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에 대한 소명의식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2.01.06
최종 저작일
2012.01
1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요양보호사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에 대한 소명의식과 직무만족의 수준을 알아보고, 장기요양보험서비스의 소명의식이 각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9월 충청남북도 지역에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기관의 요양보호사 142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기요양보험서비스
2. 소명의식
3. 직무만족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도
3.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4. 직무만족도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소명의식 다중회귀분석

Ⅴ. 결론

본문내용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에 대한 소명의식과 직무만족의 수준을 알아보고, 장기요양보험서비스의 소명의식이 각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9월 충청남북도 지역에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기관의 요양보호사 142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하고 있는 소명의식은 3.43, 직무만족은 내재적 직무만족이 3.90, 외재적 직무만족이 3.38, 그리고 일반적 직무만족은 3.54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인 소명의식의 수준을 살펴보면 연령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내재적 직무만족도, 일반적 직무만족도의 경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수인 일반적 직무만족과 그 하위차원인 내재적 직무만족, 외재적 직무만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 본 결과는 모두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한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이 내재적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직무만족의 경우, 일반적 특성 중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성별,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 요양보호사. 신념, 직무만족도

Ⅰ. 서 론

산업화 이후 식생활 환경의 개선, 의학수준의 발달 등으로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고령화 사회로 진입을 하게 되고 다양한 노인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만성질환 또는 신체적 노화로 인하여 일상적인 생활에 제한을 받게 되는 케어가 필요한 노인에 대한 문제가 노인 보건 복지 부문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게 되었다. 이것은 미시적으로는 노인뿐만 아니라 케어를 담당하고 있는 가족들에게 거시적으로는 지역사회 전체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가족구조의 변화와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로 노인 돌봄이 개인, 가족차원의 문제로 취급할 수 없는 현실에 높이게 되어 사회적 대책 수립이 시급하게 요구되었다. 이러한 고령화 현상 속에서 우리나라는 앞으로 우리 사회가 감당해야 하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응책을 찾기 위해 고심하다 많은 진통 끝에 2008년 7월 1일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참고 자료

강재칠(1999), “직업전문학교학생들의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남행(2007),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신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도윤(2002), “가정봉사원 교육훈련 유효성이 가정봉사원의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동건(1994), 『현대 재정학』, 서울: 박영사.
김효선(2004), “현장실습경험이 사회복지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 경기 ․ 충청지역 학부생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나은영(1992), “내/외 집단으로부터 차별적(differential)신념 지지율이 개인 의 집단정체 관련 신념의 변화에 대한 저항에 미치는 효과”,『한국심리 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6, No2.
문지은(2003),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소재 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연세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박내희(1989), 『조직행동론』, 서울: 박영사.
박아이린(2005), “(A) Validation study of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iestionnaire(MSQ)",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용오(2003),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정체성에 미치는 영 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우(1994),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2008), 요양보호사양성지침.
송정은(2006),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요인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유근(1985), 『조직행위론』, 서울: 다신출판사.
신현자(2003),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직에 대한 태도가 사회복지 서 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미자(2008), 우리나라 요양보호사 인력양성 현황 및 문제점, 고령자치 매작업치료학회지, 2(1)
이지은(2002),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사회화와 전문직 태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형철(2007), “수발인력의 전문직업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이훈구(2007),『신념의 심리학』, 학지사.
정은주(2007),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이 장기요양요원의 직 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기채(2001), 개혁자들의 일에 대한 사상의 현대적 적용, 서울:현대와 신학, 459-46.
Crowson, philips E.(1997), "Public Service Motivation: Building Empirical Evidence of Incidence and Effect", Journal d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7(4): P․P․499-548.
Eustis, N. N., Greenberg. J. N. & Patten, S. K. (1984). Long-term care for older persons: A policy perspective. Monterey., CA: Brooks/ Cole Pub. Co.
Gustaf Wingren(1975),『Luther on vocation』, Concordia Press.
Hall, R. H.(1968),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3.
Hall, R. H.(1968),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3.
Houston, D. J.(2000), " Public Service Motivation: A Multivariate Test",Journal d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0(2), P․P․713-727.
Kane, R. A. and Kane, R. L.(1981). Assessing the elderly: A practical guide to measurement. Lexington: Lexington Books.
Kane, R. A. and Kane, R. L.(1987). Long-term care: Principle, programs and policies. New York : Springer Pub. Co.
Karl, K. A, & Sutton, C. L.(1998), Job Values in Today`s Workforce: A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2794), P․P․ 515-527.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Chicago: Rand McNally.
McCormick, E. J., & Tiffin, J.(1974), Industrial Psychology, 6th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Os Guinness(2003),『The Call』. Word Publishing.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Ⅲ : Rand McNally.
*동*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에 대한 소명의식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