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안동 지역 역사에 관한 보고

*정*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0.06.11
최종 저작일
2009.04
2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고에서는 안동 지역의 역사와 관련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이를 통하여 그곳에 숨 쉬고 있을 전대의 흔적들에 관한 인식을 선행(先行)함으로써 곧 있을 답사의 의미를 다시금 진지하게 고찰(考察)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목차

Ⅰ. 序言 :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기 위하여

Ⅱ. 안동 역사 개관
1. 안동의 역사
⑴ 삼국시대
⑵ 통일신라
⑶ 고려
⑷ 조선 이후
2. 풍산 류씨의 하회 정착 내력
⑴ 풍산 류씨 정착 전에 살던 성씨
⑵ 풍산 류씨의 하회 정착 내력

Ⅲ. 안동이 낳은 인물
1. 농암 이현보
2. 퇴계 이황
⑴ 퇴계 이황
⑵ 영남학파(퇴계학파)
3. 송암 권호문
4. 학봉 김성일
5. 겸암 류운룡
6. 서애 류성룡
7. 육사 이원록

Ⅳ. 안동에 새겨진 과거의 흔적
1. 유적
⑴ 퇴계종택
⑵ 하회겸암정사
⑶ 도산서원
⑷ 조지훈 생가
⑸ 양진당
⑹ 충효당
2.유물
⑴ 동부동 5층전탑
⑵ 신세동 7층전탑
⑶ 이천동 석불상
⑷ 안기동 석불좌상
⑸ 징비록
3. 반촌(班村)와 민촌(民村)
⑴ 안동의 대표적인 반촌
⑵ 안동의 민촌 가송마을
⑶ 반촌에 관한 고찰

Ⅴ. 기록되지 않은 이야기
1. 용상동 여랑당
2. 영호루 현판
3. 놋다리밟기의 시작
4. 견훤을 물리친 삼태사
5. 비뚤게 쓰인 도산서원 현판
6. 태몽치마와 서애대감
7. 과거시험 점치는 탕건바위

Ⅵ. 結語 : 반성이 없는 진보는 광기(狂氣)다

◈ 참 고 문 헌 ◈

◈ 참 고 사 이 트 ◈

본문내용

많은 사람들이 숨 쉴 틈도 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현시대의 일상 속에서 모두가 남들보다 더 빠르게 뛰고 달리려는 가운데 현대인들은 내일을 향해서만 자신의 역량을 쏟아버리는 일이 많다. 지금껏 걸어온 길을 알지도 못한 채 앞으로 걸어갈 길만을 찾으려 하는 우리의 오늘과 내일이 그다지 밝아 보이지는 않는다.
󰡔식민지의 회색시대󰡕 윤해동, 역사비평사, 2003.
라는 책의 서문에는 “반성이 없는 진보는 광기(狂氣)다.”라는 구절이 있다. 반성이라 하여 ‘잘못에 대하여 스스로 돌이켜 생각하는 것’만으로 그 범주를 제한하고 싶지는 않다. 과거 혹은 당장 어제로부터 이어지는 갖가지 흔적들을 되짚어 깊이 성찰해 보는 것은 숨 가쁜 오늘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더없이 중요한 일일 것이다.
세월을 거슬러 나와 우리의 지나온 길에 진심 어린 관심을 보여 지금의 나와 우리를 있게 한 그 역사를 내가 사랑하고 있음을 스스로에게 알리고, 이로써 우리는 나와 우리 그리고 민족이 오늘까지 걸어온 길을 더듬어 어제를 산책하며 내일을 바르게 준비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우리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는 유학적 사상에 깊이 물들어 오늘에 이르렀고, 그 장·단점을 논하기에 앞서 현대의 대한민국 역시 유교적인 전통을 깊이 간직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잠시 이야기를 돌려, 십년 전에 공자의 사상인 유학을 다룬 몇몇 책들이 유행한 적이 있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김경일, 바다출판사, 1999.
를 시작으로 그에 반론을 제기한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최병철, 시아출판사, 1999.
, 󰡔공자를 알아야 나라가 산다󰡕 이언호, 큰방, 1999.
등이 잇따라 출간되었다. 유교 비판의 의견을 반박하는 목소리 중에는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고 말하는 사람이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말까지 있었다. 현대를 사는 우리는 유학을 마치 먼 곳의 철학이라 여겨 겉으로는 눈감으면서도 무의식중에 은밀히 관심의 대상으로 여기며 암묵적으로 서로가 끝없는 논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들 각각의 지론에 대하여 시비(是非)를 판단하는 것은 논외로 하더라도, 유학이 우리 민족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어쩌면 내일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우리의 삶과 문화의 큰 흐름인 만큼 그에 관한 고찰(考察)은 특히 인문학을 공부하는 우리에게 보다 크고 깊은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안동은 과거 수많은 유학자들의 사상적 산실(産室)이었기에, 안동 지역 답사를 통해 우리는 한민족의 전통적 추억을 그 고장에서 한껏 음미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박창희, 낙동강을 따라가 보자 2, 금샘미디어, 2000.
서수용, 안동 하회 마을을 찾아서, 민음사, 1999.
안동교육청 편, 알고 싶은 안동 문화, 안동교육청, 2000.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안동 무실 마을 6 - 문헌의 향기로 남다, 예문서원, 2008.
이완규, 안동 풍수 기행 돌혈의 땅과 인물, 예문서원, 2001.
임재해, 하회마을, 대원사 1992.

◈ 참 고 사 이 트 ◈

농암선생유적지 : http://www.nongam.com/
네이버 : http://www.naver.com/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kbadyks/
다음 문화원형 : http://culturedic.daum.net/
다음 블로그 : http://blog.daum.net/chaeeunene/
문화재청 : http://www.cha.go.kr/
소ㄹ이의 안동이야기 : http://adsb30.woweb.net/
안동관광 : http://www.tourandong.com/
안동넷 : http://www.andong.net/
안동문화콘텐츠 : http://www.helloandong.go.kr/
안동민속박물관 : http://adfm.or.kr/
안동시청 : http://www.andong.go.kr/
안동신문 : http://www.andongnews.net/
영양문화관광 : http://tour.yyg.go.kr/
이육사문학관 : http://www.264.or.kr/
재경 안동향우회 : http://andongin.or.kr/
청남 권영한 : http://www.andongkwon.pe.kr/
바람과 구름과 비 : http://www.nul.pe.kr/

자료후기(1)

*정*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안동 지역 역사에 관한 보고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