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호스피스 정의,문제점과 해결방안 (기관인터뷰 포함)

티에이치지식거래
사업자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2.26
최종 저작일
2013.02
2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호스피스 정의와 호스피스 운영형태 현황분석과 호스피스 문제점및 해결방안 분석보고서 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문헌고찰
1. 호스피스란?
2. 호스피스의 목적
3. 호스피스 역사
4. 호스피스와 삶의 질
5. 호스피스와 죽음

III. 호스피스 현황
1. 한국 호스피스의 현황
2. 현재 제공되는 호스피스 서비스 유형 및 내용
3. 호스피스 운영 재정확보 문제점

IV. 기관소개
1. 호스피스
2. 사역비전
3. 사역목적
4. 사역내용
5. 가정 호스피스
6. 찬양팀
7. 사별관리
8. 샬롬모임회
9. 사랑의울타리 모임
10. G.F.(좋은 아빠, 좋은 친구들) 모임
11. 기관 인터뷰

IV. 호스피스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1. 호스피스·완화의료 법 제도와 지원책의 미비
2. 의사들의 참여와 연계체계, 대중의 인식의 문제

V. 결론

VI. 나의 견해 및 소감

VI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과학기술의 진보와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은 의료서비스의 발전과 함께 인간의 평균수명의 신장을 가져왔다. 이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내용과 제공방식 및 생활양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그와는 반대로 인간의 존엄성 상실이 만연되고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과학과 사회변화로 인한 비인간화 문제, 노인 소외, 생명 경기에 따른 임종자의 소홀 문제 등 가치관과 윤리관의 변화가 가져온 혼란에 대한 일종의 대안으로 호스피스 운동이 대두되고 있다(혜도, 2000). 즉 이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인간성 회복운동으로서 호스피스 운동은 종교기관과 그 산하 조직들에 의해 꾸준히 전개되어 오고 있다. 호주의 경우 호스피스 참여는 1990년에서 1993년 사이에 가정(59%에서 73%), 요양원(20%에서 45%), 사립 병원(33%에서 52%) 그리고 공립 병원(48% 55%)로 상당히 늘어나고 있는데(R Hunt, 1998), 우리나라는 1980년대를 기점으로 1992년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 협회와 한국 호스피스 협회가 결성되며 호스피스 운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관련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하는 등 호스피스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 호스피스협회(National Hospice Organization)가 제시한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시설과 능력기준에 크게 미달되는 곳이 많은 실정이다(노유자 ,김남초 ,이선미, 1996). 호스피스 역사도 아직 짧으며 초기단계를 막 벗어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4망당 1명이 암에 걸린다고 하며, 암으로 인한 사망률 또한 높은 실정이다. 연구에 따르면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는 것이 그렇지 않는 것보다 요양원의 통증의 평가, 관리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Miller SC, 2003). 우리나라 호스피스는 2000년 이후 양적인 팽창을 거듭하고 있는 반면 질적인 면에서는 그다지 발전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박영희, 2004). 이러한 가운데 호스피스 의료서비스의 필요성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참고 자료

김시영(2008), 호스피스 완화의료,『 J Korean Med Assoc 51 (2008)』, pp. 505-506.
강화정 ,김분한 ,전미영(1997),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의식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pp. 453-461.
노유자 ,김남초 ,이선미(1996), “한국 호스피스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호스피스논집』, pp. 5-17.
박광덕(1995),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금자(2006),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삶의 의미”, 『종양간호학회지』, pp. 104-110.
박영희(2004), “한국 불교호스피스의 현황과 과제”, 『淨土學硏究』, pp 335-358.
손선영(2007), “호스피스 완화간호와 삶의 질“ , 『간호학탐구』, pp. 121-134.
윤성(2010), “호스피스 삶의 마지막을 함께하는 도반”, 『석림』, pp. 98-111.
윤영호(2009), 바람직한 임종을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사회적 대책, 『 J Korean Med Assoc 52 (2009)』880-885
한국 호스피스협회(2012).
한영란,김인홍(2008),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과 주 돌봄자의 보담관에 관한 보건소 호스피스 사업의 효과, 『농촌의학,지역보건』, pp. 59-70.
혜도, 1997, 사회문제로서의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해, 『僧伽』, 292-306
혜도(2000), “한국 호스피스 프로그램과 운영현황에 대한 고찰”, 『석림』, pp. 99-123.
홍영선(2008), 한국 호스피스의 과거, 현재, 미래 『 J Korean Med Assoc 51 (2008)』509-516
Miller SC(2003), “Hospice enrollment and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nursing homes.“.
Calor(2008), Positive aspects of the caregiving experience in hospice, falseSpence.
Jessica F.(2010), A study of public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adonnia University.
SR Connor(2009), U.S. hospice benefit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R Hunt(1998), Coverage of cancer patients by hospice services, South Australia, 1990 to 1993, Community Hospice Programme
티에이치지식거래
판매자 유형Diamond사업자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호스피스 정의,문제점과 해결방안 (기관인터뷰 포함)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