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자격시험

1. 자격요약

자격명 :
전기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Electricity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2. 자격정보

□ 전기산업기사 기출문제
응시 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제반 환경을 조성하고 전문화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주로 전기기계 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그리고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서의 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 가능.

-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건설 현장, 전기공작물시설업체, 아파트 전기실, 빌딩제어실 등에 취업 가능.

- 전기안전관리자나 전기시설관리자 등으로 활동 가능.

-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 가능.

- 일반업체나 공장의 전기 부서 등으로도 취업 가능.

- 송유관사업법에 따라 송유관사업체의 안전관리책임자로, 전기사업법에 따라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로 내 배전선로의 관리소를 직접 통할하는 사업장에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 고용 가능.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과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공업 직렬의 항공우주, 전기 직류와 해양수산 직렬의 수로, 해양교통시설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경찰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음.

자격부여

- 전기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하면 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안전관리 대행자로 활동이 가능하고,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등의 자격이 주어짐.

- 전력기술관리법에 따라 전력기술인으로 활동할 수 있고, 전력설계업과 감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항로표지법에 따른 항로표지 장비 및 용품 성능 검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전기산업기사 자격을 활용 가능.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20,8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과, 전기공학과, 전기시스템과, 전기자동화과 등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전기자기학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5)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실기

1)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120분

1 과목 : 전기자기학
  • 1. 온도가 20℃일 때 저항률의 온도계수가 가장 작은 금속은?
    알루미늄
    백금
  • 2. 두 자성체 경계면에서 정자계가 만족하는 것은?
    자계의 법선성분이 같다.
    자속밀도의 접선성분이 같다.
    자속은 투자율이 작은 자성체에 모인다.
    양측 경계면상의 두 점 간의 자위치가 같다.
  • 3. 100mH의 자기 인덕턴스를 갖는 코일에 10A의 전류를 통할 때 축적되는 에너지는 몇 J인가?
    1
    5
    50
    1000
  • 4. 비유전율 E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5. 전자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6. 10-5Wb와 1.2×10-5Wb의 점자극을 공기중에서 2cm 거리에 놓았을 때 극간에 작용하는 힘은 약 몇 N인가?
  • 7. 진공 중에서 1㎌의 정전용량을 갖는 구의 반지름은 몇 km인가?
  • 8. 표피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 그림과 같은 환상철심에 A, B의 코일이 감겨있다. 전류 I가 120 A/s로 변화할 때, 코일 A에 90V, 코일 B에 40V의 기전력이 유도된 경우, 코일 A의 자기인덕턴스 L1[H]와 상호인덕턴스 M[H]의 값은 얼마인가?
  • 10. 각종 전기기기에 접지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 11. 대지 중의 두 전극사이에 있는 어떤 점의 전계의 세기가 6[V/cm], 지면의 도전율이 10-4[℧/㎝]일 때 이 점의 전류밀도는 몇 A/cm2인가?
  • 12. 간격 d[m]로 평행한 무한히 넓은 2개의 도체판에 각각 단위면적마다 +σ[C/m2], -σ[C/m2]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을 때 두 도체 간의 전위차는 몇 V인가?
  • 13. 대전도체의 성질로 가장 알맞은 것은?
  • 14. 그림과 같이 도선에 전류 I[A]를 흘릴 때 도선의 바로 밑에 자침이 이 도선과 나란히 놓여 있다고 하면 자침의 N극의 회전력의 방향은?
  • 15. 영구자석의 재료로 사용되는 철에 요구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 16. 공간 도체 내에서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할 때 성립되는 식은?
  • 17. 점전하 Q[C]에 의한 무한평면 도체의 영상전하는?
  • 18. 환상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2[A]일 때 자로의 자속이 1×10-2[Wb]라고 한다. 코일의 권수를 500회라 할 때 이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는 몇 H인가?
  • 19. 자속밀도가 B인 곳에 전하 Q, 질량 m인 물체가 자속밀도 방향과 수직으로 입사한다. 속도를 2배로 증가시키면, 원운동의 주기는 몇 배가 되는가?
  • 20. 그림과 같은 영역 y≤0은 완전 도체로 위치해 있고, 영역 y≥0은 완전 유전체로 위치해 있을 때, 만약 경계 무한 평면의 도체면상에 면전하 밀도 ps=2[nC/m2]가 분포되어 있다면 P점(-4,1,-5)[m]의 전계의 세기[V/m]는?
2 과목 : 전력공학
  • 21. 인입되는 전압이 정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것으로서 단락 고장 검출 등에 사용되는 계전기는?
  • 22. 배전선로용 퓨즈(power fuse)는 주로 어떤 전류의 차단을 목적으로 사용하는가?
  • 23. 접촉자가 외기(外氣)로부터 격리되어 있어 아크에 의한 화재의 염려가 없으며 소형, 경량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가 용이하며 진공 중의 아크 소호 능력을 이용하는 차단기는?
  • 24. 유효낙차 75m, 최대사용 수량 200m3/s, 수차 및 발전기의 합성 효율이 70%인 수력 발전소의 최대 출력은 약 몇 MW 인가?
  • 25. 어떤 가공선의 인덕턴스가 1.6mH/㎞이고, 정전용량이0.008㎌/㎞일 때 특성임피던스는 약 몇 Ω인가?
  • 26. 서울과 같이 부하밀도가 큰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변전소의 수와 배전거리를 어떻게 결정하는 것이 좋은가?
  • 27.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직접 접지 방식을 다른 접지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그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8. 단선식 전력선과 단선식 통신선이 그림과 같이 근접되었을 때, 통신선의 정전유도전압 E0는?
  • 29. 3상 3선식 복도체 방식의 송전선로를 3상 3선식 단도체 방식 송전선로와 비교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 (단, 단도체의 단면적은 복도체 방식 소선의 단면적 합과 같은 것으로 한다.)
  • 30. 송전방식에서 선간전압, 선로 전류, 역률이 일정할 때(3상 3선식/단상 2선식)의 전선 1선당의 전력비는 약 몇 %인가?
  • 31. 터빈 발전기의 냉각방식에 있어서 수소냉각 방식을 채택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 32. 그림과 같은 열사이클은?
  • 33. 그림과 같이 지지점 A, B, C에는 고저차가 없으며, 경간 AB와 BC 사이에 전선이 가설되어 그 이도가 12cm 이었다. 지금 경간 AC의 중점이 지지점 B에서 전선이 떨어져서 전선의 이도가 D로 되었다면 D는 몇 cm 인가?
  • 34. 송배전 선로에서 내부 이상전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35. 고압 배전선로의 선간전압을 3300V에서 5700V로 승압하는 경우, 같은 전선으로 전력손실을 같게 한다면 약 몇 배의 전력[kW]을 공급할 수 있는가?
  • 36. 설비용량 800kW, 부등률 1.2, 수용률 60%일 때, 변전시설 용량은 최저 약 몇 kVA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역률은 90%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 37.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에 대하여 틀린 것은?
  • 38. 전력 원선도에서 알 수 없는 것은?
  • 39. 200kVA 단상 변압기 3대를 △결선에 의하여 급전하고 있는 경우 1대의 변압기가 소손되어 V결선으로 사용하였다. 이때의 부하가 516kVA라고 하면 변압기는 약 몇 %의 과부하가 되는가?
  • 40. 피뢰기의 제한전압이란?
3 과목 : 전기기기
  • 41. 6600/210V, 10kVA 단상 변압기의 퍼센트 저항강하는 1.2%, 리액턴스 강하는 0.9%이다. 임피던스 전압[V]은?
  • 42. 직류 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에서 광범위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며, 운전 효율이 가장 좋은 방법은?
  • 43. 정격전압 200V, 전기자 전류 100A 일 때 1000rpm으로 회전하는 직류 분권 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무부하 속도는 약 몇 rpm인가? (단, 전기자 저항은 0.15Ω,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
  • 44. 구조가 회전 계자형으로 된 발전기는?
  • 45. 화학공장에서 선로의 역률은 앞선 역률 0.7이었다. 이 선로에 동기 조상기를 병렬로 결선해서 과여자로 하면 선로의 역률은 어떻게 되는가?
  • 46. 코일피치와 자극피치의 비를 β라 하면 기본파 기전력에 대한 단절계수는?
  • 47. 2대의 같은 정격의 타여자 직류발전기가 있다. 그 정격은 출력 10kW, 전압 100V, 회전속도 1500rpm이다. 이 2대를 카프법에 의해서 반환 부하시험을 하니 전원에서 흐르는 전류는 22A이었다. 이 결과에서 발전기의 효율은 약 몇 %인가? (단, 각 기의 계자 저항손을 각각 200W라고 한다.)
  • 48. 변압기 1차측 공급전압이 일정할 때, 1차코일 권수를 4배로 하면 누설리액턴스와 여자전류 및 최대 자속은?(단, 자로는 포화상태가 되지 않는다.)
  • 49. 유도 전동기에서 인가전압이 일정하고 주파수가 정격 값에서 수 % 감소할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은?
  • 50. 4극 7.5kW, 200V, 60Hz인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전부하에서의 2차 입력이 7950W이다. 이 경우의 2차 효율은 약 몇 %인가?(단, 기계손은 130W이다.)
  • 51. 유도 전동기에서 여자전류는 극수가 많아지면 정격 전류에 대한 비율이 어떻게 변하는가?
  • 52. 직류 전동기의 발전제동 시 사용하는 저항의 주된 용도는?
  • 53. 브러시를 이동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전동기는?
  • 54. 100kVA, 6000/200V, 60Hz이고 %임피던스 강하 3%인 3상 변압기의 저압측에 3상 단락이 생겼을 경우의 단락전류는 약 몇 A인가?
  • 55. 직류기의 전기자 권선 중 중권 권선에서 뒤피치가 앞피치보다 큰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
  • 56. 전기설비 운전 중 계기용 변류기(CT)의 고장 발생으로 변류기를 개방할 때 2차측을 단락해야 하는 이유는?
  • 57.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에서 일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58. 단상 유도 전동기를 기동 토크가 큰 것부터 낮은 순서로 배열한 것은?
  • 59. 일정한 부하에서 역률 1로 동기 전동기를 운전하는 중 여자를 약하게 하면 전기자 전류는?
  • 60. 8극 60Hz의 유도 전동기가 부하를 연결하고 864 rpm으로 회전할 때, 54.134 kg ㆍ m의 토크를 발생 시 동기와트는 약 몇 kW인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4 과목 : 회로이론
  • 61. 그림과 같은 반파 정현파의 실효값은?
  • 62. 저항 R=5000Ω, 정전용량 C=20㎌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일정전압 E=100V를 가하고 t=0에서 스위치를 넣을 때 콘덴서 단자전압 V[V]을 구하면? (단, t=0에서 콘덴서 전압은 0이다.)
  • 63. 저항 R인 검류계 G에 그림과 같이 r1인 저항을 병렬로, 또 r2인 저항을 직렬로 접속하였을 때 A, B 단자 사이의 저항을 R과 같게 하고 또한 G에 흐르는 전류를 전 전류의 1/n로 하기 위한 r1[Ω]의 값은?
  • 64. 두 개의 회로망 N1과 N2가 있다. a-b단자, a’-b’단자의 각각의 전압은 50V, 30V이다. 또, 양단자에서 N1, N2를 본 임피던스가 15Ω과 25Ω이다. a-a’, b-b’를 연결하면 이때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 65. 다음 회로에서 I를구하면 몇 A인가?
  • 66.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전달함수는? (단, 초기조건은 0이다.)
  • 67. 휘스톤 브리지에서 RL에 흐르는 전류(I)는 약 몇 mA인가?
  • 68. Y 결선된 대칭 3상 회로에서 전원 한상의 전압이 일 때 선간전압의 실효값은 약 몇 V인가?
  • 69. 다음과 같은 파형 v(t)를 단위계단 함수로 표시하면 어떻게 되는가?
  • 70. 그림과 같이 T형 4단자 회로망의 A, B, C, D 파라미터 중 B값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71. 다음과 같은 회로의 전달함수 는?
  • 72. 인덕턴스 L[H] 및 커패시턴스 C[F]를 직렬로 연결한 임피던스가 있다. 정저항 회로를 만들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L 및 C의 각각에 서로 같은 저항 R[Ω]을 병렬로 연결할 때 R[Ω]은 얼마인가? (단, L=4mH, C=0.1㎌이다.)
  • 73. 그림은 상순이 a-b-c인 3상 대칭회로이다. 선간전압이 220V이고 부하 한상의 임피던스가 100∠60°Ω일 때 전력계 Wa의 지시값[W]은?
  • 74. 다음 방정식에서 를 구하면?
  • 75. 3상 회로의 선간전압이 각각 80V, 50V, 50V일 때의 전압의 불평형률[%]은?
  • 76. 비대칭 다상 교류가 만드는 회전 자계는?
  • 77. 그림과 같은 L형 회로의 4단자 A, B, C, D 정수 중 A는?
  • 78. 그림과 같은 높이가 1인 펄스의 라플라스 변환은?
  • 79. 비정현파에 있어서 정현 대칭의 조건은?
  • 80. C[F]인 콘덴서에 q[C]의 전하를 충전하였더니 C의 양단 전압이 e[V]이었다. C에 저장된 에너지는 몇 J인가?
5 과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 기준
  • 81.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할 수 있는 곳은?
  • 82. 계통 연계하는 분산형 전원을 설치하는 경우에 이상 또는 고장 발생 시 자동적으로 분산형 전원을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시설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83. 호텔 또는 여관 각 객실의 입구등을 설치할 경우 몇 분 이내에 소등되는 타임 스위치를 시설해야 하는가?
  • 84. 특고압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되는 철탑은?
  • 85. 고압 가공전선 상호간이 접근 또는 교차하여 시설되는 경우, 고압 가공전선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고압 가공전선은 모두 케이블이 아니라고 한다. )
  • 86.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안전원칙에 관계없는 것은?
  • 87. 철탑의 강도 계산에 사용하는 이상시 상정하중의 종류가 아닌 것은?
  • 88. 타냉식 특고압용 변압기에는 냉각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를 대비하여 어떤 장치를 하여야 하는가?
  • 89.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220V인 출퇴표시등 회로를 금속관 공사에 의하여 시공하였다. 여기에 사용되는 배선은 단면적이 몇 mm2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여도 되는가?
  • 90. 고압 가공전선이 철도를 횡단하는 경우 레일면상에서 몇 m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가?
  • 91.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연동선의 최소 굵기는 몇 mm2 이상인가?
  • 92. 가로등, 경기장, 공장, 아파트 단지 등의 일반조명을 위하여 시설하는 고압 방전등은 그 효율이 몇 lm/W 이상의 것이어야 하는가?
  • 93. 전력보안 통신설비로 무선용 안테나 등의 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4. 금속제 외함을 가진 저압의 기계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사용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기계기구의 경우인가?(관련 규정 개정 전 문제로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 95. 특고압 가공전선이 건조물과 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96. 특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2차 접근상태로 시설할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적용하는 보안공사는?
  • 97.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은 지표상 몇 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아니되는가?
  • 98. 합성수지관 공사 시 관 상호간 및 박스와의 접속은 관에 삽입하는 깊이를 관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 99. 가반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 용접장치의 용접 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
  • 100. 고저압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 시설로 가공공동지선을 설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 각 접지선을 가공 공동지선으로부터 분리하였을 경우의 각 접지선과 대지간의 전기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

AI 챗봇
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