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남남갈등의 실태와 해결방향

*승*
최초 등록일
2010.03.29
최종 저작일
2007.01
2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남한에서 보수와 진보 간의 갈등의 실태를 분석하고 해결 방향을 제시

목차

Ⅰ. 서론
Ⅱ. 갈등의 이론적 고찰
1. 갈등의 개념
2. 갈등이론
3. 갈등관리
Ⅲ. 남남갈등의 실태와 원인
1. 남남갈등의 실태
2. 남남갈등의 원인
Ⅳ. 남남갈등의 해결 방향
1. 기본 방향
2. 해결 방향
Ⅴ. 결론

본문내용

갈등은 한국 사회의 상황을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가 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정치적 갈등, 계층갈등, 지역갈등, 노사갈등, 세대갈등, 이념 갈등, 남남갈등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갈등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갈등 중에서 본 논문은 김대중 정부 이후 햇볕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남남갈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남남갈등은 의미상으로는 남한 사회의 모든 갈등을 뜻하지만, 김대중과 노무현 정부에서 대북정책과 관련된 갈등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남남갈등은 김대중 정부에서부터 사용되었는데, 노무현 정부에서는 이념의 대립에 의해 대북정책만이 아니라, 전시작전통제권 단독행사 등을 비롯한 한미관계, 개혁정책, 인사문제 등 여러 분야에서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한국사회의 갈등은 바람직한 변화와 발전을 위한 건전한 갈등이 아니라, 소모적이고 파괴적인 갈등이다. 이와 같이 심각한 각종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면, 앞으로 더욱 상황이 악화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갈등이 사회통합과 국가발전에 가장 큰 장애라고 하지만, 갈등 상황의 인식, 원인 분석, 해소방향 등에 대한 견해 차이로 갈등이 확대 및 재생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남남갈등이 생산적이고 창조적이며 바람직한 방향으로 해결되어야 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연구한 것이다. 갈등 이론을 고찰하고 남남갈등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한 후 해결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우리 사회의 갈등과 남남갈등에 관하여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객관적이지 못한 측면이 많았고, 정부 정책에 반영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남남갈등을 연구하는 데 갈등의 원인 분석과 해소방안에 대해서 연구자의 가치가 개입되어 과학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정부에서도 연구결과를 반영하려 하지 않은 데 원인이 있다.

참고 자료

강장석, “노무현 정부 3년의 안보통일정책 평가,” 한반도 포럼 학술세미나(2006년 2월 20일).
구영록, 인간과 전쟁: 국제정치이론의 체계(서울: 법문사, 1996).
김국신, “남북한 통합을 위한 바람직한 통일정책 거버넌스 구축방안,” 남북한 통합과 통일인프라 확장방안(통 일연구원, 2005),
김광용, “남북관계 평가와 2006년 전망,” 아태지역동향, 1월호(한양대학교 아태지연연구센터, 2006).
김병로, “남남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통일정책연구, 제12권 2호(통일연구원, 2003).
김현조, 국정관리론(서울: 대영문화사, 2004).
노정선, “남남갈등의 형성배경과 현황,”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10차 민족화합분과위원회(2004 년 6월 30일), http://www.acdpu.go.kr
도준호, “방중 이후의 남북관계,” 북한 2006년 3월(북한연구소),
박승식, “전시작전통제권 단독행사의 추진방향,” 군사학연구(대전대학교 군사연구원, 2006).
박승식, “대북정책의 합리적 추진방향,” 광복 60년-남북관계의 회고와 통일전망(대진대학교 통일 대학원 학술발표회, 2005년 6월 6일).
박재규, “대북정책 추진에 따른 우리사회 내부의 갈등해소 방안,”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민족화합 분과위원회 제6차 회의자료(2002년 6월 7일) http://www.acdpu.go.kr
박종철외 6인,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대방안: 분야별 갈등의 원인 및 해소방안(서울: 통일연구원, 2004),
박효종, “남북관계에서의 국민통합: 과제와 극복방안,” 한반도 평화번영시대 무엇을 준비해야 하 는가(서울평화통일포럼, 2004년 11월 2일).
서사연 역, 갈등의 사회이론(서울: 학문과 사상사, 1985).
서울대학교사회과학연구실, 갈등과 권력: 갈등론적 사회학의 전개(서울: 법문사, 1985).
심승진, 국제경제관계론(서울: 법문사, 1995).
안병영, “이념과잉의 시대, 중도개혁으로 불임정치 벗어나자,” 신동아, 2007년 1월호.
유종해, 현대행정학(서울: 박영사, 2001).
이계성, “전교조의 학생 사상 테러: 태극기와 애국가 부정,” 경제풍월. 2007년 2월호.
이달곤, 협상론: 협상의 과정, 구조, 그리고 전략(서울: 법문사, 2004).
이달곤, “John C. Campbell의 정책갈등과 해소,” 오석홍 편, 정책학의 주요이론(서울: 경세 원,1995).
조석준, 조직이론(서울: 박영사, 1983).
조한범, 남남갈등 해소방안 연구(서울: 통일연구원, 2006).
조선일보, 2007년 1월 1일.
중앙일보, 2007년 2월 13일.
Abcarian, Gilbert, Monte Palmer, Society in Conflict, An Introduction to Social Science(San Francisco: Canfield Press, 1974).
Almond, Gabriel, The Appeal of Communism(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4).
Berelson B., and G. A. Steiner, Human Behavior: An Inventory of Scientific Findings(Harcourt, Brace & World, 1964).
Campbell, John. C., “Policy Conflict and its Resolution within the Governmental System,” in Ellis S. krauss, Thomas P. Rohlen, Patricia G. Steinhoff(eds.), Conflict in Japan(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4).
Collins, Randall, Conflicts Sociology: Toward an Explanatory Science(New York: Academic Press, 1975).
Coser, Lewis A., "Conflict: Social Aspect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 Vol. 3(New York: Macmillan, 1967).
Coser, Lewis A., The Function of Social Conflict(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56).
Hoffer, Eric, The True Believer(New York: American Library, 1951).
Katz, Daniel, "Nationalism and Strategies of International Conflicts Resolution," in Herbert C. Kelman(eds.), International Behavior: A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alysis(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1965),
Kirscht, J. R., and R. C. Dillehay, Dimensions of Authoritarianism: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Lexington: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1967).
Lundberg, George A., Foundations of Sociology(New York: David Mckay, 1964).
Marmer, Judd, “Some Psychological Aspects of Contemporary Urban Violence,,” in T. Rose and P. Jacobs, Violence in America(New York: Vintage Books, 1969).
Parsons, Talcott, The Social System(New York: Free Press, 1964).
Reitz, H. J., Behavior in Organizations, 2nd ed.(Homewood, Ill. : Richard D. Irwin, inc., 1981).
Robbins, Stephen P., Managing Organizational Conflict: A Nontraditional Approach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4).
Russell, Bertrand, Unpopular Essays(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50).
http:www.ncck.net.
*승*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남남갈등의 실태와 해결방향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