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영문명 :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 Information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측량기능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 자격정보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기출문제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토지, 산, 바다 등 수많은 지형과 공간에 대하여 측량을 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 분석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건설에 사용되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표의 높이, 특정지점 및 선구역의 설정 및 측정.
건설공사 및 지도제작, 토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측량계획에 따라 계획을 수립하고, 측량할 지역의 지형도 및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기준점을 설정한 후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측량업무를 실시.
지표의 높이, 선구역의 설정 등의 측량작업 후 측량결과를 계산하고 정확성을 검토하여 측량결과서를 작성하는 업무도 수행.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위한 작업계획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설치, 관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건설업체, 측량전문업체, 지도제작업체, 지리정보업체, 토목 및 국토개발관련 용역업체에 진출 가능.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

우대

- 토목공사현장, 측량업체에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교통직렬의 교통시설과 도시교통설계 직류, 수로직렬의 수로와 표지 직류, 도시계획과 토목, 측지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대한지적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2%를 가산함.

자격부여

-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측량법시행규칙에 의한 측량업, 성능검사대행자, 측량성과심사수탁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지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사업기본법에 따른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공사현장 배치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6,4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작업형 : 토털스테이션 및 레벨 활용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토목 및 건축공학 등 관련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GNSS)
2) 응용측량
3)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 지리정보시스템
5) 측량학

- 실기

1) 측량및지형공간정보실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2시간 30분, 60점) + 작업형(1시간 10분 정도, 40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20분

1 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 1. 지상에서 인공위성의 위치를 관측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전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관측
    전파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하여 관측
    레이저의 왕복시간을 이용하여 관측
    하나의 관측점에서 촬영된 사진상의 위성과 그 배경에 있는 별들의 각, 거리를 관측
  • 2. 석유탐사의 주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 깊은 곳의 탐사에 적합한 탄성과 측정방법은?
    굴절법
    반사법
    굴착법
    충격법
  • 3. 지구의 단면도를 그릴 때, 적도 반지름을 200cm로 그린다면 극 반지름은? (단, 지구의 편평율은 1/299로 한다.)
    199.67cm
    199.56cm
    199.45cm
    199.33cm
  • 4. 지구의 곡률로부터 생기는 길이의 오차를 1/2000000까지 허용하면 반지름 몇 km 이하를 평면으로 보는가? (단, 지구 곡률 반지름은 6370km이다.)
  • 5. GNSS 측량에서 전리층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 전파망원경을 이용하여 지구표면의 위치를 수 mm 정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지구자전, 대륙이동의 측정 및 측지원점 결정 등에 활용되는 것은?
  • 7. GNSS에 의한 위치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측요소로 옳은 것은?
  • 8.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위성과 관련 없는 것은?
  • 9. GNSS 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0. 지구상 한 점에서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천구의 적도면과 이루는 각으로 지오이드를 기준으로 한 위도는?
  • 11. 다음 중 모호정수(ambiguity)를 제거하기 위한 GPS 측위 관측신호는?
  • 12. 위성의 기하학적 분포상태는 의사거리에 의한 단독측위의 선형화된 관측방정식을 구성하고 정규방정식의 역행렬을 활용하면 판단할 수 있다. 관측점 좌표 x, y, z 및 수신기시계 t에 대한 여인자 행렬(Q)의 대각선 요소가 각각 qxx=0.4, qyy=1.5, qzz=3.2, qtt=1.7일 때 관측점의 GDOP는?
  • 13. GPS의 여러 오차 중 DGPS 기법으로 제거되지 않는 것은?
  • 14. 우리나라 평면 직각좌표의 원점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 15. 도심지와 같이 장애물이 많은 경우 특히 증대되는 GNSS 관측오차는?
  • 16. UTM 좌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7.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은?
  • 18. 다음 중 중력의 보정 요소가 아닌 것은?
  • 19. 지구의 자장과 거의 일치하는 쌍극자(막대자석)를 지구 중심에 위치시킬 때 쌍극자의 연장선이 지표와 만나는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20. 타원체 상에서 같은 경도의 점을 연결한 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 과목 : 응용측량
  • 21. 심프슨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2. 노선측량의 곡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23. 하천의 심천측량을 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AB선에 직각으로 기선 AD=60m를 관측하였다. 위치 P에서 관측장비를 사용하여 ∠APD=50°를 측정하였다면 AP의 거리는?
  • 24. 그림과 같은 배수로의 배수단면적 계산공식으로 옳은 것은?
  • 25. 반지름(R)=150m, 외할(E)=4.64m인 원곡선을 동일한 교각을 갖는 외할(E')=7.64m의 원곡선으로 변경할 때 구성되는 새로운 원곡선의 반지름은?
  • 26. 교각이 120° 30‘이고 곡선반지름이 550m인 단곡선 교점까지의 추가거리가 1250.30m일 때 시단현 길이(l1)과 종단현 길이(l2)로 옳은 것은?
  • 27. 음향측심기를 사용하여 수심측량을 실시한 결과, 송신음파와 수신음파의 도달시간차가 4초이고 수중음속이 1000m/s이면 수심은?
  • 28. 그림과 같은 터널측량에서 A, B 두 점간의 고도차는? (단, I.H=2.45m, H.P=3.10m, 경사각 α=5° 30‘, 경사거리 S'=58.40m)
  • 29. 터널 내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0. 그림과 같은 초지의 1변 BC에 평행한 선으로 면적을 m:n=1:4의 비율로 분할하고자 할 경우 A, B의 길이가 120m라면 AX의 길이는?
  • 31. 도로의 중심선을 시점 No.0에서 No.7까지 20m씩 종단측량한 결과의 일부가 표와 같다. 도로 계획선의 기울기가 상향 1/100이고 No.4에서 지반고와 계획고가 같다고 할 때, No.3의 성토고(A)와 No.5의 정토고(B)는?
  • 32. 하천측량에서 그림과 같이 깊이에 따른 유속(m/s)을 얻었을 때,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 33. 상ㆍ하수도, 가스 통신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은?
  • 34. 터널 입ㆍ출구 A, B점에 대한 관측결과가 표와 같을 때, 두 지점을 연결하는 터널의 경사각은?
  • 35. 하천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6. 철도의 곡선부에서 뒷바퀴보다 안쪽을 지나게 되므로 직선부보다 넓은 폭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넓히는 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37. 축척 1:5000 지형도 상에서 면적이 40.52cm2 이었다면 실제 면적은?
  • 38. 하천측량에서 수애선(水涯線)의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9. 국제수로기구(IHO)에서 안전항해를 위한 기준 중의 하나로써 수심측량 등급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0.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곡선길(L)=40m, 매개변수(A)=100m일 경우 접선각은?
3 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 41. 사람이 두 눈으로 물체를 볼 때 멀리 볼 수 있는 수렴각의 최소한계를 20“, 안기성장(eye base)을 65mm라 하면 원근감을 느낄 수 있는 최대한 거리는?
  • 42. 원격탐사(Remote sens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3. 입체시된 항공사진 상에서의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4. 일반사진기와 비교하여 항공측량용 사진기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 45. 평탄한 초지를 활용한 연직사진의 주점을 지나는 직선 위에 두 점 A, B가 있고, 두 점의 사진상 거리가 10cm, 지상수평거리가 500m이었다면 이 사진이 축척은?
  • 46. 위성영상을 이용한 정규식생지수(NDVI)를 산출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 47. GNSS 수신기를 탐재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할 경우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 48. 편위수정을 거친 사진을 집성하여 만든 사진지도는?
  • 49. 수치고도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의 생성방법이 아닌 것은?
  • 50. 인공위성에서 촬영된 다중분광센서(MSS) 영상의 활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51. 우리나라 위성 중 정자궤도를 채택하면서 최초로 기상관측 목적의 센서를 탑재한 위성은?
  • 52. 스트립 조정법으로 항공사진측량을 수행할 경우 필요한 최소의 3차원 지상기준점 개수는?
  • 53. 사진 상의(10mm, 10mm) 위치에 도로선의 교차점이 관측되었다. 이 지점의 지상좌표계 X값이 160m이면, Y값은? (단, 주점의 위치는 (-1mm, 1mm)이고, 지상의 투영중심은 (50m, 50m, 1530m)이며, 사진좌표계와 지상좌표계의 모든 좌표계의 모든 좌표측의 방향은 일치한다.)
  • 54. 사진측량에서의 모델(Model)에 대한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 55. 다음 중 병충해 조사 및 삼림조사, 홍수지역의 판독 등에 가장 적합한 사진은?
  • 56. 절대표정에 필요한 지상기준점의 구성으로 적합한 것은?
  • 57. 항공사진측량에서 어떤 지역을 촬영하고 다시 재촬영해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
  • 58. 다음 중 공간해상도가 가장 좋은 센서를 탑재한 것은?
  • 59. 사진측량으로 도심지역의 수치지도를 작성할 경우 사진의 해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고층건물에 의해 발생하는 폐색지역(occlusion area)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 60. 상호표정 요소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할 때 종시차 방정식의 관측값으로 필요한 자료는?
4 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 6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거리가 먼 것은?
  • 62.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63.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써 DBMS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 64. 다음은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의 표준화 유형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메타데이터뿐만 아니라 교환포맷이나 자료구조를 기술하는 표준
  • 65.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도형자료와 속성재료로 구분할 때, 도형자료에 해당되는 것은?
  • 66. 다음 중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및 갱신 등과 같은 조작을 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언어는?
  • 67.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지형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표고자료 형태로서 맞지 않는 것은?
  • 68. 필지간의 위상관계 중 주어진 연속지적도에서 본인의 대지와 접해있는 이웃 대지들의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위상관계는?
  • 69. 지리정보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0.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1. 그림은 6×6화소 크기의 래스터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데이터를 2×2 화소 크기의 데이터로 영상재배열 하고자 한다. 미디언필터(Median Fiter)를 이용하여 2×2화소 데이터의 수치값을 결정하고자 할 때 결과로 옳은 것은?
  • 72. 다음의 조건을 따르는 SQL문으로 알맞은 것은?
    BUILSING 테이블에서 NAME 필드의 값이 Library를 만족하는 모든 레코드를 검색하시오.
  • 73. 벡터자료처리 중에서 발생되며 두 입력지도의 경계가 불일치할 때 경계부근에서 주로 생성되는 의미 없는 작은 polygon을 무엇이라 하는가?
  • 74.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 저장되는 공간자료의 형태로 적절치 않은 것은?
  • 75. 수치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6. 아래 두 테이블을 합집합(union)한 결과로 옳은 것은?
  • 77.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의 의의(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78. 원격탐사 영상의 자료 융합에 있어서 고해상도의 전정색 영상과 저해상도의 컬러(RGB) 영상을 합성하여 고해상도의 컬러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으로 옳은 것은?
  • 79. 아래 [알고리즘]을 참고하여 DEM 데이터에서 중앙 격자의 경사(%)와 경사향(방위각)을 구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격자 상의 수치는 표고값(m)이며, 격자 간격은 100m이다.)
  • 80.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과목 : 측량학
  • 81. 측량기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2.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AL의 방위각이 19° 48‘ 26“, BM의 방위각이 310° 36’ 3”, 내각의 총합(∑α)이 1190° 47‘ 22“일 때 관측 오차는?
  • 83. 보정전자파 에너지의 속도가 299712.9km/s, 변조주파수가 24.5MHz일 때 광파거리 측량기의 변조파장은?
  • 84.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5. 거리관측에 있어서 같은 경중률로 거리를 6회 관측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을 때, 최확값의 평균 제곱근 오차(표준오차)는?
    8.51m, 8.53m, 8.54m, 8.50m, 8.53m, 8.51m
  • 86. 평균고도 300m의 두 지점 A, B간의 기선의 거리를 관측하였더니 수평거리가 400.423m이었다면 평균해수면상에 투영한 AB 의 거리는? (단, 지구의 반지름은 6400km로 가정한다.)
  • 87.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등고선의 간격 및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88. 50m에 대하여 11cm 늘어난 줄자로 두 점간의 거리를 관측하여 82.48의 관측값을 얻었다면 실제 거리는?
  • 89. P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해 수준점 A, B, C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P점의 최확값은?
  • 90. 트래버스 측량에서 거리관측 및 각관측의 정확도는 동등하게 하는 것이 좋다. 거리관측의 허용오차를 1/10000이라고 할 때 각관측의 허용오차는 약 얼마인가?
  • 91.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2. 삼각망의 내각을 같은 정밀도로 측량하여 변의 길이를 계산할 경우 각도의 오차가 변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인 것은?
  • 93. 삼각측량에서 단열삼각망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4. A점의 표고가 135m, B점의 표고가 113m일 때, 두 점 사이에 130m 등고선을 삽입한다면 이 등고선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단, AB의 수평거리 250m이고, 등경사 구간이다.)
  • 95.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 96. 공공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은 성과심사의 신청을 받은 때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경우에 접수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심사를 하여야 하는가?
  • 97. 국가기준점 중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은?
  • 98. 측량기기의 성능검사는 외관검사, 구조ㆍ기능검사 및 측정검사로 구분된다. 토털스테이션의 구조ㆍ기능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 99.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대하여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
    - 관리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   )가/이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관리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이 생산 또는 관리하는 공간정보가 다른 기관이 생산 또는 관리하는 공간정보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공간정보와 관련한 표준 또는 기술기준에 따라 (   )를/을 구축·관리하여야 한다.
  • 100. 기본측량을 하려면 미리 기본측량의 실시공고를 하여야 하는데 이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