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보고서]독립생활(Independent Living : IL)재활 의미 및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경*
최초 등록일
2013.03.08
최종 저작일
2009.03
2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Ⅱ. 독립생활 재활이란 무엇인가?
1. 독립생활 재활의 개념
2. 독립생활 재활의 역사적 발달
3. 독립생활 재활의 철학적 의미와 패러다임

2) 패러다임
Ⅲ. 직업재활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독립생활 재활2)
1. IL의 구성요소와 실천이념
2. IL의 내용과 서비스 전달 방법
3. 우리나라 IL의 역사와 현황
4. 미국의 현황
5. 일본의 IL정책과 프로그램
6. IL관점에서 본 직업재활의 쟁점
7. IL운동의 협력자로서 직업재활

Ⅳ. 2007 장애인 활동보조지원사업
1. 사업의 목적 및 대상
2. 사업의 내용
3. 추진 방법
4. 예산 및 인원
5. 사업 예산 내역
6. 사업 추진체계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독립생활(Independent Living : IL)은, 미국에서 1970년대부터 체계화되고 발달된 개념으로서, 장애인의 문제는 장애인 당사자가 가장 잘 이해하고 있으므로, 장애인이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스스로의 ‘선택권(Choice-making)과 ‘자기결정권(Self-determination)’을 신장하고,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주도적인 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이념이자 실천전략이다. 또한 장애인의 문제는 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문제보다는 그러한 요소를 문제화시키는 사회적 환경에서 비롯되므로, 독립생활(IL)은 물리적․심리적 환경의 개선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독립생활은 이러한 이념의 강조와 아울러 직접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중시하여, 개호서비스, 동료 상담, 정보제공, 주택서비스, 이동서비스, 생활상담 등을 주요서비스로 구성하게 된다. 결국, 독립생활(IL)은 장애인이 의존성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선택과 결정, 그리고 주도적인 역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 통합되어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독립생활(IL)은, 장애인복지에 있어 전통적으로 중심적인 위치에 있었던 재활패러다임과는 성격을 달리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독립생활(IL)은 미국 장애인복지정책 발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1990년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장애인복지가 발전되는 데 있어 하나의 이정표가 된 「미국장애인법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 ADA」도 그 기본정신을 자립생활에 두고 있다. 유럽, 일본 등지에서도 일찍이 「독립생활센터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를 중심으로 자립생활 프로그램이 확대․발전되는 상황에 있다. 독립생활(IL)은 장애인복지정책의 새 지평을 열 패러다임으로 전 세계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정권 (1996). 21세기 장애인의 사회통합방향. 대구: 대구대학교. 장애인 종합연구소 자료집, pp. 1~20.
오혜경 (1999). 장애인과 사회복지실천. 서울: 아시아미디어리서치.
이달엽,정우석 (2005). 직업재활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독립생활 운동의 의미와 협력체계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 15. No. 2, pp. 155~175.
이달엽 (2003). 통합된 사회를 향한 독립생활재활운동의 현황, 전망과 과제. 사회복지법인 춘강부설 제주재활의원 이전개원 세미나 자료집, pp. 1~27.
이달엽 (1997). 재활과학론. 서울: 형설출판사.
이달엽,이성일 (2001). 중증장애인 고용이슈와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직업재활연구, 11(1), pp. 45-60.
이달엽,이승욱,박혜전,노임대 (2004).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직업재활연구, 14(1), pp 217~246.
Carney, N. C. (1996). State federal program issues and trend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eparing for the 21st century. A Report on the 18th Mary E. Switzer Memorial Seminar. pp. 10~12.
DeJong, G. (1979). Report of the national conference on independent living service regulations per P. L. 95-602. Boston: Tufts University Medical Rehabilit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Feinberg, L. B. (1977). Employment of the certified rehabilitation counselor. Journal of Rehabilitation, 43(2), 42-45.
Kontosh, Larry G. (2000). Ethical rehabilitation counseling in a managed-care environ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66(2), 5-9.
Rubin, S. E., & Roessler, R. T. (1995). Foundation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4rd ed.). Austin, Texas: Pro-ed.
Shapiro, J. P. (1994). No pity: People with disabilities forging a new civil rights movement. New York: Times Books.
Wehman, P., Wood, W., Everson, J. M., Goodwyn, R., & Conley, S. (1988). Vocational education for multihandicapped youth with cerebral palsy. Baltimore: Paul H Brooks Publishing Co..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에이블 뉴스 http://www.ablenews.co.kr/
*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보고서]독립생활(Independent Living : IL)재활 의미 및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