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도시마케팅 - Hi Seoul의 마케팅전략,도시마케팅해외사례-뉴욕,런던

*일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04.04
최종 저작일
2013.04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시마케팅이란 무엇인가?
․ 등장배경
․ 개념
․ 목적
2. Hi Seoul 마케팅 전략
․ 제정 배경
․ 개념
․ Vision
․ Hi Seoul 마케팅의 중요성
․ Hi Seoul의 Target Market
․ Hi Seoul SWOT Analysis
․ Hi Seoul의 IMC(Integ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 Hi-Seoul Festival
3. 도시마케팅의 사례
․ 뉴욕
․ 런던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아이 러브 뉴욕(I ♥ NY), 예스 도쿄(Yes Tokyo), 하이 서울(Hi Seoul), 다이나믹 부산(Dynamic Busan), 홍콩의 드래곤(Dragon), 진주의 논개, 임금님표 이천쌀, 금산의 인삼, 하이서울페스티벌, 부산국제영화제, 광주비엔날레….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도시 이미지 슬로건과 상징 캐릭터에서 지역특산품과 브랜드, 축제와 이벤트, 지역특화 사업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와 방법은 달라도 거의 모든 도시들이 독특하고 매력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더 많은 관광객과 주민과 기업을 유치함으로써 도시발전을 도모하려는 이른바 도시마케팅(City or Urban Marketing)의 전략들이다.
오늘날은 세계화와 지방화의 경향이 강화되었으며 이와 연관하여 도시 간, 지역 간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도시 마케팅의 개념에도 불구하고 세계 유명도시를 중심으로 도시 마케팅은 빠르게 확산되면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 략>

Ⅱ. 본론
1. 도시마케팅이란 무엇인가?
1.1 등장배경
도시마케팅은 70년대 이후 미국도시들의 도심재개발 노력에서 처음 나타났다. 당시 도시들은 특히 공업도시를 중심으로 급격한 도심지슬럼화 현상과 그로 인한 비즈니스와 주민들의 불만족, 이탈로 인해 경제적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도시정부들은 이러한 상황을 맞아 도시경제를 복원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게 되면서 도시마케팅이 등장하게 되었다.

<중 략>

Ⅲ. 결론

전 세계적인 금융 파동으로 우리나라 경제가 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관광 산업은 고용창출, 외화획득 등 경제에 대한 파급 효과가 크므로 흔히 관광 산업은 `굴뚝 없는 산업`이라 할 만큼 그 파급효과가 높다. 특히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원자재 수입 가격을 결정하는 환율마저 안정이 되지 않아,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 이런 이유로 도시마케팅 전략이 관광 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 자료

http://hiseoulbrand.sba.kr/
http://www.hiseoul.pe.kr/
http://100.naver.com/100.nhn?docid=777114
http://news.donga.com/3/all/20111006/40869982/1 동아일보 2011.10.06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1004000574 헤럴드경제 2011.10.19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5/31/2011053101505.html 조선일보 2011.05.3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3821624 뉴시스 2011.04.26
http://www.newstown.co.kr/?r=home&m=newstown&bid=bc&uid=103656 뉴스타운
도시 마케팅 측면에서 본 하이서울 페스티벌 연구, 방선주, 2009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 마케팅 전략, 이무용, 2006, 논형
도시 마케팅의 이해 : 도시전략 / 주거문제와 대안, 유승권, 2006, 한솜미디어
장소메케팅 전략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재, 2007, 전남대 대학원
도시브랜드 마케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수영, 2010, 건국대학교
Hi Seoul’과 ‘Dynamic Busan’의 도시브랜드개성의 비교, 윤태환, 2010
서울지역 축제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Hi Seoul Festival을 중심으로, 김희선, 2005
'NYC & Company' 를 중심으로 본 뉴욕시의 관광홍보, 세계도시현장리포트 뉴욕편, 2001
도시를 브랜드 하라, KBS 스페셜, 2011.07.17
*일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도시마케팅 - Hi Seoul의 마케팅전략,도시마케팅해외사례-뉴욕,런던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