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축산기사
영문명 :
Engineer Livestock
관련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축산기능사, 축산산업기사, 축산기사

2. 자격정보

□ 축산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축산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육류사용의 증가에 따른 축산업 규모의 확대와 아울러 가축 사육의 고도기술이 필요함에 따라 가축을 합리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축산과 관련된 자격 제도는 축산기능사, 축산산업기사, 축산기사, 축산기술사가 있음.
축산에 관한 기술 이론 지식을 가지고 가축의 생산관리, 경영관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질 좋은 우유, 육류, 난류와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새로운 형질의 가축을 생산, 개선.
소 돼지, 닭, 토끼, 양, 벌과 같은 가축을 사육, 번식, 관리하는 직무를 수행.
동물의 먹이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사료재원을 개발하는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창업

- 축산물유통회사, 유가공회사, 사료회사 등 자영업에 종사 가능.

- 직접 농장 경영 가능.

취업

- 축산관련 협동조합, 축산물유통회사, 유가공회사, 사료회사 등에 취업 가능.

- 축산관련 공무원, 축산연구소의 연구직 공무원, 종축개량협회 등으로도 진출 가능.

- 농장 근무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농업직렬의 축산, 농화학, 생명유전 직류와 식품위생직렬의 식품위생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축산법에 의하면 축산분야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 취득자는 시·도지사의 면허를 받아 수정사가 될 수 있음.

- 축산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가축전염예방법에 의하여 가축방역사로 위촉할 수 있는 자격,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한 검사관이 행하는 가축 및 그 식육의 검사에 대한 보조업무 등을 수행하는 검사보조원의 자격이 주어짐.

- 축산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사료관리법에 의한 사료안전관리인의 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2,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축산(학)과, 축산경영학과, 축산개발과 영양학과, 유가공학과 등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중 환경

시험과목

- 필기

1) 가축육종학
2) 가축번식생리학
3) 가축사양학
4)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5) 축산경영학 및 축산물가공학

- 실기

1) 축산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가축육종학
  • 1. 강력유전을 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배법은?
    속간교배
    근친교배
    잡종간교배
    품종간교배
  • 2. 육용종 순계 검정에 있어 조사 항목과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단, 닭 검정기준을 적용한다.)
    64주령 난중: 첫 모이를 준 날로부터 62~64주령 사이의 평균 난중
    첫 산란 일령: 첫 모이를 준 날로부터 첫 산란 개시 일령
    육추율: 첫 모이 수수에 대한 8주령 종료 수수의 비율
    부화율: 부화 입란 수에 대한 발생 병아리의 비율
  • 3. 선발 효과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번식 효율을 높이거나 생존율을 증가시켜야 한다.
    환경적 변이의 증가보다.는 유전적 변이의 증가가 커야 한다.
    유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환경변이를 크게 한다.
    세대 간격을 짧게 하기 위해서 가능하면 강건한 젊은 가축을 번식에 이용한다.
  • 4. 후대검정은 어떠한 형질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
  • 5. 모돈 생산능력지수(SPI)에 의해 어미 돼지를 선발하는 경우 기준이 되는 것은?
  • 6. 전형매사이에 서로 교배를 시켰을 때의 근친계수는 얼마인가?
  • 7. 다음과 같은 방식의 잡종 교배 방법은? (단, L: Landrace, Y: Yorkshire, D: Duroc 이다.)
  • 8. 한 염색체상에 X-Y-Z의 순으로 있는 유전자에 대해 X-Y간의 교차율은 20%, Y-Z간의 교차율은 10%이며, 실제로 X-Z간의 이중교차율이 1%라면 병발계수(coefficient of coincidence)는?
  • 9. 성장률이라는 형질을 개량하고자 할 때 성장률 대신 체중이라는 형질에 대해 선발하여 성장률을 개량하는 선발 방법은?
  • 10. 유지 생산량이 400kg인 암소가 속해 있는 목장의 평균 유지 생산량은 300kg이었다고 한다. 유지 생산량에 대한 유전력이 40%일 때 이 암소의 육종가는?
  • 11. 젖소 산유기록의 통계적 보정에 있어서 그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 12. AABB와 aabb 교배 시 가능한 F1 자손의 유전자형은 총 몇 가지인가?
  • 13. 일정비율의 암컷은 대체종빈축의 생산을 위해 윤환교배를 실시하고 나머지 일정비율의 교잡종 암컷은 종료종모축과 교배하여 실용축을 생산하도록 하는 교배 방법은?
  • 14. 초년도의 산란수를 지배하는 GOODALE-HAYS의 산란 5요소가 아닌 것은?
  • 15. 돼지의 도체 품질 개량을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검정방법은?
  • 16. 1000마리 쇼트혼 소의 모색 유전자형이 아래와 같다고 할 때 직접법으로 계산한 붉은 모색의 유전자 빈도는?
  • 17. 다음 육우의 경제형질 중 유전력이 가장 높은 것은?
  • 18. 형질 A와 B의 유전공분산이 5이고 A와 B의 유전분산이 각각 25이면 A와 B의 유전상관은 얼마인가?
  • 19. 돼지의 염색체 수(2n)은?
  • 20. 종간잡종으로 생산되는 동물은?
2 과목 : 가축번식생리학
  • 21. 다음 중 돼지의 평균 임신기간은?
  • 22. 정자의 형성 과정 중 X-정자와 Y-정자는 어느 과정에서 형성되는가?
  • 23. 태반의 분류 중 태반의 모양이 그림과 같은 것은?
  • 24. 다음 중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에 해당하는 것은?
  • 25. 다음 중 소의 평균 발정주기로 옳은 것은?
  • 26. 정자의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합성 공급하는 부위로 옳은 것은?
  • 27. 돼지 예상 정액 보존 온도로 적합한 것은?
  • 28. 다음 중 계절 번식의 특성을 지닌 가축은?
  • 29. 주요 가축의 번식적령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 30. 자궁근의 강력한 수축운동을 유발하여 분만을 유기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 31. 다음 중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 32. 다음 중 발정한 암퇘지의 배란시기로 옳은 것은?
  • 33. 번식 장애의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34. 성숙한 수컷 포유동물의 부생식선이 아닌 것은?
  • 35. 소에서 수정 후 7일경에 수정란을 채란하려고 한다면 어느 부위에서 어떤 발육단계의 수정란이 주로 채란되는가?
  • 36. 임신한 말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다수의 난포를 발육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은?
  • 37. 다음 중 가장 조기에 소의 임신진단이 가능한 방법은?
  • 38. 그라아프난포(Graafian follicle)의 조직학적 구성요소가 아닌것은?
  • 39. 젖소에서 일정기간의 착유기간 후 다음 비유기간 동안 최대한의 우유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건유기의 가장 바람직한 기간은?
  • 40. 소 난자의 배란 후 수정능 유지시간은?
3 과목 : 가축사양학
  • 41. 체외 소화 시험에 사용하는 지시제(indicator)의 조건이 아닌 것은?
  • 42. 소에서 생체 및 조직의 성장순서를 각각 4단계로 구분한 것 중 순서가 틀린 것은?
  • 43. 최소가격배합표(least cost formula) 작성에 필요한 자료로써 필수적인 것이 아닌 것은?
  • 44. 반추동물의 소화 작용 중 타액(침)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 45. 반추동물에서는 요소나 암모니아와 같은 물질이 단백질원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 46. 비타민의 종류와 주요기능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 47. 다음 중 셀렌(Se)의 결핍증상은?
  • 48. 유기비소제가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기전이 아닌 것은?
  • 49. 점감점증법은 산란계의 산란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최대 얼마까지의 점등시간을 연장해 점등관리를 하는가? (단, 초산이 시작되는 20주령 이후부터로 한다.)
  • 50. 옥수수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이 7%, 건물이 40% 들어있다면 건물기준으로 옥수수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몇 %인가?
  • 51. 소 비육 시 사료와 육질과의 상관관계 설명이 틀린 것은?
  • 52. 다음 [보기]의 영양소를 바르게 분류한 것은?
    ㉠ Arsenic
    ㉡ Aspartic acid
    ㉢ Ascorbic acid
    ㉣ Oleic acid
  • 53. 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이 아닌 것은?
  • 54. 반추위 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휘발성지방산은?
  • 55. 가축을 초지에 방목할 때 그라스테타니 발생과 관련이 있는 무기물로만 나열된 것은?
  • 56. 곡류와 대두박 중심의 양돈 사료에 있어서 가장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은?
  • 57. 다음 사료 중 돼지에게 급여하였을 때 연지방을 생성하는 사료는?
  • 58. 반추가축의 소화기관 중 영양소별 흡수장소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 59. 포도당과 갈락토오스가 각각 1분자씩 결합된 것으로서 포유동물의 젖 속에 들어 있는 것은?
  • 60. 사료의 품질평가 방법으로 가장 정확한 방법은?
4 과목 :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 61. 사일리지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2. 다음 ( ) 안에 적합한 숫자는?
    수분함량이 (   )% 정도가 되면 식물체가 미생물의 작용을 받지 않고 저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적과 중량이 작아져서 운반과 저장이 편리해진다.
  • 63. 다음 조사료의 종류 중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함량이 가장 적은 것은?
  • 64. 건초의 품질평가에 있어서 양질의 건초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65. 다음 중 다년생 두과 (콩과) 목초가 아닌 것은?
  • 66. 여름철의 예취와 목초의 하고현상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7. 작부조합에 이용되는 사료작물이 갖추어야 할 전제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 68. 생초에 가까운 품질을 확보할 수 잇으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건조제조 방법은?
  • 69. 고품질 곤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70. 만생종을 기준으로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생산과 긴 겨울철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의 낙농농가에 가장 적절한 작부조합은?
  • 71. 사일리지용 사료작물은 재배, 이용 목적상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야 하는가?
  • 72. 어떤 목초의 영양소 함량 중 가소화 조단백질 10%, 가소화 조섬유 12%, 가용무질소물 26% 및 가소화 조지방 함량이 1% 일 때 이 목초의 가소화 영양소총량(TDN)은 몇 % 인가?
  • 73. 다음 중 하번초(bottom grass)에 해당하는 목초는?
  • 74. 다음 중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답리작에 알맞으며, 특히 기호성과 수량이 높은 사료 작물은?
  • 75. 볏짚을 소의 사료로 이용하려 할 때 기호성과 소화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76. 초지 조성을 위한 작업 단계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 77. 다음 목초 유식물 중 억압력 지수가 가장 높은 초종은?
  • 78. 영양생장을 하고 있는 사료작물의 식별방법 중 다음 그림의 화살표는 어느 부위를 나타내고 있는가? (단, 화살표는 잎몸과 잎집 사이를 갈라놓은 분기점을 나타내는 분열조직대를 가리킴)
  • 79. 초지조성의 초기 관리로서 부적합한 것은?
  • 80. 목초 테타니병(grass tetany)이란?
5 과목 : 축산경영학 및 축산물가공학
  • 81. 축산경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82. 축산물의 생산비를 계산하는 원칙으로 틀린 것은?
  • 83. 양돈농가의 총수입(TR)에서 총비율(TC)을 뺀 것을 이윤이라 할 때, 다음 중 이윤을 극대화시켜주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MR: 한계수익, MC: 한계비용)
  • 84. 토지의 적재력(loading ability)에 해당하는 기능으로 틀린 것은?
  • 85. 어느 축산농가의 연간 축산물 매출액이 2천만원, 총 경영자본이 6천만원이라면 이 농가의 축산자본회전율은 대략 얼마인가?
  • 86. 어떤 투입물을 가장 유리한 다른 대체적인 용도에 사용하지 못할 때, 포기하게 되는 보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87. 축산경영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성이 생기는 요인이 아닌 것은?
  • 88. 우리나라 도시근교형 낙농경영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89. 농축산물 마케팅의 4P전략 구성항목으로 틀린 것은?
  • 90. 토지의 경제적 성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1. 다음 중 근수축 메카니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2. 식육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3. 냉동유제품에 주로 사용하는 안정제가 아닌 것은?
  • 94. 치즈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 95. 버터가 노란색을 띠게 하는 성분으로 옳은 것은?
  • 96. 염지액을 제조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97. 도체 전기자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8. 가축의 종류에 따라 식육의 풍미가 달라지는 것은 식육의 어떤 성분에 기인하기 때문인가?
  • 99. 베이컨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00.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은?
    (   )는(은) 우유 또는 탈지유에 랜넷을 작용시키거나 산을 처리하여 커드(curd)를 제거한 황록색의 투명한 액체로 치즈 제조 부산물을 말한다.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2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