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Construction Material Testing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건설재료시험기능사,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건설재료시험기사

2. 자격정보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문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재료가 배합설계도의 강도와 일치하는지 철저한 검사를 통해 건물 및 시설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이를 담당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부실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공사현장의 흙을 채취하여 건설현장의 기초공사에 필요한 토질검사를 실시한 후 토질이 예정된 공사에 적합한가 여부와 적절하지 못하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조사.
교량, 항만, 도로, 건물 등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자갈, 모래,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의 품질을 배합설계도의 강도와 일치하게 하기 위하여 혼합비율을 결정하고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시험을 하며, 견본자재를 검사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종합건설업체 품질관리부서, 건설교통부 지정 품질검사전문기관, 건설재료시험 관련연구소 등에 진출 가능.

- 토목 및 건축공사업체 모두 취업할 수 있지만, 보통 토목공사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건축업체보다는 토목공사업체에 많이 진출하는 편.

- 콘크리트파일 등 건설자재 생산공장, 레미콘 및 아스콘 생산업체 등으로 진출 가능.

우대

- 건설업체, 건설재료시험연구소 등에서 채용 시 자격증 취득자를 우대하거나 한정해서 선발.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토목직렬의 일반토목, 농업토목 직류, 교통직렬의 교통시설과 도시교통설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품질검사전문기관 등록을 하기 위한 기술인력, 그리고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음.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6,0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건설재료에 관한 여러 가지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물리, 역학적 시험을 통하여 품질관리를 하는 능력을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콘크리트공학
2) 건설재료 및 시험
3) 건설시공학
4) 토질 및 기초

- 실기

1) 토질 및 건설재료 시험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60점) + 작업형(3시간 정도, 4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20분

- 실기 : 270분

1 과목 : 콘크리트공학
  • 1. 해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시멘트는 해수의 작용에 내구적인 고로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 애시 시멘트 등의 혼합시멘트가 좋다.
    해수는 알칼리골재반응의 반응성을 촉진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기 전에 직접 해수에 닿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해양 구조물은 한 번에 타설하기 어려운 조건이므로 충분한 시공이음부를 두는 것이 좋다.
  • 2. 다른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매스 콘크리트의 시공 시 가장 문제가 되는 현상은?
    온도균열의 발생
    건조수축의 발생
    크리프변형의 증가
    급속냉각현상
  • 3.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를 알지못할 때,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35MPa이라면 배합강도는?
    38.5MPa
    42MPa
    43.5MPa
    45MPa
  • 4. 내부진동기를 사용한 콘크리트 다짐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 블리딩을 작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6. 배합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압축강도의 시험 횟수가 29회 이하이고 15회 이상인 경우는 압축강도의 표준편차에 보정계수를 곱하여야 하는데, 시험 횟수가 20회인 경우의 보정계수는?
  • 7. 서중 콘크리트에 대한 아래에 설명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수치는?
    하루 평균기온이 (   )℃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 8. 그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스트레싱할 때의 콘크리트 강도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수치는?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어느 정도의 안전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준 직 후,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최대 압축응력의 (   )배 이상이어야 한다.
  • 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그라우트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0. 콘크리트의 단위 잔골재량과 단위 굵은 골재량이 각각 700kg/m3과 1060kg/m3이며,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표건밀도가 각각 2.61g/cm3및 2.65g/cm3일 때 잔골재율(S/a)은?
  • 11. 콘크리트의 균열보수공법과 관계가 먼 것은?
  • 12. 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시멘트계 복합재료용 섬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3.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4.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이용하여 쪼갬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더니 212kN의 하중에서 파괴되었다면 쪼갬인장강도는? (단, 공시체의 규격은 ø150mm×300mm이다.)
  • 1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 관한 서명으로 틀린 것은?
  • 16.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7.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8. 콘크리트에 양생을 실시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 19. 외기온도가 25℃일 때 하층 콘크리트 비비기 시작에서부터 하층 콘크리트 타설 완료한 후, 상층 콘크리트가 타설되기까지 시간(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의 표준은?
  • 20. 슬럼프시험에서는 3개 층으로 나누어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우고 다짐을 하는데 이 때 각 층마다 필요한 다짐 횟수는?
2 과목 : 건설재료 및 시험
  • 21. 암석 특유의 천연적으로 갈라진 금을 무엇이라 하는가?
  • 22. 잔골재 A의 조립률이 3.2, 잔골재 B의 조립률이 2.2인 2가지 골재로 조립률이 2.8되는 잔골재 C를 만들고자 할 대 잔골재 A와 B를 어느 정도의 중량비로 합성하여야 하는가? (단, A:B의 중량비)
  • 23. 역청재료의 신도 시험에서 저온에서 시험할 때 적용하는 온도는?
  • 24. 시멘트의 응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5. 시멘트의 비표면적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6. 플라이 애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7. 다음 암석 중 압축강도가 가장 큰 것은?
  • 28. 굵은 골재의 체가름 시험 결과 각 체의 누적잔류량이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조립률은?
  • 29. 재료가 하중을 받아 파괴될 때까지의 에너지 흡수 능력으로, 높은 응력에 견디며 큰 변형을 나타내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 30. 골재 안정성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용 용액은?
  • 31. 아스팔트의 칩입도를 시험하는 목적은?
  • 32. 금속재료의 경도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 33. 합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4. AE제 사용의 목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35. 골재에 대한 시험결과가 아래 표와 같을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 밀도 : 2.81 g/cm3
    - 단위용적질량 : 1.69g/cm3
  • 36. 다음 혼화재료 중 사용량이 5% 이상이어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고려해야 하는 것은?
  • 37. 그라우트(grout)용 혼화제로서 필요한 성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8. 다음 중 폭약으로 칼릿(carlit)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 39. 다음 아스팔트 중 석유 아스팔트에 속하는 것은?
  • 40. 다음 시멘트 중 혼합시멘트에 속하는 것은?
3 과목 : 건설시공학
  • 41. 공사관리의 3대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42.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고 있는 아스팔트 포장의 유지공법은?
    아스팔트 포장에 포트, 흠, 단차, 부분적인 균열과 침하 등과 같은 파손이 있을때 포장재로 채우는 응급적인 처리 방법이다.
  • 43. 교대의 측장유동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 44. 다음 그림과 같이 터파기를 할 때 A~B의 수평거리는?
  • 45.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6. 다음 중 옹벽의 안정검토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47. 아래의 표에는 설명하는 콘크리트 교량가설공법은?
    하천이나 계곡을 횡단하는 연속교 및 도로, 철도를 횡단하는 고가교의 PC교량 건설에 적용할 수 있는 가설공법으로 1지간의 구간에 벤트(Bent)나 동바리공없이 전방으로 압축하면서 장대교를 가설한다.
  • 48. 콘크리트 포장과 비교할 때 아스팔트 포장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9. 흙막이 공사에서 어스앵커(Earth Anchor)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0. 다음 중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종류가 아닌 것은?
  • 51. 수로나 도로, 철도 기타 지상구조물의 지하에서 횡단하여 물의 통로를 만드는 지하구조로서 용수, 배수, 운하 등 성질이 다른 수로가 교차하여 합류시킬 수 없을 경우, 수로교로서는 안 될 경우, 또 다른 수로 혹은 노선과 교차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은?
  • 52. 성토용 다짐기계 중 철륜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붙여 접지면적을 작게 하여 접지압을 증가시킨 롤러로서 습지와 같은 연약 지반의 다짐에 적당한 것은?
  • 53. 성토공법 중 공사 중에 압축이 적어 완성 후 침하기 크니깐 공사속도가 빨라 도로 및 철도의 낮은 성토에 많이 사용하는 공법은?
  • 54. 댐의 위치 선정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5. 40000m3의 성토구간이 있다. 토사를 운반하여 성토하고자 할 때 필요한 토량을 흐트러진 토량으로 구하면? (단, L=1.25, C=0.8이다.)
  • 56. 토공 작업에서 불도저로 토량 138240m3를 60일 만에 끝내려고 할 때 불도저의 소요 대수는? (단, 불도저 1시간당 작업량 24m3/h, 1일 작업시간 8시간, 가동률 80%)
  • 57. 수직갱에 물이 고여 있을 때 사용하면 편리한 발파 방법은?
  • 58.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불도저의 종류는?
    불도저의 배토판을 수평면에 대해서 약 10° 기울인 것으로 옆도랑 파기 및 경토 굴착에 유리한 불도저
  • 59. 뉴매틱 케이슨공법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0. 터널에 인버트 아치(Invert arch)를 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4 과목 : 토질 및 기초
  • 61. Hazen이 제안한 균등계수가 5 이하인 균등한 모래의 투수계수(k)를 구할 수 있는 경험식으로 옳은 것은? (단, c는 상수이고 D10은 유효입경이다.)
  • 62. 포화단위중량이 1.8t/m3인 모래지반이 있다. 이 포화 모래지반에 침투수압의 작용으로 모래가 분출하고 있다면 한계동수경사는?
  • 63. 흙의 다짐시험에서 다짐 에너지를 증가시킬 때 일어나는 변화로 옳은 것은?
  • 64.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동적외력의 작용으로 모래의 간극비가 감소하며 이로인하여 간극수압이 상승하여 흙의 전단강도가 급격히 소실되어 현탄액과 같은 상태로 되는 현상은?
  • 65. 유선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없는 것은?
  • 66. 어떤 포화점토의 일축압축강도(qu)가 3.0kg/cm2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c)은?
  • 67. 입구분포곡선에서 통과율 10%에 해당하는 입경(D10)이 0.005mm이고, 통과율 60%에 해당하는 입경(D60)이 0.025mm일 때 균등계수(Cu)는?
  • 68. 다음 중 말뚝의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은?
  • 69. 다음 그림과 같은 접지압 분포를 나타내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 70. 다음 그림과 같은 높이가 10m인 옹벽이 점착력이 0인 건조한 모래를 지지하고 있다. 모래의 마찰각이 36°, 단위중량이 1.6t/m3일 때 전 주동토압은?
  • 71. 연약점토지반(ø=0)의 단위중량이 1.6t/m3, 점착력이 2t/m2이다. 이 지반을 연직으로 2m 굴착하였을 때 연직사면의 안전율은?
  • 72. 그림과 같은 모래지반에서 X-X면의 전단강도는? (단, ø=30°, c=0)
  • 73. 점성토 지반에 사용하는 연약지반 개량 공법이 아닌 것은?
  • 74. 다음 중 동해가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토절은?
  • 75. 점토의 예민비(sensitivity ratio)는 다음 시험 중 어떤 방법으로 구하는가?
  • 76. 압밀계수가 0.5×10-2cm2/s이고, 일면 배수 상태의 5m 두께 점토층에서 90%압밀이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단, 90% 압밀도에서 시간계수(T)는 0.848)
  • 77. 사질지반에 40cm×40cm 재하판으로 재하 시험한 결과 16t/m2의 극한지지력을 얻었다. 2m×2m의 기초를 설치하면 이론상 지지력은 얼마나 되겠는가?
  • 78.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에서 모래(표준사)는 무엇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가?
  • 79. 아래는 불교란 흙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샘플러 선단의 그림이다. 면적비(Ar)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 80. 간극비(e) 0.65, 함수비(w) 20.5%, 비중(Gs) 2.69인 사질점토의 습윤단위중량(γt)는?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