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조선시대 여성 복식의 종류와 의미

*세*
최초 등록일
2011.04.29
최종 저작일
2010.04
1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 생활사 수업에서 발표했던 조선시대 여성의 의복에 관한 레쥼입니다.
신분별로 복식 종류를 정리하고, 복식에 반영된 유교, 음양오행 사상적 의미에 대해 서술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여성 복식의 종류
1. 궁중예복
2. 일반의복
3. 서민의복
4.속옷
5. 특수계층의 옷
6. 머리모양 - 가계
7. 장신구 및 신발
Ⅲ. 조선시대 복식에 반영된 사상적 의미
Ⅳ.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조선시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계층에 따라, 또 계절마다 갖추는 복식의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기본적인 여성 복식에 해당하는 치마저고리 뿐 아니라 머리 모양과 장신구, 신발까지 형태와 색이 다양했으며, 시기별로도 여러 변화를 보인다. 특히 조선시대 여성의 복식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란을 기준으로 조선 전·후기의 복식 형태에서 차이를 보인다. 조선 전기에 비하여 조선 후기에는 복식에서 사치현상의 일반화·보편화 현상이 나타나고, 민중의 일상 의복 재료의 질적인 향상이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전쟁 이후 조선후기 사회의 신분제가 동요되고 농·상·공업의 발달, 실학사상의 영향과 같은 급격한 변화로 인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양반계층이 늘어나고, 면직물 생산기술이 발달하며, 교역을 통해 외국의 고급직물들이 들어오는 등 신분상승과 경제발달과 더불어 조선후기 의복에도 양반화, 실용화, 사치화의 바람이 불었다. 그러면 이러한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의복의 다양한 형식에는 어떤 것이 있고, 의복 형태와 그 변화가 가지는 여러 가지 사회적, 사상적 의미는 어떠한 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조선시대 여성 복식의 종류
1. 궁중예복
1) 적의(翟衣)
조선시대 적의는 왕비나 왕세자비의 대례복으로서 꿩무늬(翟紋)를 수놓은 포(袍)를 말한다. 꿩무늬는 친애(親愛), 해로(偕老)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적의는 조선시대 최고 신분의 여성 복식이었다. 이는 상하의 신분이 뚜렷한 계급 사회에서 그들의 신분적 위치와 권위의 상징으로 표상되기도 했다.
조선조 태종 때 중국에서 적의를 칠적관(七翟冠)과 함께 처음 받아들였고, 인조 때 우리식으로 옷이 바뀌어 붉은색 적의를 직접 만들어 착용하다가 고종 때 중국의 황제비가 입던 푸른색 적의로 바뀌고 머리는 대수를 했다.
임진왜란 전까지 적의는 명에서 군왕비, 친왕비의 예복인 대삼(大衫)을 말하는 것으로, 조선 초에는 명으로부터 왕비복을 받았다. 적의의 구성은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참고 자료

<참고문헌 및 참고 자료>
권오창,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현암사, 1998.
김영숙·김명숙, 『한국 복식사』, 청주대학교 출판부, 1998.
안명숙, 『한국복식문화사 - 우리 옷 이야기』, 예학사, 2007.
이성미, 『우리 옛 여인들의 멋과 지혜』, 대원사, 2002.
임린, 『한국 여인의 전통 머리모양』, 민속원, 2009.
김영숙, 「한국 전통복식의 전개」, 淸藝論叢, 17, 2000.
김혜영, 「기녀복식을 중심으로 본 조선후기 여성 복식의 연구」, 培材論叢, 2, 1997.
류재운·전혜숙, 「朝鮮後期 女子 저고리 短小化와 象徵的 意味」, 服飾, 39, 1998.
이선재, 「朝鮮時代 服飾에 反映된 陰陽五行思想에 관한 硏究」, 아시아여성연구, 31, 1992.
임상임·임영주,「적의(翟衣)에 관한 소고」, 圓光大學校大學院, 19, 1997.
홍나영,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여성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 2006.
*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워드파일 A0 동서양 복식 문화 기말 제출 답안 11페이지
    조선 중기까지도 고려시대만큼은 아니라도 드물 있는데 원시적인 신앙심에서 ... 그렇기 때문에 복식은 단순히 옷 자체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의 가장 ... 남성 복식은 산업 혁명의 시작으로 남성 코트의 종류가 많아진 것을 들 수
  • 한글파일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복식과 장신구(귀걸이, 비녀) 3페이지
    조선시대 복식 조선시대의 통치 철학 및 이념은 유교 사상이었다. ... 조선시대 복식과 장신구 1. ... 비녀의 종류는 말로 다 할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 한글파일 조선대 동양문화사 과제 2페이지
    조선시대 조선시대복식은 개국 초기에는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이어 받았다가 ... 한국 중국 일본 전통의상 고조선시대- 좁은 저고리에 바짓가랑이가 좁은 바지 ... 통일 신라 신대 통일 신라 시대복식문화는 백제 고구려, 그리고 당의 문화를
  • 워드파일 조선으로부터 대한제국, 왕과 황제의 복장변화에 대한 분석 8페이지
    황색은 황제를 의미하기에, 조선시대 왕이 황색 방석 위에 앉았을 때에, 신하가 ... 조선시대 왕의 복식은 그 자체로 왕의 지위와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물이었다. ... 복식 체제를 수정하였고, 이를 위해 세부 장식의 개수나 종류, 문양 등에
  • 한글파일 [의복과 문화 A+] 민족복식 전통의상의 역사와 특징에 대한 분석 4페이지
    남녀의 치마 표상, 내상 (2)조선시대 상은 남복 군은 여복 (3)대부분 ... 중국과 같은 직물을 제직할 수준 4.전통복식 발아기 1)의미: 몽고풍 수용은 ... + 중국복식 이중구조 → 전통복식 + 서양복식 이중구조 4)한일합방 시대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조선시대 여성 복식의 종류와 의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