[Pa]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관 마찰저항계수는 λ, 관경은 d[m], 유속은 v[m/sec], 유체의 밀도는 ρ[kg/m3]이다.)
  • 46. 수관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7.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일어나는 상태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8. 증기난방용 방열기의 표준 방열량은?
  • 49. 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설계용 외기온도를 설정할 때 “TAC온도 위험률 2.5% 온도”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 난방기간은 연간 121일이다.)
  • 50. 축류형 송풍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51. 습공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2.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두께 250mm인 외벽(콘크리트 200mm + 석고 플라스터 50mm)을 통해 들어오는 열량은?
    - 콘크리트의 열전도율 : 1.4W/m·K
    - 석고 플라스터의 열전도율 : 0.5W/m·K
    - 벽체의 실내측 표면 열전달율 : 20W /m2·K
    - 벽체의 실외측 표면 열전달율 : 7W/m2·K
    - 외벽의 면적 : 45m2
    - 외기온도 : 33℃
    - 실내공기의 온도 : 24℃
  • 53. 30℃의 외기 40%와 23℃의 환기 60%를 혼합하여 냉각코일로 냉각감습하는 경우 바이패스팩터가 0.2이면 코일의 출구 온도는? (단, 코일 표면온도는 10℃ 이다.)
  • 54. 공조배관계에 부압방지를 위한 배관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5. 바닥면에서 1m의 위치에 중성대가 있는 실에서 바닥면상 2m 지점에서의 실내외 압력차는? (단, 실내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며, 실외공기의 밀도는 1.25kg/m3이다.)
  • 56. 온수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7. 급수로부터 각 유닛을 거쳐 나오는 총길이가 동일하므로 기기마다의 저항이 균일하게 되고, 따라서 유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배관 회로 방식은?
  • 58. 온수난방과 비교한 증기난방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59. 덕트 내의 풍속이 10m/s, 정압이 245Pa 일 경우 전압은? (단, 공기의 밀도는 1.2kg/m3 이다.)
  • 60. 정확한 급기량과 배기량 변화에 의해 실내압을 정 압(+) 또는 부압(-)으로 유지할 수 있는 환기 방식은?
4 과목 : 소방 및 전기설비
  • 61. 가스사용시설에서 지상배관의 표면색상은? (단, 황색띠를 2중으로 표시한 경우 제외)
  • 6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7[Ω]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 63. 멀티미터(테스터)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 64. 3상 교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5. 20[kVA]의 단상 변압기 2대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3상전력[kVA]은?
  • 66. 옥내소화전설비의 송수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7. 건축화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a, b간의 합성 정전용량은?
  • 69. 다음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전동기에 따른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70. 다음 중 피드백 제어 시스템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는?
  • 7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중 감지기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었을 때 작동하는 감지기는?
  • 72. 비상콘센트설비에 비상전원으로 자가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자가발전설비는 비상콘센트설비를 최소 얼마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하여야 하는가?
  • 73. 옥외소화전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4. 4극의 공조기팬용 유도전동기를 220[V] 60[Hz]의 전원으로 운전하는 경우 회전수는 얼마인가? (단, 전동기의 슬립(slip)은 5[%]이다.)
  • 75.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6. 선간전압 220[V], 전류 70[A], 소비전력 18[kW]인 3상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 77.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은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78. 공조설비에서 DDC방식 중 변풍량(VAV) 제어 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9.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중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을 의미하는 것은?
  • 80. 무한 직선도체의 전류에 의한 자계가 직선도체로부터 1[m] 떨어진 점에서 1[AT/m]로 될 때 도체의 전류의 크기는 몇[A]인가?
5 과목 : 건축설비관계법규
  • 81. 건축법령상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단, 층수가 16층 미만인 경우)
  • 82. 방송 공동수신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 83. 다음의 소방시설 중 경보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 8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석의 바닥면적이 1,000m2 인 경우, 개별관람석 출구의 유효 너비 합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85. 녹색건축 인증 등급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 86. 특정소방대상물이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인 경우,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수용인원 기준은?
  • 87. 공동주택의 거실에 설치하는 반자의 높이는 최소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88.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속하는 것은? (단, 층수가 10층인 경우)
  • 89. 건축법령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주택의 종류는?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m2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 90. 건축물에는 급수·배수·환기·난방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건축기계설비기술사 또는 공조냉동기계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연면적 10,000m2 미만인 건축물의 경우)
  • 91. 다음 중 내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2. 연면적 200m2을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3.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3,000m2인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 승강기의 최소 대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 8인승 승강기의 경우)
  • 94.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5. 건축물의 옥상에 헬리포트를 설치하거나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건축물의 지붕을 평지붕으로 하는 경우)
  • 96.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소화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 97. 배연설비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8. 다음은 직통계단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 99. 특별시나 광역시에 건축하는 경우 특별시장이나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층수 기준은?
  • 100. 외기에 직접 면하고 1층 또는 지상으로 연결된 출입문을 방풍구조로 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 출입문에 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