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콘크리트기능사
영문명 :
Craftsman Concrete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없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콘크리트기능사, 콘크리트산업기사, 콘크리트기사

2. 자격정보

□ 콘크리트기능사 기출문제
콘크리트기능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콘크리트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콘크리트기능사는 콘크리트작업을 직접 수행할 콘크리트 시공에 관한 지식과 숙련기능을 가진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됨.
기존의 검정형 시험방법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
□ 주요특징
콘크리트기능사는 콘크리트 제품 생산업체, 건물·댐·지하도 등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기사(산업기사) 또는 현장관리자의 감독 하에 콘크리트 믹서, 콘크리트 펌프, 진동 다짐기, 손수레, 삽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배합, 운반, 타설, 양생시키고 마무리하는 작업을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주로 종합건설업체, 콘크리트 단종건설업체 및 일반 건설공사의 현장에서 일용직 형태로 고용됨.

- 콘크리트가 많이 사용되는 도로포장공사업체나 콘크리트 생산업체, 설계업체 및 구조물 유지, 보수 관련업체에 진출 가능.

- 건설업체, 토목엔지니어링회사, 건축엔지니어링회사, 토목공사전문업체, 건축공사전문업체 등에도 취업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시설직렬의 일반토목, 농업토목,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직류에서 3%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자격부여

- 콘크리트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을 등록하기 위한 기술인력(철근·콘크리트공사업) 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1회 2024.01.02 ~
2024.01.05
2024.01.21 ~
2024.01.24
2024.01.31 2024.02.05 ~
2024.02.08
2024.03.16 ~
2024.04.02
2024.04.17
2024년 2회 2024.03.12 ~
2024.03.15
2024.03.31 ~
2024.04.04
2024.04.17 2024.04.23 ~
2024.04.26
2024.06.01 ~
2024.06.16
2024.07.03
2024년 3회 2024.05.28 ~
2024.05.31
2024.06.16 ~
2024.06.20
2024.06.26 2024.07.16 ~
2024.07.19
2024.08.17 ~
2024.09.03
2024.09.25
□ 수수료

필기 : 14,500원
실기 : 43,7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 및 공개문제를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시험과목

- 필기

1) 콘크리트재료
2) 콘크리트시공
3) 콘크리트 재료시험

- 실기

1) 콘크리트 시공작업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1시간) + 작업형(1시간 30분 정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60분

- 실기 : 150분

1 과목 : 콘크리트재료
  • 1. 콘크리트 속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E제에 의하여 콘크리트 속에 생긴 공기를 AE공기라 하고, 이 밖의 공기를 갇힌 공기라 한다
    AE콘크리트의 알맞은 공기량은 콘크리트 부피의 4~7%를 표준으로 한다.
    AE콘크리트에서 공기량이 많아지면 압축강도가 커진다.
    AE공기량은 시멘트의 양, 물의 양, 비비기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 2. 부순 골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부순 잔골재의 석분은 콘크리트 경화 및 내구성에 도움이 된다.
    부순 굵은 골재는 시멘트 풀과 부착이 좋다.
    부순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를 비빌 때 소요단위 수량이 적어진다.
    부순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수밀성은 향상되나 휨강도는 감소된다.
  • 3. 수화열이 적어 댐이나 방사선차폐용, 단면이 큰 콘크리트용으로 적합한 시멘트는?
    조강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팽창시멘트
  • 4. 시멘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5. 콘크리트용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로서 틀린것은?
  • 6. 골재의 밀도가 2.50g/cm3이고 단위용적 용량이 1.5t/m3일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얼마인가?
  • 7.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중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몇 ㎜ 이하 이어야 하는가?
  • 8.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 9. 풍화된 시멘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0. 다음 중 시멘트 저장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 11.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틀린것은?
  • 12. AE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3.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원료는?
  • 14. 다음 혼화재료 중에서 사용량이 시멘트 무게의 5%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 계산에 관계되는 혼화재료는?
  • 15. 서중 콘크리트의 시공이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 거리가 멀 경우 등에 주로 사용하는 혼화제는?
  • 16.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를 생기게 하는 혼화제로 알루미늄 가루 등을 사용하며 프리플레이스트콘크리트용 그라우트나 PC용 그라우트에 사용하면 부착을 좋게하는 것은?
  • 17.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8. 시방배합을 정할 때 적용되는 잔골재의 정의로서 옳은 것은?
  • 19.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곳은?
  • 20. 보통 굵은 골재 흡수율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얼마 정도 인가?
2 과목 : 콘크리트시공
  • 21. 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2.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 재료 분리를 막기 위하여 거푸집에 투입구를 만들거나, 슈트, 깔때기를 사용한다. 깔때기와 슈트 등의 배출구와 치기면 과의 높이는 얼마 이하를 원칙으로 하는가?
  • 23. 콘크리트의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4. 콘크리트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비비기 시간의 최소 시간으로 옳은 것은? (단, 강제식 믹서를 사용할 경우)
  • 25. 한중 콘크리트에서 재료를 가열할 때 가열해서는 안 되는 재료는?
  • 26.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엉기기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비빈 후 상당히 시간이 지났거나, 재료가 분리된 경우에 다시 비비는 작업은?
  • 27.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와 운반 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아래 표의 설명이 해당하는 것은?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재료를 계량하여 트럭 믹서에 싣고 운반 중에 물을 넣어 비비는 방법이다.
  • 28. 콘크리트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제를 표면에 바르든지 또는 이것을 뿜어 붙이기를 하여 습윤 양생을 하는 것은?
  • 29. 외기온도가 25℃ 이상일 때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때까지의 시간은 얼마를 넘어서는 안 되는가?
  • 30. 콘크리트를 제작하기 위해 재료를 계량하고자 한다. 혼화제의 계량 허용오차로서 옳은 것은?
  • 31. 콘크리트 운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2. 콘크리트 펌프로 시공하는 일반 수중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 33. 콘크리트 펌프로 콘크리트를 압송할 경우 굵은 골재 최대 치수는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 34. 한중 콘크리트의 초기양생 중에 소요의 압축강도가 얻어질 때까지 콘크리트의 온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가?
  • 35. 일반적인 수중콘크리트의 단위 시멘트량 표준은 얼마 이상인가?
  • 36. 콘크리트 치기 기계 중에서 콘크리트 플레이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7. 콘크리트를 일관 작업으로 대량 생산하는 장치로서, 재료 저장부, 계량 장치, 비비기 장치, 배출 장치로 되어 있는 것은?
  • 38. 콘크리트의 다짐작업에 내부진동기를 사용할 때 내부진동기의 삽입간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39. 높이가 높은 콘크리트를 연속해서 타설할 경우 타설 및 다질 때 재료분리가 될 수 있는 대로 적도록 하기 위해서 타설속도 일반적으로 30분에 얼마 정도로 하여야 하는가?
  • 40. 일반콘크리트에서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
3 과목 : 콘크리트 재료시험
  • 41.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2. 설계기준강도란 일반적으로 무엇을 말하는가?
  • 43.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몇 배 이상이고 또한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 44. 시멘트의 비중시험에 사용되는 것은?
  • 45.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표면을 캐핑하기 위한 시멘트 풀의 물-시멘트비(W/C)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 46.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47. 휨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의 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8. 단위 수량이 176kg/m3이며, 물-시멘트비가 55%인 경우 단위 시멘트량은?
  • 49.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물이 분리되어 위로 올라 오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50. 겉보기 공기량이 6.80%이고 골재의 수정계수가 1.20% 일 때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얼마인가?
  • 51.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으로 각 재료의 양과 현장 골재의 상태가 아래와 같을 때 현장배합에서 굵은 골재의 양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현장 골재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임)
    [시방배합]
    - 시멘트 : 300kg/m3
    - 물 : 160kg/m3
    - 잔골재 : 666kg/m3
    - 굵은 골재 : 1178kg/m3
    [현장 골재]
    - 5mm체에 남는 골재량 : 0%
    - 5mm체를 통과하는 굵은 골재량 : 5%
  • 52. 골재의 조립률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체가 아닌것은?
  • 53.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을 하여 아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공시체의 쪼갬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 : 167.4kN
    - 공시체의 길이 : 300mm
    - 공시체의 지름 : 150mm
  • 54. 워싱턴형 공기량 시험기를 이용한 공기 함유량 시험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55.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에서 다짐봉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채우고자 한다. 이 때 다짐은 몇 mm2마다 1회의 비율로 다져야 하는가?
  • 56. 압축강도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할 때 몰드를 떼는 시기는 몰드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나서 얼마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 57.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되는 시약은?
  • 58.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에서 시험용 유리병은 용량 얼마의 시험용 무색 유리병 2개가 있어야 하는가?
  • 59.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치가 0.70m3이고 잔골재율이 35% 일 때 단위 굵은 골재량은? (단, 굵은 골재의 밀도는 2.6g/cm3임)
  • 60.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서 시험온도로 옳은 것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